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수원, 양수발전소 건설지 3곳 정했지만...적자가중·주민반대 '첩첩산중'

공유
2

한수원, 양수발전소 건설지 3곳 정했지만...적자가중·주민반대 '첩첩산중'

영동·홍천·포천 선정...잉여발전 활용, 지역경제 발전 도움 기대
年1600억 손해에 3조 추가지원 비판, 마을 수몰·환경 훼손 우려

경남 산청군 산청 양수발전소 하부댐 전경.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이미지 확대보기
경남 산청군 산청 양수발전소 하부댐 전경. 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양수발전소를 3개 지역에 7기를 새로 짓겠다고 발표하자 이를 둘러싸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17일 한수원에 따르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추진 중인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 후보부지로 충북 영동군, 강원 홍천군, 경기 포천시 등 3개 지역을 지난 14일 최종 후보지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영동군에는 500메가와트(㎿), 홍천군에는 600㎿, 포천시에는 750㎿ 규모의 양수발전소 건설이 추진된다.

한수원은 지역당 평균 사업비 1조 원, 총 3조 원의 사업비를 전액 부담하며 전략환경영향평가 등 관련 절차를 거쳐 각각 2029년, 2030년, 2031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 3월 양수발전소 건설이 가능한 7개 지역(강원도 홍천, 경기도 가평, 양평, 포천, 경북 봉화, 전남 곡성, 충북 영동)을 대상으로 자율유치 공모를 진행, 이 가운데 봉화, 영동, 포천, 홍천 등 4개 지자체가 지방의회 동의를 받아 유치를 신청했다. 결국 봉화를 제외한 3개 지역이 최종 선정됐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1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영동군, 홍천군, 포천시와 '양수발전소 건설 및 유치지역 발전을 위한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양수발전소 건설사업을 비롯해 이주민 지원사업, 주변지역 상생발전사업 등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양수발전소는 심야의 잉여전력을 이용해 발전소 하부에 설치된 저수지의 물을 상부의 저수지로 퍼올려 낮의 최대부하 시간대나 기타 계통사고 발생 상황에 발전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특성상 높은 산 위에 짓는 것이 유리하며 대규모로 전력을 생산하는 원자력발전소와 병용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한수원의 3개 후보지 선정 발표 이후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을 둘러싼 논란이 뜨거워지고 있다.

이유는 현재 양수발전소 운영으로 빚어진 손실 규모가 연 1600억 원에 이르는데 추가로 7기를 더 지으면 결국 전기요금 인상이나 세금 부담 형태로 국민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일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수원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가동률을 낮춰 지난해 1020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3조 원의 건설 비용을 별도로 조달해야 하는 것에 곱지 않은 시선이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7개 지역에 16기의 양수발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1기당 연평균 100억 원, 총 1600억 원의 손실이 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전단가도 높은 편이어서 지난해 기준 한전의 전력구입단가는 1킬로와트시(kWh)당 125.81원으로 62.18원/kWh인 원자력의 약 2배에 이른다.

오순록 한수원 그린에너지본부장도 "수익성이 어느 정도 보장돼야 하는데 요금체계에 문제가 있어 한전, 전력거래소, 전기위원회와 관련 문제점과 요금개선을 협의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원자력학계 전문가는 "지난해 6월 한수원이 월성1호기 조기폐쇄와 신규원전 4기 건설 백지화를 전격 결정한 지 정확히 1년만에 주력사업인 원전을 놔두고 손실을 보고 있는 양수발전 계획을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마을 수몰과 환경 훼손을 이유로 해당지역의 주민 상당수도 양수발전소 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최종 선정에서 탈락한 봉화군은 물론 홍천군과 영동군도 현재 반대 1인시위, 청와대 국민청원 등을 벌이며 반발하고 있다.

양수발전소를 옹호하는 반론도 만만찮다. 현재 우리나라에 버려지는 잉여전력이 상당한 만큼 양수발전소 확대는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많다.

오순록 본부장은 "향후 출력 변동성이 높은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이 늘어난다면 양수발전소를 출력변동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부하 전력원으로 쓸 수 있을 것"이라고 장점을 강조했다.

한수원은 정부의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오는 2031년까지 2기가와트(GW) 규모의 신규 양수발전소를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