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CJ ENM, 2분기 '사상 최대 경영실적' 달성…매출 1조2604억, 영업익 968억, '전년 동기比 20%, 23%↑'

공유
0

CJ ENM, 2분기 '사상 최대 경영실적' 달성…매출 1조2604억, 영업익 968억, '전년 동기比 20%, 23%↑'

‘아스달 연대기’, ‘스페인하숙’, ‘기생충’ 등 사상 최대 광고 매출과 콘텐츠 판매 매출 기록

엔터테인먼트 & 라이프스타일 컴퍼니 ‘CJ ENM’이 2분기 한국채택 국제회계 기준(K-IFRS)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0.1% 상승한 1조2604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2.3% 상승한 968억 원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 분기 경영실적을 달성했다고 8일 발표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이미지 확대보기
엔터테인먼트 & 라이프스타일 컴퍼니 ‘CJ ENM’이 2분기 한국채택 국제회계 기준(K-IFRS)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0.1% 상승한 1조2604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2.3% 상승한 968억 원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 분기 경영실적을 달성했다고 8일 발표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

엔터테인먼트 & 라이프스타일 컴퍼니 ‘CJ ENM’이 2분기 한국채택 국제회계 기준(K-IFRS)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0.1% 상승한 1조2604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2.3% 상승한 968억 원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 분기 경영실적을 달성했다고 8일 발표했다.

CJ ENM 측은 2분기 대내외적으로 악화된 시장 환경에도 사업 기초와 전 사업부문의 경쟁력을 꾸준하게 강화해 사상 최대의 경영 실적과 수익 성장을 달성했다라고 설명했다.

미디어 부문은 매출액 4264억 원(전년 동기 대비 15.4%), 영업이익 365억 원(전년 동기 대비 +25.1%)을 기록했다. ‘아스달 연대기’, ‘스페인하숙’ 등 오리지널 콘텐츠의 TV광고 매출 증가(전년 동기 대비 +21.4%), 디지털 콘텐츠 제작 확대를 통한 DIA TV, 티빙, tvN D의 디지털 광고 매출 증가(전년 동기 대비 +32.4%), '강식당2' 등 콘텐츠 판매 매출 상승(전년 동기 대비 +71.9%)으로 사상 최대의 광고 매출과 콘텐츠 판매 매출을 나타냈했다. 하반기에도 ‘호텔 델루나’, ‘날 녹여주오’, ‘사랑의 불시착’ 등을 통해 콘텐츠 경쟁력 기반의 사업성장을 강화하고 수익성을 높이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커머스 부문은 취급고 1조183억 원으로 3분기 연속 1조 원 대를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576억 원과 360억 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6.3%와 6.2%의 성장을 기록했다.

‘엣지’, ‘셀렙샵’, ‘오하루 자연가득’ 등 단독 브랜드의 호조와 고수익 상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여름 시즌상품의 전략적 편성으로 외형과 수익 모두 성장하는 실적을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하반기에는 패션 성수기에 맞춰 ‘VW베라왕’, ‘지스튜디오’ 등의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를 강화하고, 차별화된 편성 전략과 단독 브랜드를 강화해 외형과 수익 모두 성장시켜 나갈 계획이다.

영화 부문은 매출액 67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00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한국 영화로는 처음으로 칸 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기생충’이 누적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극장 매출은 전년 대비 234.8% 증가한 415억 원을 거둬들였으며 상반기 한국 영화 관객 점유율 54%의 독보적인 입지를 확보했다.

하반기에도 ‘엑시트’, ‘나쁜녀석들: 더무비’ 등 국내에서 선보이는 콘텐츠를 비롯해 미국·태국 등 해외시장에서도 자체 기획 콘텐츠를 확대해 작품성과 흥행성 모두 강화한다는 목표다.

음악 부문은 ‘아이즈원’, ‘BTS’, ‘몬스타엑스’ 등의 콘서트 매출이 역대 분기 매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며, 매출액 1538억 원(전년 동기 대비 +131.2%), 영업이익 49억 원(전년 동기 대비 +16.1%)을 기록했다. 또 중장기적으로 ‘TOO’, ‘빌리프랩’ 등 글로벌향 IP 확대해 사업 성장동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프리미엄 콘텐츠를 기반으로 디지털을 포함해 국내외에서 광고와 콘텐츠 유통을 확대하고, 커머스 부문은 자체 브랜드의 상품 경쟁력과 고수익 상품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겠다”며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고 IP 수익 모델 확장을 통해 수익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콘텐츠 커머스 기업으로 성장을 본격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jddud@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