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더이상 후퇴는 없다... 한진해운 몰락 전격분석

공유
0

더이상 후퇴는 없다... 한진해운 몰락 전격분석

대형선박 확보 실패로 인한 경쟁력약화
정부의 지원 부족으로 유동성 확보 실패
국적선사가 무너진다면 외화유출 회피불가

한진해운이 파산하고 부산 한진해운터미널의 컨테이너가 멈췄다. 사진=뉴시스
한진해운이 파산하고 부산 한진해운터미널의 컨테이너가 멈췄다. 사진=뉴시스
국내 조선업이 잇따른 수주로 활기를 되찾고 있지만 해운업은 한진해운 파산 후폭풍에서 완전하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3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2016년 년 당시 세계 7위 규모 국적선사 한진해운의 몰락은 해운업계에 큰 파장을 불러왔다.
선사의 몰락은 수출입물량 99.7%를 선박으로 유통하는 국내 산업에 치명적 영향을 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내 선사들이 한진해운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는 한진해운 몰락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때가 됐다.

◇한진해운, 대형선박 확보 실패에 따른 경쟁력 악화


글로벌 기업이었던 한진해운의 파산은 대형선박 확보 실패와 해운업계 불황에 따른 유동성 위기로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가 발생한 이후 세계경제는 경기침체로 치달았다. 당시 해운업은 선복량(배에 실을수 있는 화물의 총량) 공급 과잉으로 생존을 이어가지 못하는 선사가 대거 등장했다. 이런 시점에 유럽 선사 머스크, MSC 등은 오히려 규모의 경제를 일궈내기 위해 1만8000 TEU((6m 길이 컨테이너 1만8000개를 한꺼번에 실을 수 있는 규모) 급 이상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확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진해운은 해운업이 호황이던 2000년대 초에 중형급 신조선을 대량 확보해 초대형 선박을 확보할 여력이 없었다. 이에 따라 한진해운은 2012년부터 신조선을 확보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운임을 낮추지 못해 경쟁력을 잃기 시작했다.

이명박 정부(2012년) 당시 해양수산부는 이미 폐지된 상태였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에서 해운업의 큰 방향을 잡지 못했으며 이는 한진해운 파산을 앞당기는 원인이 됐다. 박근혜 정부 시절 해양수산부가 부활했지만 선사에 대한 지원책은 없다시피 했다.

이에 따라 한진해운은 2014년 매출액이 2013년에 비해 5분의 1로 급감해 한진해운의 근간을 흔들었다.

2012년 유럽의 금융위기와 중국의 경기 둔화로 전 세계 물동량이 줄어들었으며 이는 대형선박을 확보하지 못한 한진해운에 직접적인 타격이 됐다. 이 같은 기조는 2013~2015년에도 이어졌다.

◇정부 지원 부족으로 한진해운 유동성 확보 실패


한진해운은 경영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2015년 자산 매각등 유동성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자구적인 노력으로는 한계에 부딛혔다.

2016년 1분기 한진해운의 만기도래 차입금 내역을 살펴보면 1년 이내 3조1405억 원의 차입금 만기가 도래해 이를 상환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한진해운은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 4월부터 산업은행과 협의를 진행했으나 원만하게 합의를 일궈내지 못했다.

같은 해 8월 한진해운은 현금 조달 방안에 대한 자구안을 채권금융기관 협의회에 제출했지만 한진해운에 대한 지원이 불가능해 결국 회사는 침몰하게 됐다.

한진해운 사태를 지켜본 해운업계 관계자는 “조선업에 비해 해운업이 일자리 창출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정치권과 국민들 관심을 받지 못했고 이는 결국 지원 부족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성동조선 STX조선해양 같은 조선사에 수 조원을 지원했던 것과는 달리 국적선사 한진해운은 쉽사리 무너졌다”며 “수출 성장을 표방하는 한국이 글로벌 선사를 지원하지 않은 점은 당시 관계자에게는 당혹감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업계에서는 한국 컨테이너 선복량 가운데 약 20%만 국내선사에 의해 운송되고 있다며 선주와 화주의 긴밀한 협조가 이뤄지게 정부가 징검다리 역할을 해주는 것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