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2019 사우디 보건의료 사절단 참관기

공유
0

2019 사우디 보건의료 사절단 참관기

- 임플란트, 고혈압제, 마취제 등 국내 보건의료 기업 9개사 참가 -

- 사우디 유망 바이어 55개사 참가 및 140건 비즈니스 상담 실시 -


□ 사절단 개요



행사명
2019 사우디 보건의료 사절단
일시
2019. 9. 9.(월) 09:00 - 17:00
장소
리야드 상공회의소(Riyadh Chamber)
주관
KOTRA, 주 사우디 한국 대사관, 보건산업진흥원
규모
국내기업 9개사, 사우디 기업 55개사
품목
임플란트, 치과기기, 영상기기, 고열합제, 마취제, 소독기, 위생용품, 환자관리시스템 등


ㅇ 국내기업 9개사, 총 140건 상담으로 평균 15건 이상 1:1 비즈니스 상담 진행

ㅇ 유력 바이어 초청 위해 리야드 상공회의소(Riyadh Chamber)와 협력 개최

ㅇ 사우디 식약청(SFDA) 등 보건의료 관련 기관 및 유력 바이어 다수 참가

□ 사우디 보건의료 시장동향


ㅇ 의료기기 시장동향
- 2018~2022년 사우디 의료기기 시장은 연평균 7.6% 성장해 2022년 20억 달러에 이를 전망

2018~2022년 사우디 의료기기 시장동향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8e
2019f
2020f
2021f
2022f
금액
1,511
1,629
1,754
1,883
2,024
증감률
7.8
7.8
7.6
7.4
7.5
주: 2018 추정치, 2019~2022 전망치
자료: Fitch Solutions

ㅇ 품목별 시장동향
- 2018년 기준 의료용 소모품(28.9%), 영상진단기(15.7%) 시장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그 뒤로는 환자 보조기기(7.6%), 정형외과 인공기기(7.1%), 치과용품(7.0%) 순

2018~2022년 품목별 시장동향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8e
2019f
2020f
2021f
2022f
의료용 소모품
436.8
460.3
485.7
512.5
541.1
영상 진단기
236.7
251.7
269.2
290.0
312.9
환자 보조기기
114.3
125.5
136.5
147.3
157.1
정형외과 인공기기
(보철, 의족 등)
107.9
118.2
129.1
140.4
152.1
치과용품
105.6
112.8
120.6
124.7
133.2
기타 의료기기
510.5
560.9
613.7
669.0
727.6
합계
1,511.8
1,629.4
1,754.7
1,883.8
2,024.0
주: 2018 추정치, 2019~2022 전망치
자료: Fitch Solutions

ㅇ 의약품 시장동향
- 2018~2022년 사우디 의약품 시장은 연평균 5.7% 성장해 2022년 98억 달러에 이를 전망

2018~2022년 사우디 의약품 시장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8e
2019f
2020f
2021f
2022f
금액
7,897
8,312
8,767
9,269
9,823
증감률
6.1
5.3
5.5
5.7
6.0
주: 2018 추정치, 2019~2022 전망치
자료: Fitch Solutions

□ 바이어 인터뷰


ㅇ (A사 General Manager) 상담회를 통해 한국 기업의 높은 사우디 진출 의지를 볼 수 있었으나 사우디 식약청(SFDA) 제품 등록 관련 정보가 부족해 보였음.

ㅇ (B사 Sales Manager) 이미 몇몇 한국 기업과 거래를 진행하고 있으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기존에는 KOTRA 한국 전시회 참가를 통해 상담을 했는데 추후 사우디 방문 한국 기업 사절단이 더욱 확대되기를 바람.

ㅇ (C사 Business Development Manager) UAE 등 중동 인근국 수출 경험이 있는 기업은 사우디 시장에서도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됨. GCC국가 수출 경험이 있는 사우디 기업이 사우디에 많이 방문하기를 희망

ㅇ (D사 Sales Manager) 제품판매 만큼 기술교육, A/S 등 사후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몇몇 기업은 사후 관리 계획이 부족해 의미있는 상담이 이뤄지지 않아 아쉬움.

ㅇ (E사 General Manager) 성공적인 사우디 진출을 위해서는 능력있는 에이전트 발굴이 매우 중요하며, 한국 기업은 Saudi Vision 2030 정책에 따라 JV(Joint Venture) 등 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십 체결을 통한 진출방법 검토 필요

□ 상담장 전경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체 촬영

□ 시사점


ㅇ Saudi Vision 2030에 따른 현지화(Localization) 정책 이해 필요
-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수입 제품 유통조건이 점점 까다로워지는 추세
- 현지 파트너와의 JV(Joint Venture)를 통한 현지생산, 조립 등 Made with Saudi 전략 검토 필요

ㅇ 비즈니스 마스터 플랜 보유 에이전트 선정
- 제품 수입을 희망하는 바이어의 경우 대부분 가격 협상을 우선적으로 시도
- 사우디 진출 성공을 위해서는 가격보다 마케팅 전략, 사후 관리 등의 마스터 플랜을 보유한 에이전트와의 계약체결 필수

ㅇ 사우디 식약청(SFDA) 등록절차 숙지 필요
- 사우디로 수입되는 모든 수입 제약 및 의료기기는 사우디 식약청(SFDA) 사전등록 필수
- 세부내용은 관련기사(사우디 의료기기 수출을 위한 등록제도) 참고

자료: Fitch Solutions,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