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AIST, '신경과학+AI'통해 실제 뇌 문제 해결 과정과 유사한 상황 구현했다

공유
0

KAIST, '신경과학+AI'통해 실제 뇌 문제 해결 과정과 유사한 상황 구현했다

이상완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팀, '강화학습 이론 기반 실험 디자인' 기술 이용
문제 해결 목표·문제 복잡도·상황 변화 불확실성 등 3가지 변수 동시에 변화시켜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이상완 교수 연구팀이 신경과학과 인공지능의 융합연구를 통해 인간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사진 왼쪽부터 이상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와 연구진. 사진=KAIST이미지 확대보기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이상완 교수 연구팀이 신경과학과 인공지능의 융합연구를 통해 인간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사진 왼쪽부터 이상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와 연구진. 사진=KAIST
KAIST(총장 신성철)는 이 대학 바이오및뇌공학과 이상완 교수 연구팀이 신경과학과 인공지능(AI)의 융합연구를 통해 인간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불확실성과 복잡도가 변하는 상황에서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워 실행 및 전략을 수정해 나가는 과정은 인간이 가진 고유한 문제 해결 능력 중 하나다. 최근 AI 알고리즘이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작업 수행 능력을 넘어서고 있으나 이러한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완벽한 해결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인간의 문제 해결 과정은 목표설정-전략수립-실행-전략수정을 반복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문제 해결 과정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모으기 어렵고 불확실성과 복잡도가 높아 빅데이터 기반의 전통적 딥러닝 설계 방식으로는 구현이 어렵다.

연구팀은 문제 해결을 위해 '강화학습 이론 기반 실험 디자인'이라는 기술을 이용해 문제 해결 목표, 문제의 복잡도, 상황 변화의 불확실성이라는 세 가지 변수를 동시에 변화시켜 실제 인간의 문제 해결 과정과 유사한 상황을 구현했다.

이를 이용해 취득한 행동과 뇌 영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찾기 위해 100가지가 넘는 종류의 메타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비교 분석했다. 이 과정은 모델 기반 뇌 이미징 분석이라 불리는 기법이다.

연구팀은 더 엄밀한 검증을 위해 '정밀 행동 프로파일링'이라는 분석 방법을 적용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겉으로 보이는 행동이 인간과 유사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인간과 같은 원리로 문제를 해결하는 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

사진 왼쪽부터 문제의 불확실성과 복잡도가 동시에 변화하는 상황에서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겨 전략을 수정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는 메타 강화학습 모델과 각 단계의 정보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뇌 영역. 사진=KAIST이미지 확대보기
사진 왼쪽부터 문제의 불확실성과 복잡도가 동시에 변화하는 상황에서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겨 전략을 수정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는 메타 강화학습 모델과 각 단계의 정보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뇌 영역. 사진=KAIST

그 결과로 문제의 불확실성 및 복잡도와 변화하는 상황에서 인간의 학습과 추론 과정을 모사하는 메타 강화학습 모델을 구현했고 이 모델의 정보처리 과정이 전두엽의 한 부위인 복외측전전두피질의 신경 활성 패턴으로 설명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김동재 박사과정은 "다양한 가설을 엄밀히 검증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지만 정밀 행동 프로파일링 방법론을 통해 실제 인간의 행동 원리를 재현하는 모델을 찾아냄으로써 추후 인공지능으로의 이식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상완 교수는 "기존 연구방식은 하나의 퍼즐 조각을 떼어서 다른 퍼즐의 빈자리를 메꾸는 것이라면 이 연구는 퍼즐을 푸는 원리를 배워 다른 퍼즐 맞추기에 적용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며 "인간만이 가진 지능의 핵심 요소들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이식하는 기술은 이제 첫걸음을 뗀 것이며 이 기술이 완성되면 궁극적으로는 지능을 공학적으로 분해하고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KAIST 신경과학-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에서 이러한 기반 기술을 활용해 인간 지능을 모사한 차세대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딥마인드, MIT, IBM AI 연구소, 케임브리지 대학 등 해외 관련 연구 기관과의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기술의 파급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이상완 교수와 함께 김동재 박사과정과 박건영 석사과정이 주도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과의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된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2월 16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홍정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oodlif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