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유가상승 바람 탄 캐나다. 2020년 경제전망

공유
0

유가상승 바람 탄 캐나다. 2020년 경제전망

- 서부지역, 에너지 수출 수혜로 전국 최고 성장률 전망 -
- 주택시장 회복, 임금 상승 힘입어 민간소비 성장 예상 -

□ 주요 경기 흐름


ㅇ 주택경기 회복과 고용 성장이 내수 확대 견인
- 2019년 캐나다는 글로벌 교역 둔화, 국내 주택시장 침체, 소비 위축, 대중국 무역갈등 및 원유생산 감소로 인한 수출 부진, 비즈니스 투자 감소 등 여파로 경제성장률(실질 GDP)이 전년대비 0.3% 하락
- 새해 캐나다 경제는 글로벌 교역환경 개선, 주택시장 안정, 고용부문의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됨. 이를 기반으로 내수경기가 활력을 얻어 실질 GDP가 2020년 1.8%에서 2021년에는 2.0%까지 상승해 2018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됨.

캐나다 경제성장률 전망(2019년 12월 기준)
(단위: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실질 GDP
2.0
1.7
1.8
2.0
소비지출
2.2
1.6
1.8
1.9
주택건설
-1.6
-0.7
2.2
0.6
사업투자
1.4
1.0
1.6
2.9
수출
3.1
1.9
2.3
2.6
수입
2.6
0.6
1.6
2.5
실업률
5.8
5.7
5.6
5.6
인플레이션
2.3
2.0
2.2
2.1
기준금리
1.75
1.75
1.5
1.5
자료: National Bank 보고서

ㅇ 고용안정 지속, 미래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걸림돌
- 2019년 캐나다 순 고용 실적은 전년대비 약 30만 명 증가함. 이는 2002년 이후 최고 실적이며, 특히 대부분의 일자리가 정규직과 민간부문에서 창출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큼.
- 2019년 10월 자유당 정부가 총선에 승리하며 새해에도 기존 정부의 경제성장과 고용촉진정책 추진을 통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연방정부 SOC 인프라 건설 위한 C$ 1800억 투자 프로젝트 추진)
- 다만 인구 고령화에 따른 청년인력 감소 문제가 심화되면서 캐나다 근로인구 증가율이 향후 10년간 0.2%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돼 신규 고용 창출에 걸림돌 작용 우려(신정부 우수인력 확보 위해 친이민정책 추진 → 2020년 34만 명 추가 수용 예정)

캐나다 서부 주요 건설프로젝트 고용 수요 전망
사업명
사업 규모(C$억)
건설 절정시기
고용 수요(개)
Site C댐
107
2019~2020
4,000
LNG Canada
400
2020~2021
4,500
Coastal GasLink
62
2020~2021
2,500
Trans Mountain
74
2020~2021
4,500
자료: Business in Vancouver

□ 주요 부문별 전망


ㅇ (수출) 원유감산 완화 + 생산 증가 ⇒ 수출 확대
- 무엇보다 미-중 관세 철회 1단계 합의와 USMCA 협상타결로 인해 통상 관련 불확실성 요인이 크게 감소하며 수출입 증가폭이 확대될 전망
- 품목별로는 앨버타의 원유감산 완화정책으로 전년대비 원유생산량이 크게 늘면서 송유관과 철도를 통한 원유 수출이 크게 탄력을 받을 것
- 원유는 캐나다 최대 수출품목으로 새해 수출물량 확대가 국가 GDP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하지만 화웨이사태 장기화로 인한 캐나다-중국 교역 갈등은 여전히 높은 잠재적 불안 요소로 상존
- 또한 2018년 12월 발효된 CP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의 수출증대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캐나다 정부는 일본,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회원국들을 상대로 식품 및 원자재 수출시장 공략에 더욱 집중할 계획임.

캐나다 FTA별 수출입 증감 현황(1~9월)


캐나다 FTA 체결 현황


자료: National Bank 보고서

ㅇ (민간소비) 임금 상승 + 주택시장 안정 + 소득세 경감 → 소비성장
- 3%대의 꾸준한 임금상승과 지난해 하반기 이후 안정세에 접어든 주택시장 그리고 2020년 1월 발효된 연방 소득세 경감정책 등에 힘입어 2020년 가계소비지출은 전년대비 소폭(0.2%) 확대될 전망
- 가계소비성장률 전망: 2019년 1.6% → 2020년 1.8% → 2021년 1.9%

2020년 캐나다 소득세 경감 정책
- (개요) 연방정부, 세금 감세 추진 ⇨ 2019년 선거 공약 중 하나
- (내용) 소득세 면제 기준액(Basic Personal Amount) C$ 2000 상향조정 → 연 소득 C$ 15,000까지 소득세 면제
- (일정) 소득세법 개정안 2020년 발효 ⇨ 2020~2023년(4년)에 걸쳐 단계적 적용
- (효과) 이번 조치로 약 2000만 명 세금 경감 혜택 → 약 110만 명 소득세 면제
· 절세 효과: 개인 C$ 300/1년, 가구 C$ 600 절세 가능

- 특히 가계소비지출 항목에서 가장 비중이 큰 식비와 관련해 새해 전국적으로 2~6%대의 식료품 가격 인상이 예상되며, 특히 BC, 온타리오, 퀘벡 지역의 상승폭이 클 것으로 전망됨.(반면 앨버타, 서스캐처원 등 서부지역에서는 식료품 비용 상승폭이 전국평균을 밑돌 것으로 예측)

캐나다 새해 식료품 인상률 전망(품목별)

캐나다 새해 식료품 인상률 전망(지역별)
품목
인상률(%)

지역
인상률(%)
육류
4~6
BC
전국평균(3.9) 이상
야채/해산물
2~4
앨버타
전국평균 이하
과일
1.5~3.5
서스캐처원
전국평균 이하
유제품
1~3
온타리오
전국평균 이상
베이커리
0~2
퀘벡
전국평균 이상
자료: Dalhousie Univ. 2020 식품 보고서

ㅇ (건설 투자) 이민 인구 증가 + 주택경기 회복 ⇒ 주거부문 투자 개선
- 2020년에만 30만 명 이상의 신규 이민자가 유입될 예정으로 인구 증가에 따른 주택수요 증가가 불가피할 전망
- 무엇보다 많은 시장 전문가들이 새해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신청기준이 완화되고 대출금리 인하 가능성 또한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주택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 상승
- 이에 전반적인 주택시장 경기가 호조를 보이며 신규주택착공 건수는 전년대비 2.2% 정도 증가할 것으로 분석됨.(2020~2021년 기간 신규주택착공 물량은 약 21만 호 예상)
- 특히 밴쿠버, 토론토, 몬트리올 등 인구가 몰려있는 동부와 서부 대도시를 중심으로 다세대 주거단지 수요가 더욱 증가하며 전국 주택건설경기 회복을 견인할 것

캐나다 지역별 주택 매물 대비 판매율(10월)


캐나다 주택판매 추이(12월)


자료: RBC Economics, National Bank 보고서


ㅇ (설비 투자) 서부 원유생산 증가 + 법인세 인하 등 친기업정책 추진 ⇒ 비주거 및 에너지부문 투자 활성화
- 미-중 관계 개선 이후 유가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난 해 말 앨버타 주정부의 2단계 원유감산 완화정책 발표 이후 주요 에너지 기업들이 연이어 원유생산량 확대 및 관련 설비투자 의사를 공식화하고 있음.
- 이에 더해 기업투자 유치를 위한 법인세 인하 정책으로 신규 민간투자가 가속화될 전망(2022년까지 법인세 세율을 8%까지 인하 계획)

앨버타, Grizzly'의 2억 달러 규모의 오일샌드 프로젝트 승인(12월 5일)

- (사업) May River 프로젝트(C$ 4억5000만 규모)
- (장소) Fort McMurray에서 남동쪽으로 약 130km 떨어진 May River
- (규모) 1단계 1만2000배럴/1일 ⇨ 2023년까지 약 8만 배럴/1일
- (일정) Grizzly사 2020년 초까지 프로젝트 최종 투자결정(FID) 및 착공 → 2020년 하반기 착공 → 2022년 초 완공 예정

Cenovus, 새해 캐나다 유전개발 확대로 전년대비 25% 예산 증액(12월 10일)
- (개요) Cenovus사, 2020년 원유생산 예산 확대 → C$ 15억(2019년 대비 25%⇑)
- (배경) 앨버타 주정부의 원유 감산 완화 정책 추진
· 앨버타 원유 감산 완화정책: ➀ 철도로 운송되는 원유는 감산대상에서 제외, ➁ 신규 유정 개발 시 감산대상에서 제외
- (규모) 2020년 총 47만~50만 배럴/1일 생산 ⇨ 2019년 대비 7% 증가

□ 주요 지역별 전망


캐나다 경제성장(실질 GDP) 전망(단위: %)
지역
2019
2020
2021
캐나다
1.7
1.8
2.0
브리티시컬럼비아
2.0
2.5
2.4
앨버타
0.6
2.0
3.1
서스캐처원
0.7
1.3
1.8
매니토바
1.5
1.5
1.8
온타리오
1.4
1.6
1.7
퀘벡
2.6
1.8
1.3
뉴펀드랜드 래브라도
2.1
0.5
1.0
P.E 아일랜드
2.0
1.9
1.7
뉴브런즈윅
0.8
1.1
1.0
자료: National Bank 보고서


1) 브리티시컬럼비아
- 비주거 및 서비스 부문에 대한 신규투자 확대가 향후 2년간 실질 GDP 성장 견인
- 특히 공공 및 에너지 분야 대형 프로젝트들의 사업자 선정이 마무리되면서 신규 착공이 본격화될 전망임.
- 대표적인 사업들로는 밴쿠버 파툴로 교량(Pattullo Bridge), 브로드웨이 지하철(Broadway Subway), 트랜스마운틴 송유관, 코스탈 가스링크 파이프라인(Coastal Gaslink Pipeline), LNG Canada 건설 등이 있음.
- 또한 IT, AR/VR, 로봇, 게임개발 등 첨단기술분야에서도 해외기업들의 BC 시장진출이 가속화되면서 관련 분야의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
- 하지만 지역 최대 제조·수출 산업인 임업 및 목재산업의 경우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시장에서 수요가 감소하며, 수출침체 부진이 장기화될 것

BC 경제성장률 전망(단위: %)
구분
2019
2020
2021
실질 GDP
2.0
2.5
2.4
실업률
4.6
4.9
4.7
고용증가율
2.8
1.2
1.2
주택거래 증가
-1.9
23.9
4.4
자료: TD Bank/ National Bank 보고서

2) 앨버타
- 에너지산업이 지역 경제발전을 견인하며, 향후 2년간 실질 GDP가 크게 호전될 것으로 전망됨.
- 2019년 하반기부터 주 정부가 기존의 원유감산 정책을 완화하는 방식으로 생산 확대를 꾀하고 있어 민간 에너지 기업들의 유전개발 투자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아울러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기업 법인세 인하 정책 또한 신규 사업 투자유치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
- 2020년 고용 성장률은 1.4%로 캐나다 전 지역 중 최고 수준이지만 여전히 실업률이 높아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주요 현안임.

앨버타 경제성장률 전망(단위: %)
구분
2019
2020
2021
실질 GDP
0.6
2.0
3.1
실업률
6.8
6.9
6.6
고용증가율
0.6
1.4
1.4
주택거래 증가
-0.4
6.8
7.1
자료: TD Bank/ National Bank 보고서

3) 서스캐처원
- 2019년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고용시장을 유지함. 여기에 2020년 이후 주택시장 회복 가능성이 커지면서 가계소비지출 확대가 예상됨.
- 또한 지역 주력사업 중 하나인 칼륨 채광의 경우 견실한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비료 제조 등 관련 농업분야 발전과 민간투자 유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됨.
- 하지만 2018년 발발된 화웨이사태로 인해 캐나다-중국 교역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당분간 카놀라 수출 침체는 불가피할 전망

서스캐처원 경제성장률 전망(단위: %)
구분
2019
2020
2021
실질 GDP
0.7
1.3
1.8
실업률
5.3
5.2
4.8
고용증가율
1.7
1.1
1.4
주택거래 증가
3.3
7.3
6.4
자료: TD Bank/ National Bank 보고서


4) 온타리오
- 2019년 지역 일자리 증가율은 20년 만에 최고로 빠른 수준이었으며, 실업률은 30년 만에 최저치 기록
- 하지만 2019년 GM 공장 폐쇄 등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제조업 일자리 상실과 신규 일자리 창출속도 둔화로 2020년 신규고용 증가율(1.4%)은 전년대비 크게 감소할 전망
- 하지만 전반적인 소비둔화에도 불구하고 최근 주택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주택가격 상승을 촉발해 가계 경기체감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
- 비주거부문에서 추진되는 대표적인 사업은 Darlington 리모델링, Gordie Howe 교량, 사니아 지역의 석유화학공장 건설 등임.

온타리오 경제성장률 전망(단위: %)
구분
2019
2020
2021
실질 GDP
1.4
1.6
1.7
실업률
5.6
5.8
5.7
고용증가율
2.8
1.4
1.0
주택거래 증가
9.5
9.2
3.8
자료: TD Bank/ National Bank 보고서

□ 시사점


ㅇ 새해 CPTPP(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 발효 1년 차, 캐나다 시장에서 국산제품과 경쟁 심화 전망
- 지난해 10월까지의 캐-CPTPP 교역현황을 분석해보면 수입은 5.4% 증가한 반면 수출은 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캐나다의 대CPTPP 수입과 관련해서 아시아 회원국 중 베트남으로부터의 수입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전년대비 28.3% 증가)
- 캐나다 시장 주요 수입 증가제품은 전화기, 자동차용 부품, 철강제품, 의류·신발 등이며, 이들 제품 모두 대한국 수입품목들과 겹쳐 국내 해당제품 수출 기업들의 관심이 요구됨.
- 실제로 같은 기간(2019년 1~10월) 캐나다 대한국 수입현황을 보면 품목별로 전화기(-20.1%), 승용차 타이어(-16.4%), 자동차 부품(-16.9%) 등 전년대비 수입액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됨.

캐나다-CPTPP 아시아 회원국 교역현황(2019년 10월까지 통계기준)(단위: %)
국가
수입 증감률
수입증가 품목(증감률)
일본
-2.4
자동차 부품(+135.6), 파이프(+361.2), 축전지(+176.2), 모터(+430.7)
싱가포르
-2.4
항공기 부품(+46.9), 가스터빈(+49.7), 채굴장비(+156.0), 의약품(+205.7)
베트남
+28.3
전화기(+77.1), 음성·영상기기(+172.6), 의류·신발(+68.8)
말레이시아
-4.7
출력장비(+28.7), 식용오일(+33.2), 자동차 부품(+32.8), 난방기(+121.3)
자료: Trade Data Online


ㅇ 캐나다 건설업, 비주거 대형 프로젝트 중심 성장(BC 건설협회 관계자)
- 2018년 캐나다 건설업은 GDP C$ 1415억 규모로 국가 GDP의 7.3%(5위) 비중을 차지
- 부문별로 보면 주거 43.7% + 비주거(공공, 상업, 산업부문) 56.3%로 주거부문의 건설투자 규모가 매우 큰 편임.
- 최근 캐나다 건설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공공 및 비주거부문 대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성장을 지속해오고 있으며, 그 결과 주거부문 건설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최근 3년 건설업 GDP는 4.9% 성장을 기록
- 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향후 캐나다 건설시장은 다가구주택 수요 회복과 정부의 SOC 투자 확대 그리고 에너지 산업의 인프라 확충사업 추진을 기반으로 안정적 성장이 기대됨.

캐나다 건설업 부문별 성장률 전망(단위: %)
구분
2015~2019년
2020~2024년
주요 시장
주거(아파트)
+7.5
+3.3
아파트, 고층콘도, 저층콘도
상업
-1.3
+2.4
유통/창고, 사무실, 호텔, 식당
공공
+2.3
+2.4
교육, 병원, 요양시설
엔지니어링
-4.0
+2.6
발전소, 대중교통, 유지보수 서비스
산업
+4.1
+2.8
공장, 운송·유틸리티·광업 설비
도로
+3.3
+2.1
신규도로 건설, 확장·보수
전력
+2.5
+2.2
송전선, 통신선, 발전설비
오일/가스
-4.4
+3.1
생산시설, 파이프라인, LNG 처리설비
자료: IBIS 보고서

- 예를 들어 캐나다 기존 인프라의 상당 부분이 여전히 개선 작업이 필요한 상황임. 특히 캐나다 도로와 교량의 약 40%는 상태가 매우 열악한 상태라고 지적
- 관련해서 2021년 이후 에너지, 대중교통, 경전철(LRT) 프로젝트 등 공공 SOC 프로젝트가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
- 다만 건설업이 활력을 되찾는 것 못지않게 미래 중장기 인력 부족 문제에 대비한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캐나다 건설업 퇴직인구 2019~2023년 13만 명 예상)

서부 캐나다 비주거 건설부문 고용 수요 성장률 전망(%)
구분
2019~2021년
2019~2023년
2024~2028년
주요 사업
BC
18
1
7
LNG, 송유관, 교량, 교통
앨버타
1
2
9
석유화학, 송유관
서스캐처원
-2
2
-6
칼륨광산 개발
캐나다
4
2
4
-
자료: Build Force 보고서


자료: National Bank 보고서, TD Bank 보고서, RBC, Economics 보고서, IBIS, Dalhousie Univ. 2020 식품 보고서, Business in Vancouver 등 미디어 자료, KOTRA 밴쿠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