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코로나 사태 항공, 유통 등 소비재 산업 직접 피해 불가피”

공유
0

“코로나 사태 항공, 유통 등 소비재 산업 직접 피해 불가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숙박, 여행, 항공업 등 소비재 산업이 직접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숙박, 여행, 항공업 등 소비재 산업이 직접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국내 항공업과 유통업, 화장품, 호텔업 등 소비재 산업의 직접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산업별 영향’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의 확산은 관광객 축소와 외출자제, 중국 내수 위축 등의 영향으로 유통업·호텔업·항공업·화장품업 등의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중국기업의 조업중단이 장기화될 경우 공급망 타격으로 인한 글로벌 가치사슬(GVC) 약화로 IT, 자동차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내 제조업으로 충격이 확산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영준 하나금융연구소 산업분석팀장은 “한국 수출과 입국 관광객의 중국 의존도가 30%를 상회한다”며 “코로나19 확산은 관광객 축소, 중국 내수위축, 글로벌 가치사슬 약화 등의 경로로 한국경제에 타격을 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가장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는 산업으로 유통업을 지목했다. 코로나19 확진자 방문에 의한 임시 휴업 매장의 매출 손실, 해외 입출국객 감소와 중국 소비 위축 등으로 인한 면세점 타격, 집합시설 기피로 인한 백화점과 대형마트, 전통시장의 영업위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김문태 하나금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점포당 매출액이 크고 해외 입출국객 변화에 민감한 면세점의 타격이 클 것”이라며 “최근 면세점 고성장이 외국인 매출 급증에 따른 것임을 감안할 때 큰 폭의 성장세 둔화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항공업 역시 전체 국제선 노선(여객수) 중 20%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노선의 운항 중단과 감편으로 인한 직접적인 매출 감소와 중국 노선 이외의 여행 자제에 따른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 공장 가동중단으로 인한 항공 화물 물동량 감소도 부정적이다. 특히 일본(불매운동), 홍콩(정치불안)에 이어 중국 노선마저 코로나19 확산으로 감편되면서 현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항공업계의 추가적인 구조조정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호텔업 역시 외국인 숙박객의 급감과 함께 호캉스 족으로 대표되는 내국인 숙박객의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단체 활동에 대한 거부감으로 각종 행사와 모임이 취소되면서 부대시설 매출 역시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객실 매출과 중국인 숙박 비중이 높은 3성급 호텔의 타격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며 5성급 호텔의 경우 부대시설 매출 감소 충격이 더 클 것으로 분석했다.

성장성이 높은 중국시장에 대한 진출을 적극 추진해온 화장품 업체도 긴장상태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최대 감염지대인 우한시의 화장품 매출 비중은 크지 않지만, 바이러스가 중국, 상해 등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매장 영업 중단이 장기화될 경우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중국인 및 외국인 여행자 감소에 따른 면세점 채널 및 로드샵 매장의 판매에도 충격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하나금융연구소는 제조업의 경우 중국 생산 공장이 휴무에 들어가면서 부품수급 차질로 국내 공장이 휴업에 들어간 자동차 산업을 제외할 경우 직접적인 충격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에도 중국 내 공장 가동 재개 움직임과 완성차 재고로 인해 공장 휴업의 실제 타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다만 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될 경우 부품 및 소재 조달과 물류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고, 중국의 수입수요도 위축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 기계, 화학 등 주요 제조업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안혜영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중국발 충격이 장기화될 경우에 대비해 기업들은 부품과 소재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 수입선 확보, 수출 다변화 등을 통해 위험을 분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