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현금성 복지로 성장 동력 약화된 이탈리아 답습 말아야

공유
0

현금성 복지로 성장 동력 약화된 이탈리아 답습 말아야

이미지 확대보기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05년 1인당 국민소득(GNI) 3만 달러를 돌파한 이후 4만 달러 클럽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사례를 답습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24일 전경련에 따르면 한국과 인구 및 경제규모가 비슷한 이탈리아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줄곧 연 0~1%대 성장에 머무르고 있다.
이탈리아는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었음에도 금융위기 이후 복지지출 비중을 확대했다.

2008년 이탈리아 GDP의 25.1%를 차지한 사회복지지출 2017년 28.1%로 증가했다.

반면 인프라 투자, 산업 및 기업 지원 등과 같은 경제·산업 진흥을 위한 정부지출은 2008년 4%에서 2017년 3.6%로 감소했다.

이탈리아는 OECD 국가 중 현금성 복지지출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로, 2015년 기준 GDP의 20.2%가 국민에게 현금으로 지급됐다.

이탈리아의 사회복지지출의 대부분은 연금으로 사용된다.

문제는 이탈리아가 이미 2009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 연금수급자가 늘어나는데도 지난 몇 년 동안 경제유발효과가 적은 현금성 복지 정책을 더욱 확대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9월 출범한 연정정부도 올해 확장재정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복지지출 확대에 따라 이탈리아는 유럽 국가 중 국가 부채비율이 그리스에 이어 2위에 이르는 등 재정 건정성이 악화됐다.

이탈리아의 GDP 대비 국가 부채는 2008년 106.1%에서 2018년 134.8%로 급등했다.

이탈리아의 지니계수(소득불평등 지표)는 2008년 0.317에서 2016년 0.328로 높아졌다.

실업률은 2008년 OECD 평균인 5.9%과 비슷한 수준인 6.7%를 나타냈으나 2018년 10.6%로 상승, OECD 평균인 5.3%의 배로 치솟았다.

이탈리아의 1인당 GNI는 2008년 3만 7910달러에서 현재 3만 달러 초반 수준이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