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 ‘코로나19’ 후폭풍 몰려온다

공유
1

한국 ‘코로나19’ 후폭풍 몰려온다

3개월 만에 코로나 타격 입은 中, 메가톤 후폭풍에 급추락
문 닫는 기업 속출…내수 침체 등 세계 공장 ‘미래 불투명’ 확대
中 경제 악순환 뒤따라가는 韓…내수기업, 고시 위기 직면
확진자 폭증에 ‘경제통행’ 끊어져...‘코리아 엑소더스’ 경고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한국발 여행객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에 출국 현황을 알리는 안내가 표시되고 있다.[사진=뉴시스] 이미지 확대보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한국발 여행객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에 출국 현황을 알리는 안내가 표시되고 있다.[사진=뉴시스]
중국 경제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후폭풍이 우리나라에도 몰려오고 있다.

코로나19 메가톤급 타격으로 '세계의 공장'으로 꼽히는 중국에서 문을 닫는 기업들이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장 가동 중단과 미래 불투명성 확대로 글로벌 기업들이 글로벌 공급망 대체에 나서고 내수 위축이 두드러지면서 생산성 마저도 급감하는 실정이다.

중국 기업들이 구조조정을 통해 생존을 위한 사투를 벌이고 있지만 코로나19가 진정기미를 보이지 않아 ‘제조업 위축→고용 감소→소비 위축→경기 둔화’라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가 지난해 12월말 창궐한 지 3개월만에 벌어지고 있는 현상이다.

확진자가 2월 중순부터 증가세를 보이는 우리나라도 중국의 악순환을 그대로 답습하는 형국이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 속에서 국내 사업은 이미 중국 코로나19 여파에 타격을 입었다. 여기에 확진자 급증으로 산업 현장의 ‘셧다운(가동 중단)’이라는 불투명성까지 높아져 세계 100여 개국이 입국 금지 조치를 내려 비즈니스 발길도 끊어진 상태다. 설상가상으로 코로나19가 내수 시장까지 파고들어 업종을 불문하고 가동 중단, 매출 급감이란 상황으로 치닫고 있어 자칫 산업 생태계가 붕괴될 위기에 놓였다.

미국 경제전문매체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는 '글로벌 인사이트' 보고서에서 코로나19가 세계적인 대유행(팬데믹·Pandemic)으로 확산하면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최대 3200조 원가량 줄 수 있다는 충격적인 분석을 내놨다.

◇코로나19 발생 3개 월 만에 한계 놓인 中 기업…中 엑소더스 ‘또다른 위협’
코로나19가 덮치면서 중국 기업들은 한계 상황에 내몰려 있다. 내노라 하는 중국내 기업들이 인수합병(M&A)시장에 매물로 나오고 있고 제조 업체 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에도 구조조정에 돌입해 실업자가 쏟아지고 있다.

최근 중국 외신 등에 따르면 중국내 강소기업으로 꼽히는 태양광 부품회사 하이룬광푸(海潤光伏)는 지난달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경매 사이트 알리파이마이(拍賣)에 매물로 나왔다. 공장부지·기계설비·직원기숙사 등 회사를 6억1800만 위안(약 1057억 원) 헐값에 팔겠다고 했지만 유찰된 상태다.

중국의 뉴미디어 유니콘 기업(기업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2025억 원)이상인 비상장기업) 신차오촨메이(新潮傳媒)는 지난달 전체 직원의 10%에 달하는 5000명을 해고하고 임원 연봉은 20% 삭감하는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요식업계도 직격탄을 맞았다. 중국 유명 음식 체인점 시베이(西貝)는 직원 2만여 명을 집으로 보내고 무기한 대기 조치했다. 훠궈(중국식 샤브샤브) 체인점으로 국내에서도 인기 있는 하이디라오(海底撈)도 중국 현지에서 550여개 점포를 휴점한 상태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공장 가동 일시 중지와 인구 이동 제한으로 각 제조 공장 생산이 멈춰 '세계의 공장이자 소비국'인 중국 경제가 멈춰선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 세관당국인 해관총서는 중국의 올해 1~2월 수출액 합계가 2924억 5000만 달러(348조 3000억 원)로 1년 전보다 17.2% 줄었다는 암울한 성적표를 내놨다.

중국 경제의 또다른 위협은 '중국 엑소더스(Exodus·대탈출)'다. 글로벌기업들이 코로나19에 따른 부품 공급 불안에 안정적인 공급처를 확보하기 위해 중국외에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마즈다는 중국으로부터 부품 수급이 일부 중단돼 당장 신차 판매에 영향을 받게 되자 부품 공급사를 멕시코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닛산과 혼다도 비슷한 양상이다.

스마트폰 업체 아이폰의 생산 대부분을 책임지고 있는 대만 위탁생산업체 폭스콘(富士康)도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대비책 마련에 고민하는 모습이다. 외신 등을 종합하면 폭스콘은 ‘현재로선 생산에 문제없다’는 입장이지만 올해 1분기 매출이 15% 가량 감소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인력난으로 인건비와 복지비 상승, 방역 비용 확대 등 급격한 비용 증가로 폭스콘이 중국이 아닌 다른 곳을 택하는 '우회 생산'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 내 국내 기업들도 비용 증가로 부담이 커지고 있다.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 소장은 “인건비 등 비용이 2배 이상 올라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2만3000개 한국 기업은 더 이상 중국에서 버티지 못하겠다고 아우성을 치고 있다”며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中 코로나 악순환 뒤따르는 韓…업종 불문 ‘직격탄’ 이어 세계화 고립?

코로나19에 한국 경제도 중국의 악순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이 한국 수출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경제 구조를 감안할 때 코로나19 후폭풍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중국 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한국의 대(對)중국 수출이 감소하고 중국산 부품 공급 차질에 따른 한국의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8일 발표한 ‘3월 경제동향’에서 “경기 전반이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며 “수출은 부진하고 내수도 경제심리 악화로 위축되고 있다”고 진단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지난 1월 경기부진 완화 기대를 낳은 우리 경제가 다시 ‘부진 늪’에 빠져들고 있다는 평가다. 아시아개발은행(ADB)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1% 가량 줄어들고 취업자는 36만 명가량 감소할 것이라고 암울한 분석을 내놨다.

일부 업종은 코로나19 로 사실상 매출이 바닥으로 떨어졌고 매출이 무려 50% 이하로 폭락한 곳도 크게 늘어났다. 제조업, 항공업, 관광업, 외식업, 학원업, 숙박업 등 업종을 불문하고 기업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미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LG전자 등 주요 대기업 공장은 확진자가 발생해 공장 가동을 일부 중단했다. 중국의 부품 공급난으로 현대차 울산 공장은 셧다운으로 생산 차질을 빚었다. 항공업계는 여행객 급감과 입국 제한 조치 등으로 백기를 든 상태다.

문제는 코로나19 장기화 여부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나면 산업계의 ‘셧다운’ 일상화로 생산성이 추락하고 내수 침체까지 겹쳐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중국과 마찬가지로 산업 불투명성에 따른 ‘코리아 엑소더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증폭되고 있다.

물론 코로나19가 전 대륙으로 퍼져 사실상 팬데믹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가파른 확진자 증가로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외 다른 지역에서 대체 생산할 가능성도 그만큼 커졌다.

우리나라 수출 비중의 약 8%를 차지하는 일본이 입국 규제를 시작했고 100여 개국이 한국발(發) 항공기의 입국 제한으로 ‘경제 통행’ 마저 끊어져 경제적 고립 수순을 밟고 있다. 코로나19 발현지 중국마저도 한국발 입국자들을 일정 기간 격기조치 하는 실정이다.

당장 중국에 거점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는 직원 파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 출장을 금지하고 있지만 중국 생산시설 가동이나 연구개발(R&D) 등 핵심 인력은 보내고 있다. 민감한 시기에 본사 차원의 대응을 위한 필수 인력을 보내지 못해 현지 공장 운영의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경우가 가장 큰 문제”라며 “지금 예단할 수 있지만 확산세가 멈추지 않고 이어지면 경제 침체는 물론이고 실업률도 상당히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c07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