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 칼럼] 코로나 19…기업 직접금융 조달 ‘불똥’

공유
0

[G 칼럼] 코로나 19…기업 직접금융 조달 ‘불똥’

글로벌이코노믹DB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DB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직접금융, 또 하나는 간접금융이다.

간접금융은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방법이다. 직접금융은 증권시장에서 주식이나 회사채를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다.
직접금융을 조달하면 기업에게는 간접금융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간접금은 ‘상환기일’이 있지만, 직접금융은 자금을 오랫동안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주식을 발행해서 조달하는 직접금융은 ‘소정의 배당금’만 지출하면 사실상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이다. 회사채도 은행대출처럼 1년 만에 갚아야 하는 ‘단기자금’이 아니라 ‘장기자금’이라는 유리한 점이 있다.

기업들은 증권시장에서 이 직접금융을 조달하고 있다. 증권시장에는 주식을 사고파는 ‘유통시장’ 기능뿐 아니라 자금을 조달하는 ‘발행시장’의 기능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코로나 19의 ‘불똥’이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에 애를 먹이고 있다. 코로나 19로 세계 경제가 타격을 받으면서 이른바 ‘불확실성’ 또는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투자자들이 투자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주식이나 회사채를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려고 해도 팔리지 않는 것이다.

기업을 공개한다고 하면 ‘조 단위’의 자금이 몰려들던 기업공개 시장에서는 공개를 철회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자동차부품 제조업체인 LS EV코리아 등 몇몇 기업의 경우, 기업공개 ‘철회신청서’를 제출했다는 소식이다. 나중에 다시 기업공개를 추진하면 되겠지만 ‘여건’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회사채 시장도 ‘찬바람’이다. 신용등급이 높은 대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마저 ‘미달’ 사태를 빚고 있다. 신용등급 AA등급인 하나은행 후순위 채권의 경우 3000억 원을 모집하는데 참가금액은 2700억 원에 그쳤다고 한다. 소위 ‘미매각’이다.

정부도 이 같은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그래서 ‘채권시장안정펀드’, ‘증시안정기금’을 조성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금융시장이 얼어붙으면 회사채와 주식을 발행,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 기업이 돈을 구하지 못하는 ‘돈맥경화’가 나타난다”며 “은행·증권·보험 등 금융권이 공동으로 출자하는 채권시장안정펀드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문제는 기업들의 ‘신용등급’이다. ‘코로나 불황’으로 기업들의 신용등급이 줄줄이 하락하면 직접금융 조달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기 때문이다. 무디스와 S&P 등 국제신용평가회사는 물론이고 국내 신용평가회사도 기업의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하거나 하향조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 대상에는 대기업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자금조달 금리가 높아질 뿐 아니라 조달 자체가 힘들어질 수 있다. 신용이 뒤지는 기업에 투자할 투자자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채권시장안정펀드 등을 만든다고 해도 ‘차환사채’ 발행 정도만 이루어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차환사채’는 이미 발행한 회사채의 만기가 닥치는 회사채를 회사채 발행으로 갚는 회사채다.

그럴 경우 회사채 발행을 통한 ‘신규자금’ 조달은 막힐 수밖에 없다. 정부가 채권안정펀드가 투입될 경우 차환발행은 이뤄질 가능성이 있지만, 시장이 온전히 정상화되려면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라는 지적이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