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2020 사우디 예산안 주요 내용

공유
1

2020 사우디 예산안 주요 내용

- 2020년 지출예산 전년대비 7.8% 감소한 약 2,719억 달러 편성 -
- 조선, 자동차 등 제조업 육성을 통한 非석유분야 수입 증대 목표 -



□ 2020년 사우디 예산안 개요

ㅇ (개요) 2020년 지출예산은 2,719억 달러, 수입은 2,220억 달러
- 지출예산은 전년대비 7.8% 감소한 2,719억 달러로 편성했으며, 지출의 효율성 제고로 인한 운영비용 감소 목표
- 2020년 저유가 지속 및 국제경기 침체 영향으로 재정수입은 전년대비 14.6% 감소한 2,220억 달러로 편성
- 2020년 재정적자는 499억 달러로 GDP 대비 6.4% 수준이며, 이는 2019년 대비 43% 증가한 수치
- 사우디 정부는 균형재정 달성 목표 시점을 당초의 2020년에서 2023년으로 연기

2015-20년 사우디아라비아 연도별 정부예산 동향
단위: 억 달러, %
구분
2017
2018
2019
2020
예산
증감률
예산
증감률
예산
증감률
예산
증감률
수입
1,856
34.1
2,387
28.6
2,600
8.9
2,220
▲14.6
지출
2,469
11.6
2,747
11.3
2,949
7.3
2,719
▲7.8
수지
▲613
26.1
▲360
41.3
▲349
3.1
▲499
▲43.0
자료: 사우디 재무부(MOF)

ㅇ (핵심 목표) Saudi Vision 2030 추진 통한 非석유분야 수입 증대
- 2019년 非석유분야 GDP는 2018년 대비 2.3% 증가
- 2019년 정부지출 대비 非석유분야 수입 비중은 약 30%로, 2016년 Saudi Vision 2030 발표 이래 정부 지출대비 非석유분야 수입 비율 최고 기록
- 사우디는 Saudi Vision 2030 핵심 목표 중 하나인 非석유분야 수입 증대를 위해 조선, 자동차, 방산, 의료 등의 제조업 분야 본격 추진 계획

2014-19년 사우디 정부지출 대비 非석유분야 수입 비중
단위: %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사우디 재무부(MOF),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체제작
주: 2019년은 추정치


□ 분야별 지출 개요

ㅇ 2020년 정부 지출예산은 총 2,719억 달러이며, 전년대비 8.5% 감소
- 민간부문 활성화,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개선, SAudi Vision 2030을 포함한 사회적, 경제적 지출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
- 경제자원(▲33.7%), 인프라 및 교통 분야(▲24.8%) 분야가 전년대비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 밖에도 공공분야(▲17.4%), 지방행정(▲15.4%) 감소 기록

2019-20년 사우디 분야별 재정지출 동향
단위 : 억 달러, %
구분
2019년
2020년
증감률
일반 행정
75
77
2.6
국방
509
485
▲4.9
보안 및 관리 영역
275
272
▲1.1
지방 행정
165
143
▲15.4
교육
515
514
▲0.2
보건 및 사회 발전
459
464
1.1
경제 자원
349
261
▲33.7
인프라 및 교통
186
149
▲24.8
공공분야
416
354
▲17.5
합계
2,949
2,719
▲8.5
자료 : 사우디 재무부
주 : 2019-20년 분야별 지출예산은 추정치


□ 예산안 주요 내용

ㅇ Saudi Vision 2030 추진, 정부지출 효율화, 非석유분야 수입 증대, 민간 분야 성장이 예산안의 주요 내용
- Saudi Vision 2030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을 위해 2023년까지 정부 균형재정 달성 목표
- Saudi Vision 2030 실현을 위한 국가 대형 프로젝트의 정상 추진 및 금융, IT, 관광, 제조업 등 非석유분야 육성
- 非석유분야 분야(제조업, 관광 등) 육성을 통한 Post-Oil 시대 대비 新성장동력 마련 및 국제 경기악화 영향 최소화
- 정부지출 효율화를 통한 공공서비스 지출 확대

ㅇ (GDP) 非석유분야 수입 증대로 2019년 GDP 0.4% 성장
- 유가회복 둔화 및 원유 생산 감소 정책으로 인해 2019년 석유분야 GDP는 전년대비 1% 감소한 반면, 非석유분야 GDP는 2.9% 증가
- 非석유분야 GDP 증가로 인해 2019년 GDP는 0.4%로 플러스 성장 기록

ㅇ (재정적자) 2020년 499억 달러의 재정적자 전망되며, GDP 대비 6.4% 수준
- 2019년 재정적자는 349억 달러였으며, 2019년은 43% 증가한 499억 달러로 전망
- 2020년 재정적자 증가는 석유분야 수입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
- 2020 국가개혁과제(National Transformation Plan 2020)를 통해 2020년 목표였던 정부 균형재정 계획을 2023년으로 연기

ㅇ (수입) 2020년 재정수입은 2,220억 달러로 편성
- 유가회복 둔화 및 국내경기 침체로 2020년 재정수입은 전년대비 14.6% 감소한 2,220억 달러로 전망
- 2020년 非석유분야 수입은 전체 수입의 38%인 853억 달러를 목표로 하고 있음
- 非석유분야를 제외한 정부 수입은 전년대비 11.3% 감소하여 총 1,688억 달러로 예상되며, 이중 석유분야 수입은 1,368억 달러로 전망
- 2020년 세금 수입은 총 53억 달러로 예상되며, 이는 2017년 대비 131.9% 증가한 수치이며, 2018년 부가세 도입 이후 매년 세금수입 증가 추세
- 세금 수입이 가장 큰 분야는 상품 및 서비스 부가세 분야로 전체의 71.5%로 약 38억 달러 차지
- 이 밖의 세금 수입으로는 기업활동 기부금(Zakat) 7억 달러, 금융 세금 4억 달러 등이 있음

ㅇ (지출) 2020년 재정지출은 2,719억 달러로 편성
- 교육(514억 달러), 국방(485억 달러), 보건 및 사회발전(464억 달러)가 전체 예산의 53.8% 차지
- 2017-19년 추진된 Center of Spending Efficiency(CSE) 정책을 통해 정부지출 효율화를 증가시킬 수 있었음
- 정부지출 효율성 증대로 인해 Red Sea 관광, Qiddiya 엔터테인먼트 등 국가 대형 프로젝트 추진 환경 조성
- 코로나19 경제 여파로 정부 지출예산의 약 5%인 133억 달러 삭감 발표(3.19)
- 사우디 재무부 장관, 정부 지출예산 삭감은 사회 및 경제적 영향이 적은 분야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구체적 시기 및 계획은 공개하지 않음

□ 시사점

ㅇ Saudi Vision 2030 추진을 통한 산업 다각화 노력 지속
- 코로나19, 러시아와의 감산합의 실패에 따른 국제유가 급락으로 정부 재정수입 감소 및 경기침에 장기화 가능성 증가
- 조선, 자동차, 의료, 방산, 관광 등 非석유분야 육성을 위한 산업 다각화 정책으로 Post-Oil 시대 新성장동력 마련하기 위해 노력 중
- 또한, 사우디는 2020년 11월 G20 개최국으로 Saudi Vision 2030 목표 달성을 위한 지출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

ㅇ Red Sea 관광, Qiddiya 엔터테인먼트 등 국가 대형 프로젝트 관심 필요
- Saudi Vision 2030의 핵심 프로젝트 인 Red Sea, Qiddiya 등은 다른 분야의 예산 삭감을 통해서라도 정상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
- 상기 프로젝트 이외에도 항만, 도로, 산업단지 등 산업 인프라 조성 관련 프로젝트 관심 필요
* 주요 산업단지 : King Salman 조선소, SPARK(King Salman 에너지 산업단지), Industrial Cluster(IC, 분야별 제조업 산업단지), 왕립위원회 산업단지(RCJY, Royal Commission for Jubail and Yanbu)

ㅇ 석유화학분야 JV를 통한 현지 투자진출 검토
- 非석유분야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여전히 원유 수출 중심의 석유 산업은 정부 수입의 60% 이상을 차지
- 석유화학 등 석유관련 분야까지 합치면 전체 수입의 70% 이상으로 추정
- SABIC(국영석유화학회사), SADARA(석유화학회사) 등 대형 석유화학사회사들은 자국내 다운스트림 분야 제조업 육성을 위한 외국기업 JV를 통한 현지 생산공장 구축 노력 중
- 특히, SADARA는 사우디 동부 담맘 북쪽에 Chemical Complex 건설 추진하고 있으며, 외국 석유화학 회사와의 JV 적극 추진 중
- JV를 통한 현지 생산공장 구축 시 저렴한 가격으로 다운스트림 소재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UAE, 쿠웨이트, 바레인 등 GCC 및 주변국가로 석유화학 제품 수출 가능


자료: 사우디 재무부 Budget Statement 2020, 현지언론(Arab News, Saudi Gazette 등),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