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생존 절벽' 내몰린 항공업계…‘할 수 있는 건 다 한다’

공유
1

'생존 절벽' 내몰린 항공업계…‘할 수 있는 건 다 한다’

허리띠 졸라맨 항공업계 코로나19 장기화 국면에 위기감 증폭
급여 반납·무급 휴직은 이제 ‘예삿일’, 인력 구조조정 움직임까지
정부 긴급 수혈 나섰지만… 코로나19 파고 넘기에는 ‘역부족’

텅 빈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출국장 모습.[사진=뉴시스] 이미지 확대보기
텅 빈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출국장 모습.[사진=뉴시스]

국내 항공사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생존 위기에 내몰리면서 인력 구조조정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각 항공사와 관련 근로자들이 노선 중단과 운휴, 무급 휴직, 급여 반납 등 허리띠를 졸라매며 위기 극복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강구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장기화에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정부의 긴급 자금 수혈에도 끝을 알 수 없는 불확실성에 경영 전략 수정이 불가피한 만큼 막판에 몰린 항공사들의 인력 구조조정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무급 휴직·급여 반납 이어 인력 구조조정 움직임도

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지난달 30일 1~2년차 수습 부기장 80여 명에게 4월 1일 자로 계약을 해지한다는 내용을 이메일로 통보했다. 통상 수습 부기장은 수습 기간 비행 훈련을 마치면 정규직으로 전환돼 왔다.

이스타항공은 경영난에 3월 급여를 지급하지 못한 상태로 4월 급여 지급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 지난 2월 급여의 60%도 지급하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이스타항공의 수습 부기장 계약 해지는 인력 구조조정의 전조로 해석되고 있다.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는 지난 23일 “지금의 위기 상황을 견뎌내기 위해 더 강도 높은 자구노력에 돌입할 것”이라며 “기재 조기 반납과 사업량 감소로 발생하는 유휴 인력에 대한 조정 작업이 불가피하다”고 인력 구조조정을 예고했었다.

지난달 항공기 두 대에 대한 임차 계약을 해지한 이스타항공이 추가 기재 반납에 나설 것으로 보여 사내 유휴 인력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운항노선의 90%가량을 중단한 대한항공은 외국인 조종사 387명 전원을 대상으로 3개월 간 무급휴가를 보냈다. 자발적인 휴직을 신청한 외국인 조종사 60여 명은 이미 지난달부터 월급 없이 쉬고 있다. 대한항공이 특정 부문 근로자 전원을 강제로 쉬게 하는 건 처음이다.

대한항공은 이달부터 부사장급 이상은 월 급여의 50%, 전무급은 40%, 상무급은 30%를 경영상태가 정상화될 때까지 반납하기로 한 상태다. 한진그룹 계열사인 한국공항도 경영악화 극복을 위해 모든 임원의 급여 일부를 반납하기로 했다.

아시아나항공 사정도 마찬가지다. 이달부터 모든 직원이 최소 15일 이상의 무급휴직에 들어갔고, 휴직 대상도 조직장까지 확대시켰다. 임원은 급여 10%p를 추가 반납해 총 60%를 반납하기로 했다. 지난 16일부터 운항이 중단된 A380 운항 승무원들은 고용유지 조치의 일환으로 유급 휴직에 들어갔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작업도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여파로 기업결합심사가 지연된 가운데 언제 재개될지도 미정이다.

HDC도 걱정이다. 아시아나항공 통매각 결정으로 아시아나항공뿐 아니라 극심한 경영난에 직면해 있는 에어부산과 에어서울까지 인수해야 한다. 2조 5000억 원 규모의 인수 대금 이외에도 코로나19로 인한 손실분과 앞으로의 불확실성까지 감당해야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일각에선 HDC의 인수 가능성에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인수를 하더라도 아시아나항공을 비롯한 자회사의 대규모 적자로 인한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코로나19에 큰 타격을 입은 저비용한공사(LCC)도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다. 그러나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진에어는 대표이사 50%, 전무급 40%, 상무급 30%의 임원 급여 반납을 결정했고, 유급 순환 휴직과 희망 휴직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재가 풀리면서 신규노선 허가와 신규항공기 등록 등 정상적 경영활동이 가능해졌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얼마나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제주항공은 경영진 임직원 30%를 반납하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유급휴직을 시행 중이다.

◇정부 LCC에 1260억 원 추가 지원…항공사 6조 원 손실 관측, 효과는 미지수

정부는 우선 LCC에 700억 원을 긴급하게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는 달리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에 대한 지원책은 내놓지 않고 있다.

산업은행은 지난 30일 제주항공에 400억 원, 진에어에 300억 원의 운영자금을 각각 지원하기로 했다. 앞서 산은은 지난 3일 티웨이항공에 60억 원을 지원하고 아시하나항공을 통해 계열사 에어서울과 에어부산에 각각 200억 원과 300억 원 등 모두 560억 원을 지원했다. 이에 따라 산은이 LCC에 지원하는 금액은 모두 1260억 원이다.

4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을 통해 에어부산에 280억 원을, 티웨이항공에 대해서도 추가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제주항공이 인수한 이스타항공의 인수자금에 대해서도 공정거래위원회가 기업결합심사를 완료하는 4월 중 1500억 원에서 2000억 원을 타행과 공동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항공사의 올해 상반기 손실 규모가 6조3000억 원 가량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정부 지원책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때문에 대형 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도 위기 상황으로 항공업계는 대규모 추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각 항공사가 저마다 급여반납과 휴직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장기화에 생존을 위해선 부득이하게 인력 구조조정뿐 아니라 팔 수 있는 건 모두 팔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라며 정부의 추가 대책을 주문했다.


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c07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