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새만금개발, 총선 앞두고 수질개선 해법 '해수유통' 선거쟁점 떠올라

공유
0

새만금개발, 총선 앞두고 수질개선 해법 '해수유통' 선거쟁점 떠올라

현역의원 무소속 후보, 전면 해수유통 공약 내걸고 공론화위원회 설치 요구 지역표심 자극
민주당 후보, '수질-개발 공존' 부분 해수유통 선호...환경부 "평가결과 9월 나오면 결정할 것"

새만금 스마트 워터프론트 시티(수변도시) 조감도. 사진=새만금개발청 이미지 확대보기
새만금 스마트 워터프론트 시티(수변도시) 조감도. 사진=새만금개발청
올해 스마트 수변도시 조성 첫 삽을 뜰 계획인 새만금 개발사업의 '수질 개선'과 '해수 유통' 문제가 4·15총선의 지역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3일 환경부와 무소속 김종회 의원(전북 김제부안) 등에 따르면, 전북 김제부안 선거구에 출마하는 김 의원은 '새만금 해수 유통'을 자신의 대표 선거공약으로 내걸고 정부에 '새만금 해수 유통 공론화위원회' 설치도 요구했다.
해수 유통은 방조제의 배수갑문을 열어 강물과 바닷물이 합쳐지도록 하는 조치로, 새만금 방조제의 경우 새만금호 수위를 해수면보다 1.5m 낮게 유지하기 위해 배수갑문을 만조 때 폐쇄하고, 간조 때 개방하는 식으로 운영한다.

김 의원 등 해수 유통을 주장하는 쪽은 현재의 배수갑문 개방 시간이 너무 짧아 배수갑문에서 먼 곳까지는 바닷물이 섞이지 않아 수질 악화가 개선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보다 배수갑문 개방시간을 늘려 지금의 수위를 유지하면서도 배수갑문 반대편 끝까지 해수가 섞이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주장한다.

김종회 의원은 "신고리 5·호기 건설중단 문제에 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 정부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했듯이 새만금 해수유통 문제에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위원회 설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북지역 환경단체 '2020 새만금 해수유통 전북행동'에 따르면, 지역 총선후보 29명 중 절반 가량인 14명이 새만금 해수유통에 찬성하고 있다.

이같은 전북지역의 '새만금 해수 유통' 선거 쟁점화는 새만금호 목표 수질이 농업용지 4급수, 도시용지 3급수로 설정돼 있으나, 현재 5~6급수에 머물러 있다는 주장과 함께 지역사회 내에 수질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기 때문이다.

김종회 의원은 지난 2001년부터 시작된 새만금 수질개선사업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며 지금까지 약 20년 간 투입된 4조 4000억 원에 이르는 수질개선사업비를 감사원이 감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같은 선거구(전북 김제부안)에서 김종회 의원과 경합을 벌이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후보는 청와대 행정관과 전북도 정무부지사 출신으로 새만금호 수질개선 업무를 다뤘던 당사자이다.

이 후보는 '전면 해수 유통'보다 '부분 해수 유통'에 기반한 수질과 개발의 공존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새만금방조제가 위치한 지역의 선거구 후보들이 '해수 유통'을 주요 선거 이슈로 제기하고 있는 것과 달리 환경부와 새만금개발청은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11년 시작된 '새만금 수질개선 2단계사업'의 올해 마무리를 앞두고 10년 간의 수질개선사업 성과를 종합평가하는 연구용역이 오는 9월말 나올 예정이기 때문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오는 9월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전면 또는 부분 해수 유통 여부 등 전반적인 수질개선 방안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수 유통 이슈와 별개로 새만금개발청과 새만금개발공사가 약 1조 1000억 원 규모로 추진하는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워터프론트 시티) 조성사업'도 주목받고 있다.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 사업은 새만금 일대 6.6㎢ 넓이의 부지에 재생에너지, 스마트빌딩, 인공해변, 수상호텔, 레포츠시설 등을 건설해 주거, 산업, 관광이 결합된 수변도시를 만드는 내용이다. 이달 말 입찰공고를 시작으로 실시설계 적격자 선정을 거쳐 오는 11월 말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예상 상주인구는 2만 5000명으로, 오는 2024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역 업계에서는 담수호를 전제로 개발돼 온 새만금호 내에 조성되는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 건설사업이 4·15총선과 오는 9월 연구용역의 결과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을 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