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코로나19에 따른 카타르의 경제동향과 정부 대응 조치

공유
0

코로나19에 따른 카타르의 경제동향과 정부 대응 조치

- 민간경제 활성화 위해 206억 달러 규모 경제 및 금융 지원책 마련 -
- 걸프 국가 최초 국채 100억 달러 성공적 발행 -







카타르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ㅇ 2020년 2월 29일 카타르 내 코로나19 최초 확진자 발생


코로나19 발생 현황
확진자
누적 검사자
완치자
사망자
2,376명
43,144명
206명
6명
자료 : 카타르 공공보건부(MoPH), 2020 4월 10일 기준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주요 대내외 조치

ㅇ 시행 일자별 주요 조치


시행일
조치 내용
3월 12일
- 영화관, 어린이 놀이시설, 체육관, 웨딩홀 운영 중단
3월 15일
- 지하철, 대중교통 버스 운행 중단(택시, 우버 서비스 정상 운영)
3월 16일
- 모든 식당 실내 영업 금지(포장 및 배달은 허용)
3월 17일
- 산업단지(Industrial Area) 내 일부 구역 폐쇄
- 대형 쇼핑몰 내 상점 및 은행 운영 중단(약국, 식료품점 정상 운영)
- 미용실 및 미용 방문 서비스(Home service) 운영 중단
3월 18일
- 정부기관 근로자 80% 재택근무 시행
- 카타르 국적자 외 모든 외국인의 입국 불허(환승 터미널은 정상 운영)
- 카타르 국적자 입국 시 14일간 자가 또는 시설 격리
3월 21일
- 해변가, 공원 등 공공장소 내 모든 형태의 모임 금지
3월 26일
- 환전소(Money exchange) 운영 중단
3월 27일
- 커피숍, 학원, 이벤트 서비스 등 비필수(Non-essential) 산업 분야 운영 중단
- 이 외 상점은 오전 6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영
4월 2일
- 민간 부문 근로자 80% 재택근무 시행
- 회의는 원거리(화상상담)로 수행하며, 필수불가결한 경우 5명 미만으로 진행
- 정부 및 민간부문 근로자 근로시간 오전 7시~오후 1시로 조정(국방, 외교, 보건의료, 정부 프로젝트 관련분야 등 일부 산업분야 예외 적용)
- 청소 및 호스피탈리티 분야 방문 서비스 (Home service) 중단
자료 : 주요 일간지(Gulf Times, Peninsula, Qatar Tribune)

ㅇ 물류 운영 현황
- 한국을 포함한 68개국에 대한 항공 우편물(서류, 소포, EMS) 등 수발신 서비스 잠정 중단
- DHL, FEDEX 등을 통한 국제 항공 특송과 일반 해상 운송은 정상 운영 중

코로나 19 발생에 따른 경제적 영향

ㅇ 대외 교역
- (교역액) 2020년 2월 누계 기준 대외 교역액은 174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5% 감소
- (수출) 전체 수출은 유가 하락 및 에너지 수요 감소에 따른 에너지(가스, 원유) 및 석유화학 제품 수출 감소로 전년 동기대비 7% 감소한 120억 달러 기록
- (수입) 전체 수입은 자동차, 항공기 부품, 금(Gold) 수입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동기대비 2% 증가한 54억 달러 기록

ㅇ 에너지 가격 하락
- 코로나19에 따른 에너지 수요 감소 및 2020년 3월 산유국 간 감산합의 불발로 브렌트유는 3월 말 18년만의 최저치로 하락
- 천연가스도 수요는 감소하고 있으며, 4월 2일 사상 최저를 기록


천연가스 및 유가 동향
브렌트유(ICE)
이미지 확대보기

천연가스 (NYMEX)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 Bloomberg, KOTRA 도하무역관 가공

ㅇ 구매관리자지수(PMI)
- 카타르 민간기업 약 400개사(제조업, 건설, 도매업, 유통 및 서비스 등 분야)를 대상으로 조사한 구매 관리자 지수 조사에 따르면, 2020년 3월 구매관리자지수는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으로 전월 49.3 대비 감소한 46.6을 기록
- 분석에 따르면 라스라판(Ras Laffan) 산업단지를 포함해 전반적인 제조업 분야에서 평년 수준의 생산을 이어갔으나, 서비스 분야는 정부 주도의 일부 민간분야 셧다운(Shutdown) 실시에 따른 영향으로 약세를 보임.

카타르 구매관리자지수 동향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Qatar Financial Centre(IHS Markit)

ㅇ국가신용등급
- 국제신용평가기관 S&P는 카타르의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AA-/A-1+’, ‘안정적’으로 유지(대만, 이스라엘, 쿠웨이트와 동일)
- GCC 6개국 중 쿠웨이트와 오만의 신용등급은 기존 대비 강등됐으며, 나머지 국가는 유지
- S&P는 국제 에너지 가격이 낮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카타르 정부의 풍부한 대내외 재정여건은 외부 충격을 견뎌내는 완충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함. 그러나 국제유가 상황이 더 악화된다면 국가신용등급 강등 우려도 있다고 전망

프로젝트 시장 영향


ㅇ 2020년 프로젝트 예산 247억 달러 중 의 1/3 규모(총 82억 달러) 프로젝트 추진 연기
- 프로젝트 예산 주요 지출처는 북부가스전 확장 (North Field Expansion, NFE) 프로젝트, 샤크 크로싱 교량 및 터널 (Sharq Crossing) 프로젝트, 주요 고속도로 및 상하수도 공사 등 중대형 인프라 프로젝트로 구성
- 프로젝트 추진 연기에 따라 주요 입찰 일정 변경, 추진 규모 축소 등의 변동사항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


카타르 정부 예산
(단위 : 억 달러)
구분
2018
2019
2020
증감(YoY)
재정수입
571.2
579.7
579.7
0.0%
재정지출
529.8
567.6
578.3
1.9%
재정수지
41.4
12.1
1.4
△88.6%
프로젝트 지출
213.8
245.9
247.3
0.6%
주 : 2018년은 확정 기준, 2019년 2020년은 발표 기준
자료 : Ministry of Finance

ㅇ 북부 가스전 확장 프로젝트* 관련 입찰 일정 및 생산 시기 연기
- QP(Qatar Petroleum)에 따르면, 입찰 참가 기업들의 요청에 따라 LNG 트레인 4개를 건설하는 1단계(Phase 1)에 대한 최종 입찰서 제출일 연장으로, 시공사 선정도 2020년 4분기로 연기
- 입찰 절차 지연에 따라 신규 가스 시설의 생산 시작일도 3~6개월 가량 연기돼 2025년으로 예정
* 2019년 11월 QP는 북부가스전에 6개 LNG 트레인을 증설해 연간 LNG 생산규모를 2027년까지 64% 확대하는 증산 계획 발표(現 연간 7,700만 톤 → 2027년 1억 2,600만 톤)

코로나19에 따른 카타르 정부의 경기 부양책

ㅇ 국왕 주재 위기관리최고위원회(Supreme Committee of Crisis Management)를 통해 경기 부양책 발표
- 정부는 3월 15일 민간 경제 활성화를 위해 총 750억 리얄(약 206억 달러) 규모의 경제 및 금융 지원책 마련
- (카타르중앙은행) 민간분야에 6개월 대출상환 유예조치 등 시중은행의 금융시장 안정정책 마련
- (카타르개발은행) 모든 대출기업에 6개월 대출상환 유예
- (정부기금) 100억 리얄(약 27억5000만 달러)을 주식시장 활성화를 위해 활용
- (카타르중앙은행) 시중 은행에 추가 유동성 지원
- (물가안정) 식품 및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해 6개월간 관세면제 실시로 소비자 물가안정 유도
- (수도전기료 인하) 숙박 및 여행업, 소매업, 중소 제조업, 물류업, 상업시설 임대업에 대해 6개월간 전기료, 수도요금 면제
- (임대료) 6개월간 물류 분야 및 중소 제조업에 대한 임대료 면제

ㅇ 걸프국가 중 최초로 국채 100억 달러 성공적 발행
- 카타르의 국채발행 배경으로 낮은 가스 가격이 당분간 큰 반등을 보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해 재정적자 부분에 대한 자금조달을 위해 국채를 발행했다고 분석되고 있음.


시사점

ㅇ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증대
- 무인 계산대, 비접촉 출입통제 장치, 비접촉 체온계 등 언택트(Untact) 비즈니스 수요 발생
- 학교 등교 중단 및 재택근무 실시에 따른 원격교육 관련 기자재, 이러닝(E- Learning), 화상상담 솔루션 등 교육 및 IT 분야 수요 발생
- 전자상거래 및 배달 서비스 수요 증가에 따라 자동차(오토바이, 냉동탑차, 승합차 등), 포장기자재, 신규 앱·홈페이지 개발 수요 증가

ㅇ 의료분야 관련 물품 수출 및 제조업 분야 협력 유망
- 진단키트, 의료용 소모품류(마스크, 장갑, 방역복 등), 지폐 및 생활용품 소독기 등 의료·방역 물품에 대한 바이어 인콰이어리 증가
- 카타르는 의료기기 및 의료 소모품 관련 제조업이 취약한 편으로, 물품 수출뿐만 아니라 현지 제조업 분야 단독·합작 진출 고려 가능

ㅇ 프로젝트 시장 관련 현지 시장 동향 예의 주시 필요
- 프로젝트 규모 축소 및 연기 등에 따라 일부 산업기자재 수입 및 프로젝트 일정 변경 불가피
- 현지 발주처 및 거래처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및 물품 구매와 관련한 변동사항을 수시로 파악하여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대응 필요


자료 : 현지 주요 일간지(Gulf Times, Peninsula, Qatar Tribune), 카타르개발계획통계부(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로이터통신(Reuters), 블룸버그(Bloomberg), S&P, KOTRA 카타르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