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슈 24] 중국, 코로나19 ‘백신개발’ 정보 빼내려 전방위 사이버 공격…한국도 대상?

공유
0

[글로벌-이슈 24] 중국, 코로나19 ‘백신개발’ 정보 빼내려 전방위 사이버 공격…한국도 대상?

중국이 코로나19 백신개발 주도권을 잡기 위해 해커를 동원해 미국, 영국 등 연구기관과 제약사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이 코로나19 백신개발 주도권을 잡기 위해 해커를 동원해 미국, 영국 등 연구기관과 제약사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5월 13일 미국 국토안보부 및 연방수사국(FBI)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에 대한 백신 및 치료법 개발연구에 관한 정보를 중국의 해커나 스파이가 미국의 연구기관과 제약기업, 의료 관련 조직 등에서 빼내기 위해 사이버 공격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공식 경고한 바 있다.

이에 앞서 5월 10일 자 뉴욕타임스에서는 이 신문의 데이비드 생거 기자와 니콜 펄로스 기자가 이 문제에 대해 해설기사를 썼다. 기사에 따르면 “중국의 사이버 공격은 종래부터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었으므로 이번 팬데믹과 관련된 중요한 조직을 노리는 것은 놀랍지 않지만, 최근에는 이란이나 한국, 일본 등에도 사이버 공격을 하고 있다”고 한다.

이와 함께 “미국과 영국 양국은 공동으로 의료기관, 제약회사, 학계, 의료연구기관, 지방정부가 표적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사이버 보안업체 ‘파이어아이’의 정보분석 주임은 “평소 국제 공중위생기구, 병원 등을 대상으로 하기를 주저하는 각국 정부도 지식과 정보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어 그 선을 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항말라리아 치료약 렘데시비르가 5월 1일 미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됐고, 한국에서도 최근 사용이 허용됐지만, 이는 치료약으로 감염 후 중증화를 막는 데 효과적이지만 코로나19를 원천적으로 예방하려면 백신이 필요하다.

최근 코로나19가 장기화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와의 공존’도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되고 있지만, 백신이 있으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존’은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각국이 백신 개발에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특히 중국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진원지로 그 오명을 벗기 위해 재빨리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극복했다며, 락 다운(도시 봉쇄)의 해제나 경제활동의 재개를 선전하고 있다.

만약 세계 최초로 백신 개발에 성공한다면 이보다 더 선전할 만한 것이 없다. 중국이 정통적인 연구 개발을 진행시키는 한편, 사이버 공격으로 백신 개발의 노하우를 취득하려고 하는 것은 중국에 있어서 부자연스러운 일은 아니다.

이 같은 중국의 사이버 공격을 미국이 비난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 배경에는 미‧중의 격렬한 대립이 있다. 미국은 무역 불균형, 지적 재산권 불법 취득, 경제에 대한 국가 간섭 등을 놓고 중국을 비난해 왔는데, 최근 들어 팬데믹이 새로운 갈등의 씨앗이 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팬데믹에 대한 늑장 대응에 대한 비판을 면하는 의미도 있으며, 팬데믹의 발생원이 중국인데 중국 정부는 이를 은폐했고, 이로 인해 감염이 전 세계로 확산됐다며 중국을 비난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에 대해 사실에 반한다며 강하게 반박하고 있다.

현재 신형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놓고 전 세계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지만, 보스턴의 바이오 제약회사 모데나와 옥스퍼드대 제너연구소가 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데나는 2021년 안에 승인을 얻고 싶다고 했으며, 옥스퍼드 대학은 백신을 몇 달 안에 완성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제2파, 제3파가 있다고도 말해지고 있어 백신의 하루라도 빠른 개발과 실용화는 세계가 강하게 바라는 것이지만, 그 사이에 있어서, 상기 해설 기사가 말한 것처럼 백신 개발을 둘러싼 사이버 공격이 있는 것은, 피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연구기관이나 기업 등에서 백신이나 치료 약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자국의 기술, 지적재산을 지키는 의미에서도 사이버·보안의 강화나 보다 철저한 정보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김경수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ggs07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