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데스크 칼럼] 포스트 코로나 사회

공유
0

[데스크 칼럼] 포스트 코로나 사회

노정용 편집국 부국장
노정용 편집국 부국장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이 전 세계를 위험에 빠뜨렸다. 아직도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확산 추세에 있어 위기가 끝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세계 각국들이 속속 경제 재개를 선언하면서 자가 격리 또는 재택 대기 상태에서 서서히 일상생활로 돌아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확대는 2차 유행, 3차 유행의 형태로 여러 번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새로운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은 향후 언제든지 인류 사회를 위협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이번 코로나19 전염병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에 적합한 사회 시스템을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데 포스트 코로나 시스템 구축은 말처럼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우선 현 위기 상황을 단순히 벗어나기 위한 정책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새로운 패러다임에 입각한 개혁에 나서야 한다. 첫째가 국제 사회의 공조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세계 인류의 보건을 책임지는 기구로서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특정 국가의 편에 서기보다 인류 전체의 질병을 예방하고 수습하는 일에 앞장서야 한다.

트럼프 정권의 '아메리카 퍼스트(America First)' 정책이나 영국의 EU탈퇴(브렉시트) 움직임으로 상징되는 '자국 우선주의'는 큰 장벽을 형성하며 막 다른 한계를 노출했다. 뿐만 아니라 중국 시진핑 주석, 러시아 푸틴 대통령, 터키 에르도안 대통령,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 등은 '코로나19 사태'를 활용해 오히려 자신들의 권력을 강화했다. 유행병의 초기에는 세계 각국이 다른 나라에서 감염자의 유입을 막기 위해 출입국 제한이나 국경 봉쇄 등의 '고립 정책'을 선보였는데, 이는 역설적으로 새로운 차원의 '국제 협조' 없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줬다.

세계 각국이 긴밀하게 상호 의존하는 세계화 시대에 장기적으로 국경 간 이동을 통제하다보니 전 세계 경제가 마비됐다. 경제전문가들은 금융시스템의 결함으로 발생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는 달리 코로나 쇼크는 곧바로 진정되고 경제회복이 쉬울 것으로 예상했지만 모든 예측은 빗나갔다. 그만큼 세계 경제와 우리 삶이 거미줄처럼 한 통속으로 굴러가고 있음을 방증한다.

둘째 코로나19 폭락장에서도 주식 시장을 뜨겁게 달군 바이오 산업에 대한 재검토다. 코로나19가 천연두, 홍역 등과 같이 인류의 기본적인 질병이라면 세계 각국이 앞장서서 백신과 치료제를 공공의 자산으로 만들어야 한다.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며 미국을 필두로 전 세계로 시위가 확산되고 있는 배경에는 생명존중과 함께 빈부격차가 있다. 불행 중 다행히 금융권과 빅테크 기업들이 앞장서서 인종차별과 빈부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선언,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셋째 코로나19 전염병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감염 정보와 의료 정보를 교환하고 의료와 경제 양면에서 상호 협력 체제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개발도상국에 의료팀 파견과 의약품, 의료기구 제공, 또 그에 따른 경제적 지원을 실시하지 않는 한 세계적인 전염병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없다.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에 '우리나라만 지키면 된다'는 자국 우선주의나 '나만 괜찮으면 된다'는 이기주의는 문제를 해결하기는커녕 위기를 확산시킨다. 포스트 코로나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조하고 있지만 그 의미는 '물리적 거리두기'에 제한하고 오히려 '심리적·정서적 가까이하기'로 다가서야 한다. 우리 사회는 거미줄같이 한올 한올 얽혀 있기에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지혜를 짜내지 않으면 안 된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