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6.17대책 전문가 평가] “규제 일변도 대책…실수요자 최대 희생양 우려”

공유
0

[6.17대책 전문가 평가] “규제 일변도 대책…실수요자 최대 희생양 우려”

함영진 직방 랩장 “비규제지역 과열 진정, 거래는 당분간 소강상태 전망”
양지영 R&C연구소장 “조정대상지역 9억이하 아파트 '규제구멍' 풍선효과”
권대중 명지대 교수 “전방위 자금조사는 주택거래허가제...서민 주거난 심화”
심교언 건국대 교수 “대출 의존 실수요자 주택자금 규제는 집 포기하라는 것”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갭투자 규제를 핵심 내용으로 한 '6.17 부동산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갭투자 규제를 핵심 내용으로 한 '6.17 부동산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수도권 규제지역을 대폭 확대하고, 갭투자(전세 낀 주택 매입) 차단을 위해 실거주 의무를 강화하는 내용이 담긴 문재인 정부의 21번째 부동산대책이 17일 발표됐다.

이른바 6.17대책에는 과열지역의 투기수요 차단과 대출·재건축·법인투자 규제 등이 망라돼 됐다.
세부 내용으로 ▲수도권 전역으로 조정대상지역 확대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 ▲잠실 MICE와 영동대로 개발 사업부지 일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전입·처분 요건 강화 ▲전세자금대출보증 이용 제한 강화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법인 소유 주택에 종합부동산세·양도소득세 강화 등이다.

6.17대책의 내용을 두고 시장에서는 예상보다 규제의 수위가 예상보다 높다는 반응이다. 규제지역 확대와 맞물려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 등 대출규제 장벽을 높이고, 재건축사업을 조여 투기세력을 차단하는 등 고강도 규제망을 촘촘히 엮었다는 평가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이 단기적으로 부동산시장으로 자금 유입을 다소 둔화시킬 수 있지만 중장기 면에서 또다시 가격 상승을 불러일으킬 여지가 높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규제 도구가 ‘핀셋’에서 ‘집게’로 커졌을 뿐 ‘규제가 규제를 부르는 악순환’에서 못 벗어난다는 게 공통된 지적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이번 대책으로 풍선효과가 발생한 비규제지역의 국지적 과열현상이 일부 진정되는 것은 물론 단기적으로 거래시장이 소강상태를 보이고, 수요자도 관망하는 움직임이 현실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지영 R&C연구소 소장은 “시장의 기대감이 꺾이지 않는 이상은 투자 수요는 또 다른 ‘규제 구멍’을 찾을 수밖에 없다”면서 “투기과열지구보다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가 덜한 조정대상지역 내에서 9억 원 이하 아파트는 또 다른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조정대상지역인 광교신도시는 이미 일부 서울 집값을 뛰어넘어 전용 84㎡가 20억 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재건축 안전진단 절차를 강화하고, 재건축 부담금 제도를 개선하는 등 재건축을 규제하는 내용에도 양 소장은 “공급 부족에 따른 불안감을 더욱 불러일으켜 새 아파트의 가치를 더 치솟게 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대출 규제를 한층 강화하고 공급을 억제하는 방향은 결국 무주택 실수요자들을 6.17대책의 최대 희생양으로 만들 것이라는 경고도 나왔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투기과열지구의 경우, 거의 모든 주택이 자금출처 조사대상이란 점에서 사실상 주택거래허가제와 다름없다”면서 “정비사업 억제로 공급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서민층 주거난을 심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도 “실수요자 대부분이 대출을 껴안아야만 집을 살 수 있는데 대출을 규제해 버리는 것은 이들에게 집을 사지 말라는 것과 다름없다”면서 “이는 서민들에게 자산 증식의 기회조차 막아버리는 꼴”이라고 말했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