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남, 충북, 광주·전남 지역혁신 플랫폼,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선정

공유
0

경남, 충북, 광주·전남 지역혁신 플랫폼,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선정

플랫폼 구축, 지역에 고등교육 규제샌드박스 도입 등 전폭 지원

경남과 충북, 광주·전남 3개 지역 혁신 플랫폼이 국고 1080억 원을 지원받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자료=교육부 제공이미지 확대보기
경남과 충북, 광주·전남 3개 지역 혁신 플랫폼이 국고 1080억 원을 지원받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자료=교육부 제공
경남과 충북, 광주·전남 3개 지역 혁신 플랫폼이 국고 1080억 원을 지원받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

교육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선정결과를 발표했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은 지자체와 대학, 고교, 기업 등 지역의 다양한 기관이 '지역혁신 플랫폼'을 꾸려 지역의 교육·취업 등 전반적인 정주 여건을 개선 하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업신청 접수 결과 비수도권 14개 모든 시·도가 단독 또는 연합으로 총 10개 플랫폼을 구성해 지원했다. 교육부는 이들 플랫폼을 대상으로 선정평가를 진행해 경남, 충북, 광주·전남 지역혁신 플랫폼을 선정했다.

경남은 17개 대학과 49개 지역혁신기관 등으로 플랫폼을 구성해 ▲제조엔지니어링▲제조ICT▲스마트공동체 3개 핵심분야를 선정했다.

충북은 15개 대학과 44개 지역혁신기관 등으로 플랫폼을 구성해 ▲제약바이오▲정밀의료·기기▲화장품·천연물 등 바이오 산업과 관련된 3개 분야를 핵심분야로 구성했다.

광주·전남은 두 개 지자체가 연합해 15개 대학과 32개 지역혁신기관 등으로 플랫폼을 구성해 에너지신산업과 미래형운송기기 2개를 핵심분야로 정했다.

선정된 지역혁신 플랫폼들의 특징을 보면 공유대학 등 지역대학 간 상생·협력체제 구축이 돋보인다.
지역대학의 약화된 경쟁력과 우수 지역인재의 유출 등으로 인한 악순환을 타개하기 위해 지역대학들이 자율적으로 상생·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대학들이 가진 강점분야를 중심으로 ‘공유대학 모델’을 제시한 것이다.

국내 처음으로 지역단위에서 추진되는 공유대학 모델들은 대학의 온라인 교육인프라와 지역대학 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공동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 공동·복수학위 추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지역 혁신기관과 네트워크를 활용한 현장실무 교육을 활성화해 지역 기반 온·오프라인 교육 체제를 구축하고, 고등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효과도 볼 수 있다.

경남은 지역 내 협의과정을 거쳐 공유대학인 ’USG 모델’을 개발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자체·대학·산업체의 협업노력을 극대화 ‘지방대학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혁신적 시도’라는 평가를 받았다

충북은 지역의 바이오 산업기반에 맞춰 ‘바이오헬스’ 관련 핵심분야만을 선택해 ‘충북 바이오헬스 산업 인력 양성체계’를 구축했다. 바이오산업의 수요와 공급을 매칭하였다는 점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광주·전남은 대학이 공동 학습관리시스템(LMS)을 통해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내 고교에 비대면 학습콘텐츠를 제공하고, 교원의 다과목 지도역량 강화를 지원하여 핵심분야 산업의 생애주기적 인력양성체계를 공고화하는 계획을 마련했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대학과 지자체 간 협업을 통해 다양한 지역혁신 모델이 구축·발전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교육부는 규제혁신 등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이들의 성공모델을 바탕으로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을 확산하겠다"고 말했다.


유명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y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