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이슈 24] 미중간 갈등, 글로벌 시장리스크도 증가

공유
0

[글로벌 이슈 24] 미중간 갈등, 글로벌 시장리스크도 증가

신냉전으로 확대되면서 경제권도 양극화 추세 심화 전망

지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갖기 전 악수를 나누고 있는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갖기 전 악수를 나누고 있는 모습. 사진=로이터
미중간 긴장고조가 신냉전으로 격화함에 따라 글로벌 시장리스크도 높아지고 있다고 CNBC 등 외신들이 2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미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연구에 관여하는 미국기업들을 겨냥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인 해커 2명을 기소한 후 미국 휴스턴의 중국영사관 폐쇄를 명령했다. 미국 정부는 “이같은 조치는 지적재산권과 민간기업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미국의 이같은 조치에 반발해 미국이 영사관 폐쇄 명령을 취소하지 않는 한 이에 상응하는 보복조치를 내릴 것이라고 대응했다.

월가는 그동안 미중간 갈등관계의 격화가 가져올 결과에 대해 조사해왔다. 하나의 일관된 견해는 경제와 기업이 중국이나 미국 궤도를 향해 끌려가면서 훨씬 더 양극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양극화로 재편성되는 것은 훨씬 복잡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록펠러(Rockefeller) 자산운용사의 수석 투자전략가인 지미 창(Jimmy Chang)은 "코로나19 위기에서 중국이 어떻게 초기에 대응했는지 또 현재 홍콩에 대한 국가안보법이 시행된 상황에서 서구와 중국이 어떻에 정상관계를 회복할지를 판단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면서 "양자간 디커플링(탈동조화)은 중국이 주요 정책변경이 없다면 내년에는 더욱 심화하겠지만 현 시점에서는 그럴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창씨는 "투자자들은 워싱턴과 베이징의 관계를 해석하는 데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면서 "미중 양국이 세계시장이 대규모 재정 및 금융구제책으로부터 어떻게 이익을 얻을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공급망의 교체와 무역패턴의 변화는 일부 기업과 경제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월가 황소 에드 야르데니(Ed Yardeni)씨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에 더해 악화하고 있는 미중 양국관계가 20%이상 주식시장 하락 가능성을 전망하는 이유"라고 경고했다.

◇ 탈동조화를 전망하는 월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은 코로나19가 이미 진행중인 미국과 중국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블랙록은 "미중간 경쟁관계는 미국의 선거결과와 관계없이 미중관계의 거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다른 나라들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점점 강요받을 것이며 탈동조화는 기술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특히 전세계 성장의 중심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두 시장 모두에 노출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대부분의 시장은 미중 갈등을 극복해왔지만 역풍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시기가 있다는 것이다. 블랙록의 수석 글로벌투자전략가 마이크 파일(Mike Pyle)은 이전에는 투자가 세계화의 혜택을 받도록 설계되었지만 이제 무역관계는 분열됐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경제와 금융시장은 상관 관계가 약해질 것"이라며 "예를 들어 최근 몇 주 동안 미국 금리가 하락하면서 중국 국채의 수익률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 정치가 미중간 갈등 불러일으킬 가능성


애널리스트는 오는 11월 미 대선이 가까이 다가옴에 따라 더욱 많은 반중국적인 정치수사를 듣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정권의 도발행동도 고조될 것이다.

지미 창씨는 "한편에서는 중국에 농산물 구입을 바라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중국을 타킷으로 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양당은 반대표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반중국 입장을 고려하고 있다. 중국을 더욱 어렵게 하기 위한 초당파적인 컨센서스가 있다고 생각한다. 선거후 상황이 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창씨는 "미중간 상호 신뢰를 잃었다. 수십년간 서구측은 중국과 보다 많은 무역을 한다면 중국이 더욱 개방되고 서구와 비슷하게 될 것이라고 말해왔지만 지난 수년간 반대양상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최종적으로 미국기업에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있지만 지금 현재로서는 중국정부의 타킷이 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중국의 수익과 공급망의 노출 양 측면 때문에 애플은 취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창씨는 "지금까지로는 중국 정부는 미국 기업을 워싱턴의 로비스트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중국은 미국기업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고 말했다.

윌리엄 바 미국 법무장관은 지난주 야후, 애플, 시스코 등 정보기술(IT) 업체들과 헐리우드 영화산업을 '중국의 꼭두각시'라고 비판했다. 그는 "기술기업과 헐리우드가 전세계에서 가장 정교한 인터넷 감시·검열 시스템인 '중국의 만리방화벽(THE GREAT FIREWALL OF CHINA)'을 중국공산당과 기꺼이 협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애플과 시스코는 바 장관의 주장을 부정했다.

이번주 미국은 중국의 11개기업에 대해 특별한 허가 없이 미국의 기술과 기타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미국의 제재대상기업은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표적으로 한 중국의 인권침해를 관여한 혐의를 내세웠다.

뉴욕타임즈는 이들 11개사는 애플, 알파벳, 휴렛팩커드(HP), 독일 고급패션 휴고 보스(Hugo Boss), 미국 패션업체 랄프 로렌(Ralph Lauren) 등의 주요한 국제브랜드의 현재 또는 과거의 공급업체라고 전했다.

미중간 긴장고조는 또한 국가안전보장문제에 관한 이슈에 대해서도 불통이 튀고 있다. 미국은 중국에 의한 남중국해에서의 지배권 행사를 반대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무역에서 이득을 보는 아시아각국도 미국을 대항세력으로 기대하고 있다.

창씨는 "우리는 실제로 초기 단계에 있으며 그 결과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면서 "자유주의무역과 중국의 세계공장 부상은 수십년의 추세이다.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블랙록의 파일씨는 다국적기업은 이미 공급망을 중국으로부터 방향전환하기 위해 대처하고 있으며 이같은 추세른 가속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이로 인해 상품 판매 비용이 높아질 것이다. 문제는 축소된 이익마진이나 높아진 최종가격, 즉 인플레이션 위험이 더 커진다"면서 "기업들은 고객들에게 가격인상을 전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창씨는 "거대한 양대 경제권으로 분리되기 시작하면 어느 정도의 영향이 나올 것이다. 많은 다국적기업들이 제조업을 중국으로 이전함으로써 비용을 줄이고 마진을 향상시켜 오랫동안 혜택을 누려왔다"면서 "이 프로세스가 역전되면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IHS 마킷의 에너지 전문가인 다니엘 예르긴(Daniel Yergin) 부사장은 이번 재편은 중간에 놓이 나라들에도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 새로운 세계질서에의 투자


모건 스탠리는 최근 양대 경제권으로 분리가 35개 산업분야에 미칠 잠재적인 영향을 조사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11개 분야는 비용증가와 비즈니스 운영에 대한 기타 과제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고서는 지적했다. 여기에는 글로벌 자동차 및 부품 제조업체, 글로벌 운송 및 항공 우주, 글로벌 자본상품, 미국 IT 하드웨어 및 인터넷, 미국 및 아시아 반도체 등이 포함돼있다.

글로벌 화학 물질, 음료 및 고급 제품을 포함한 13개부문은 지속적인 세계화의 혜택을 누릴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제약, 생명 공학 및 의료 기술은 혜택을 볼 것이며 미국 은행과 보험 회사가 수혜 목록에 있다.

모건 스탠리의 애널리스트는 "결국 지속적인 세계화(새로운 시장과 더 다양한 공급망)의 혜택은 과제를 상회한다"고 말했다.

지미 창씨는 "양대진영으로 분리는 세계무역의 관점에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일부 기업은 타격을 입을 것이고 다른 기업은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