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뉴스人] 연정흠 부산항만공사 물류연구실장 “스마트 항만 만들어 항만장비 국산화율 높인다”

공유
5

[뉴스人] 연정흠 부산항만공사 물류연구실장 “스마트 항만 만들어 항만장비 국산화율 높인다”

부산항만공사, 2030년까지 스마트 항만장비 국산화율 90%로 끌어올릴 계획

연정흠 부산항만공사 물류연구 실장  사진=부산항만공사
연정흠 부산항만공사 물류연구 실장 사진=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BPA)는 국내 스타트업체와 손잡고 스마트항만을 구축할 방침입니다. 이를 통해 항만장비 국산화율을 90%로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연정흠(47) BPA 물류연구실장은 27일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 실장은 스마트항만 구축이 물류 운송 효율화는 물론 항만장비 국산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BPA 스마트 항만 추진화 사업은 국내업체와 스마트업체가 크레인 설비를 자율주행 체제로 바꾸고 항만에 스마트 센서를 부착해 항만 안전과 보안을 확보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부산항만공사 전경. 사진=부산항만공사이미지 확대보기
부산항만공사 전경. 사진=부산항만공사

올해 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세계적으로 유행해 일각에서는 BPA 물동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이에 대해 BPA는 보란 듯이 올해 1~5월 환적 누계 물동량이 세계 4위에 오르는 좋은 성적표를 거머쥐었다. 이는 지난해 환적 누계 물동량 6위에서 두 계단 올라간 것이다.

BPA가 당초 예상을 깨고 좋은 실적을 거둔 데에는 코로나19 창궐에도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갖춰 선주와 화주 모두에게 신뢰성을 심어 줬기 때문이다. 환적은 다른 나라 화물이 부산항에서 배를 바꿔 제3국으로 가는 것을 뜻한다.

연 실장은 "누계 물동량이 좋은 결과를 보인 데에는 BPA가 추진 중인 스마트 물류시스템과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외국계 자본이 국내 항만시설에 투자해 안벽 크레인(하역용으로 부두에 설치된 크레인)과 같은 시설을 차지하면 크레인 유지보수, 업그레이드, 스마트 시설 조성 등 모든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익이 해외로 빠져나간다"고 설명했다.

해외 업체들이 저가 입찰로 국내 항만시설을 점유하면 결국 서비스 관련 인프라를 비롯해 각종 수익이 모두 해외로 유출하게 된다는 얘기다.

오래된 부산 북항에는 60% 정도가 국산항만장비를 설치했지만 신항에는 외국계 자본이 대거 유입된 점이 이를 잘 보여준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PA는 두산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등과 손잡고 항만시설 조성에 힘쓰고 있다.

에스오에스랩 라이다가 항만 설비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  사진=에스오에스랩 홈페이지이미지 확대보기
에스오에스랩 라이다가 항만 설비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 사진=에스오에스랩 홈페이지

부산항만공사는 항만운영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라이다(LiDAR·영상 센서)를 개발한 스타트업체 에스오에스랩 기술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연 실장은 "항만은 국가 1등급 보안시설이기 때문에 밀항, 밀입국, 화물을 빼돌리는 행위 등을 잡아내야 한다”며 “폐쇄회로TV(CCTV) 하단 부분에 라이다 센서를 장착해 사람, 동물, 움직이는 사물 등을 명확히 파악해 필요한 조치를 내릴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가성비가 탁월한 점도 에스오에스랩의 특징 중 하나다.

그는 “해외 항만에서 활용하는 라이다 센서와 소프트웨어는 가격이 5000만 원에 달해 비싸다”라며 “부산항만공사는 구매조건으로 에스오에스랩의 라이다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에스오에스랩의 라이다 기술과 소프트웨어는 기존 가격의 5분의 1수준으로 수입산 제품보다 저렴하다”며 "이를 통해 BPA는 스마트 항만장비와 시스템에 대한 국산화율을 2030년까지 9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