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판호 재개가 'K-게임' 중흥 보장안해…IP 수출 등 완전 다른 전략 필요"

공유
0

"판호 재개가 'K-게임' 중흥 보장안해…IP 수출 등 완전 다른 전략 필요"

'중국 판호 동향과 대응 방안' 정책토론회 열려…판호 동향과 향후 전망 논의
"미중 관계 악화로 중국의 대한 태도 변화…판호 문제 해결 위한 조건 갖춰져"
"달라진 시장게임규제 맞는 전략적 접근 필요…정부의 외교적 노력 더 해야"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중국 게임 판호 동향과 대응 방안 정책 토론회 현장. 사진=박수현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중국 게임 판호 동향과 대응 방안 정책 토론회 현장. 사진=박수현 기자
한한령 이후의 한국 게임 업계의 중국 시장 대응이 이전과는 달라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특히 중국 내 게임 규제가 더욱 강화됐고, 게임 시장이 몇 년 새 크게 성장하면서, 내부 업계 경쟁만으로도 이미 치열한 상황이다. 게다가 게임 개발력도 한국 게임업계만큼이나 성장해 더이상 중국을 단순한 수출 지역 정도로 생각한다면 중국 진출 성공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29일 한국콘텐츠미래융합포럼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제8차 국회정책토론회 '중국 게임 판호 전망과 대응 방안'을 개최하고 중국 판호 발급 동향과 중국 게임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위정현 한국콘텐츠미래융합포럼 의장은 "한국 게임업계는 지난 4년간 실적 기준으로 추산했을 때 10조~17조 5000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기회비용을 지출했다"면서 "판호 재개가 자동적으로 한국 게임 중흥을 이뤄지진 않을 것으로 본다. 다만, 경기장 진입조차 못 한 한국 게임들이 경기장에서 실력 발휘할 계기라는 점에선 중요하다"고 말했다.

위정현 한국콘텐츠미래융합포럼 의장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중국 게임 판호 대응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박수현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위정현 한국콘텐츠미래융합포럼 의장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중국 게임 판호 대응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박수현 기자

위 의장은 최근 미중 갈등이 격화되며 중국에게 한국의 중요도가 높아진 만큼, 한한령 해제와 판호 발급 재개의 분위기는 보다 좋아졌다고 판단했다. 위 의장은 "정치외교적 측면에서 중국이 우호적인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크다. 판호 문제 해결에 대한 주객관적인 조건이 갖춰졌다고 본다. 한국 정부와 학회의 민간 노력이 이뤄지고 있는 만큼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라면서 "연내 시진핑 주석의 방한이 결렬되더라도 한한령 해제와 판호 문제는 분리해서 봐야 한다. 그간 시 주석의 게임 규제가 강력해진 만큼 이전과 다른 게임 장르 등 접근법이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기조발제자로 나선 김상현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센터장은 최근 중국의 게임 시장과 게임산업이 크게 성장했고 시진핑 국가 주석의 명령으로 게임 유해성에 대한 청소년 보호 기조도 강해졌다고 진단했다. 이에 국내 게임업계는 단기, 장기적인 전략을 통해 중국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김 센터장은 "올해 1분기 기준 중국 자체 개발 게임 매출액이 623억 5000만 위안(약 10조 6000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29.7% 증가했다"면서 중국 게임 산업의 경쟁력이 제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중국의 판호 발급 추이는 지난 2017년 기준 9368개에서 지난해 1570개로 급감했다. 지난해 기준 해외 게임에 발급하는 외자판호 수는 185개에 불과했으며, 이중 한국 게임은 전무했다.

아울러 최근 중국은 게임 유해성에 대한 청소년 보호 기조가 강하며 판호 발급에 대한 앱마켓 규제를 강화하는 분위기다. 여기에 최근 게임 내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통해 중국의 정치사회적 체제에 해를 끼실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어 PC온라인 게임에 대한 경계의식이 있다.

김 센터장은 "단기적으로는 한국 그라비티 사례처럼 저작권을 아예 중국에 파는 전략을 생각해볼 수 있겠고, 중국에 이미 소개된 한국게임, 웹툰, 방송 프로그램을 활용한 2차 게임개발에 집중하거나 게임 음악이나 영상, 그래픽 디자인 등 저작권이 있거나 특화 기술을 내세우는 수출 전략을 꾀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장기적으로는 중국 고사, 서사 구조와 맞는 개발 방향을 설정해 게임을 개발한다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 패널로 참석한 우수근 중국 화동사범대학 초빙교수는 중국 게임 판호 발급이 재개되려면 국내 정부의 중국과의 외교적 관계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피력했다.

우 교수는 "판호는 철저하게 정치적인 문제다. 청와대가 미국뿐 아니라 중국을 바라보지 않는다면 판호 나오기는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중국은 한국의 많은 산업군 중에서도 특히 게임 산업이 가장 중국 영향을 많이 받는 산업이라고 보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을 파악해 게임 산업을 더 압박하려 하는 느낌이다. 한국 정부가 미국에 대해 중국과 풀어가는 대화를 이어나가면 조금씩 판호 발급을 시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선학 중원게임즈 대표는 "업체 입장을 말하자면, 중국 시장이 예전엔 돈을 가져와서 게임을 사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후 모바일 시장이 오면서 상황은 역전됐다. 중국 게임사 개발력은 이제 상당한 수준"이라면서 "단순하게 판호가 풀린다고 해서 성공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본다. 다만, IP에 대한 중국 측의 니즈가 있기 때문에 우리 또한 IP를 홍보할 수 있는 전략을 찾을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황성익 한국모바일게임협회 회장은 "중국의 판호 발급 여부는 결국 시장이 결정할 것"이라면서 "중국에 중소기업 입장에서 직접 진출은 어려워 현지 퍼블리셔와 함께 하는데, 이에 결국 좋은 퍼블리셔를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어서 그는 "5년 전만해도 중국에서 국내 게임 많이 사 갔지만, 국내 업체들이 중국을 단순히 2차 시장 정도로만 생각하고 제대로 마주하지 않아 실패한 경우가 많았다"면서 "이젠 게임사들도 훌륭한 IP를 만들어 이를 활용해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