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남부발전, '바이오중유 상용화' 결실로 신재생에너지사업 선도

공유
1

남부발전, '바이오중유 상용화' 결실로 신재생에너지사업 선도

국내 발전사 최초로 6년연속 공급의무화 100% 달성...그린뉴딜전략부, 제도개선·사업화 주도
중유 사용하던 남제주발전소를 100㎿급 세계 최대 바이오중유 전소발전소로 전환에 기여

한국남부발전의 남제주 바이오중유 전소발전소. 사진=한국남부발전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남부발전의 남제주 바이오중유 전소발전소. 사진=한국남부발전
한국남부발전이 '바이오중유' 상용화 사업에 알찬 결실을 거두고 있다. 국내 발전사 최초로 6년 연속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100% 이행에 성공한 것이다.

31일 남부발전에 따르면, 남부발전 감사실은 최근 사내 조직인 그린뉴딜전략부를 포상할 것을 회사 측에 권고했다.
남부발전 그린뉴딜전략부가 바이오중유 추진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발전용 바이오중유 시범보급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시범사업 뒤 상용화에도 적극 나서 남부발전이 국내 발전사 최초로 6년 연속 RPS 100% 이행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게 감사실 포상 권고 근거였다.

발전용 바이오중유는 주로 팜 열매에서 추출된 팜 원유와 부산물, 동·식물성 유지, 기타 저가의 유지를 원료로 제조하는 유류를 말한다.

발전단가는 중유대비 21% 높지만 대기오염물질인 황산화물을 70%, 미세먼지를 33%, 질소산화물을 16%나 감소시켜 온실가스 배출저감 효과가 뛰어나다.

바이오중유는 신재생공급인증서(REC)가 적용돼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량(RPS)도 확보할 수 있다. 정부는 RPS 의무공급량 이행을 위한 여러 에너지원의 하나로 바이오중유를 검토해 왔다.

지난 2014년 1월부터 정부는 바이오중유의 발전용 연료로서의 품질, 성능, 안전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발전용 바이오중유 시범보급사업'을 시작했고, 남부발전을 포함한 발전공기업 4개사와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사업 대상자로 선정했다. 참가 발전사들은 지난해 3월까지 발전용 바이오중유 상용화를 위한 기반연구와 개술개발을 진행했다.

남부발전은 2014년 사업자에 선정되면서 사내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정부 시범사업에 적극 참여하는 동시에 독자적인 바이오중유 확대계획을 수립했다. 자체 재원을 투입해 바이오중유 저장탱크를 보강하고 연소설비를 개조했다.
특히, 남제주본부 중유 화력발전소에 바이오중유를 시범 사용해 시범사업 기간동안 시범사업 발전사 중 가장 많은 바이오중유를 사용해 시험하기도 했다.

시범사업기간이 종료된 지난해 3월부터는 본격 상용화로 이어졌다. 그린뉴딜전략부는 이같은 바이오중유 상용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사업화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그린뉴딜전략부는 바이오중유 상용화 이후 기존 중유를 연료로 하던 남제주화력발전소를 바이오중유 전소발전소로 전환하기 위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간이정비기간을 활용해 설비개선공사를 하는 등 적극적인 추진으로 바이오중유 연료 전환을 완료했다.

이같은 노력의 결실로 2014년 7월 남제주화력발전소 1호기가 세계 최대 규모인 100메가와트(㎿)급 바이오중유 전소발전소로 재탄생했고, 지난해 6월에는 같은 100㎿급 남제주화력발전소 2호기도 벙커C유에서 바이오중유 전소발전소로 전환을 완료했다. 100㎿급 바이오중유 전소발전소는 기존의 세계 최대인 미국 하와이 카헤 발전소(Kahe Power)의 90㎿를 넘어서는 시설이었다.

그 결과 RPS 의무량 증가 추세로 인해 의무이행 100% 달성이 불확실한 상황이었으나 남제주발전소 1,2호기의 REC 획득으로 지난해 남부발전은 국내 발전사 최초로 6년 연속 RPS 100% 이행을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부가적으로 연간 34만 4000톤의 온실가스 감축량도 인정받아 탄소배출권 외부 구매를 최소화함으로써 회사 재무안전성에도 기여했고, 제주도의 탄소 없는 섬(카본 프리 아일랜드) 정책에도 기여했다.

남부발전 관계자는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품질기준 확보와 연소특성 분석을 통한 설비 최적화로 바이오중유의 상용화와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기여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바이오중유 설비를 확대하고 공급 안정성을 확보해 신재생에너지 선도 발전사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