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中 관영매체들 “미국은 ‘불량국가’, MS의 틱톡 인수는 ‘도적질’” 맹비난

공유
0

[글로벌-Biz 24] 中 관영매체들 “미국은 ‘불량국가’, MS의 틱톡 인수는 ‘도적질’” 맹비난

중국 관영매체들이 일제히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틱톡 인수와 관련해 미국을 '불량국가'로 규정하고 소셜미디어 기업 틱톡의 마이크로소프트(MS) 매각 가능성을 '절도'로 규정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관영매체들이 일제히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틱톡 인수와 관련해 미국을 '불량국가'로 규정하고 소셜미디어 기업 틱톡의 마이크로소프트(MS) 매각 가능성을 '절도'로 규정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

중국 관영매체들이 일제히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틱톡 인수와 관련해 미국을 '불량국가'로 규정하고 소셜미디어 기업 틱톡의 마이크로소프트(MS) 매각 가능성을 '절도'로 규정했다.

틱톡(TikTok)은 중국기업 바이트댄스가 개발·서비스하고 있는 숏비디오 플랫폼이다. 2016년 기준으로 150개 국가 및 지역에서 75개의 언어로 서비스를 벌이고 있다. 한국에서는 2017년 11월부터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중국에서는 ‘더우인’이라고 불린다.

틱톡은 최근 미국 정부로부터 중국 소유의 이 앱이 미국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해 중국 정부에 보낸다는 의심을 받아왔다.

틱톡 측은 이에 대해 거듭 부인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중국과의 불편한 심기를 반영하듯 틱톡에 압박을 가해 서비스를 금지하겠다고 위협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마이크로소프트(MS)가 틱톡 인수 의사를 밝히기 전인 지난달 23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앞으로 며칠 안에 트럼프 대통령이 앱을 규제하는 '행동' 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MS는 이날 틱톡의 미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법인을 인수하고 이 지역의 앱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대통령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9월 15일까지 인수 협상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마이크로소프트가 틱톡 부분 인수를 추진할 수 있도록 손을 들어주는 모양새다.

MS의 발표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전국 국가가 아닌 일부 지역에 한정한 것에 대해 ‘불만’이라고 말했지만 사티아 나델라 CEO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미국 재무부가 일부 '핵심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틱톡 미국 법인의 가치는 17조 원에서 35조 원 사이로 평가되고 있다.

이런 소식이 알려지자 중국 관영매체들은 미국을 '불량국가'로 규정하고 틱톡의 마이크로소프트(MS) 매각 가능성을 '절도'로 규정했다.

중국 관영 차이나데일리의 4일(현지시각) “베이징에 본사를 둔 바이트댄스가 소유한 틱톡을 MS가 계획적으로 인수하면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충분’하다“고 보도했다.

또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의 편집국장인 후시진(胡錦濤)은 이번 조치를 '공개 강도'로 규정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한때 위대했던 미국을 불량국가로 만들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신문은 "틱톡 배닝은 워싱턴의 비겁함을 반영한다"는 제목의 기사를 실기도 했다.

환구시보는 또 "(틱톡 등이) 미국 엘리트들에게 위기의식을 심어줬는데, 이는 중국의 최고 기업들이 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일선으로 나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하고 ”미국은 글로벌 인터넷의 선구자로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를 만들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미국의 인터넷 구조는 경직되어 왔다"라고 우회적으로 미국 기업들까지 조롱했다.

또 다른 중국이 국영 발행사인 차이나데일리는 ”중국은 결코 중국 기술기업의 '도난'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미국 행정부가 계획한 을 감행할 경우 대응할 방안은 얼마든지 있다"고 전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가 발간하는 중국 타블로이드는 “미국이 앱 사용을 금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미국 기술기업에 대한 위협으로 보기 때문이다”라고 비난하고 미국이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를 봉쇄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재차 언급됐다.


정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jddud@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