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작년 가계 순처분가능소득 증가율 역대 최저"

공유
0

"작년 가계 순처분가능소득 증가율 역대 최저"

자료=한국경제연구원이미지 확대보기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의 순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역대 최저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0일 한국은행의 국내총생산(GDP) 통계를 이용해서 분석한 결과 작년 가계 순처분가능소득은 2018년보다 1.9% 증가, 1975년 통계작성 이래 최저였다고 밝혔다.

외환위기 때의 2.8%, 금융위기 당시의 3.5%보다도 낮았다는 것이다.

순처분가능소득은 세금 등을 공제하고 사회보장금 등 이전소득을 보탠 '가처분소득'의 개념이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있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8개국 가운데 최하위권인 26위였다.

우리나라보다 상승률이 낮은 나라는 이탈리아의 1.1%, 일본의 1.5%뿐이었다.

작년 가계 순처분가능소득의 항목별 증감률은 근로자 급여 등의 피용자보수가 3.5% 늘었지만 재산소득이 7.2%, 영업이익이 2.2% 감소했다.
특히 재산소득은 가계부채 증가로 순이자소득 마이너스 폭이 2018년 4조5000억 원에서 작년 8조8000억 원으로 확대됐다.

기업활동이 위축되며 배당소득이 7.7% 줄었던 점도 재산소득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가계 영업잉여는 자영업자 영업잉여가 감소하며 2.2% 줄었다.

소득세 등 사회부담금이 포함된 '순경상이전'은 2018년 126조8000억 원에서 지난해에는 128조2000억 원으로 마이너스 폭이 확대되며 납부하는 돈이 더 늘었다.

기업의 순처분가능소득은 2017년 193조1000억 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작년에는 158조5000억 원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영업잉여가 줄었기 때문으로 지적됐다.

영업잉여는 2018년 1.2%, 2019년 8.3% 감소하며 2015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기업 영업잉여는 세계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8년과 2009년에도 각각 1.1%, 5.3% 증가했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