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수출형 서비스산업 4조6000억 공급…서비스 수출 강국 도약

공유
0

수출형 서비스산업 4조6000억 공급…서비스 수출 강국 도약

사진=픽사베이 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픽사베이


정부는 콘텐츠·헬스케어 등 6대 유망 K-서비스를 육성, 2025년 서비스 10대 수출 강국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제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K-서비스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무역 환경 변화에 대응, ▲기업애로 해소 ▲글로벌 경쟁력 제고 ▲인프라 보강 등 3개 분야를 골자로 하는 서비스 맞춤형 수출 지원 정책을 마련했다.

우선 서비스 기업들이 해외 진출 과정에서 당면하는 현장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수출지원사업에서 서비스 기업을 우대하고 특화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수출지원사업의 서비스 업종 대상 매출액 기준과 선정 기준을 완화하는 한편 연구비의 인건비 사용 범위를 확대하는 ‘서비스 연구개발(R&D) 활성화 방안’을 3분기 중 수립할 계획이다.

기업 간 거래(B2B)·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수요자별로 온라인 수출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서비스 기업의 특성을 반영, 금융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소비재 판매 중소기업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글로벌화를 지원하는 데 최대 1억 원을 투입하고, 비대면 서비스의 무역보험 한도를 2배까지 우대할 방침이다.
핵심 수출형 서비스 산업에는 2023년까지 4조6000억 원을 공급하고 콘텐츠 제작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1조 원 이상의 문화콘텐츠 펀드를 2024년까지 조성하기로 했다.

1000억 원 규모의 'K-바이오 신성장 펀드 제6호'를 통해 의료 서비스의 해외투자 진출도 지원하기로 했다.

또 바이오·헬스, 로봇, 자동차 등 분야에서 서비스와 주력 제조상품을 결합한 프로젝트나 사업모델을 발굴해 R&D와 수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한류와 K-방역을 연계, K-서비스의 마케팅을 강화하는 한편 하드웨어와 서비스를 연계한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패키지로 해외 진출을 촉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서비스 수출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 서비스 분야에서 네트워크와 협력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디지털 파트너십 협정 체결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해외지식재산센터를 확대하고 국제 지재권 분쟁 대응 지원 사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글로벌 물류망을 구축하도록 서비스 분야의 전문 무역상사를 육성할 방침이다.

성윤모 산업부장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유발된 제조·서비스 융합,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 등이 코로나19 이후로 더욱 가속화하면서 서비스 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 여부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 창출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