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베트남 건설시장 한국, 日·中 눌렀다..."GS·포스코건설·두산重이 견인"

공유
6

[글로벌-Biz 24] 베트남 건설시장 한국, 日·中 눌렀다..."GS·포스코건설·두산重이 견인"

외국기업 비중 57% 중 韓17%, 日14%, 中10%로 3국이 주도...베트남기업 43%
PPP법 제정 해외자본 유치 '청신호'...日, 금융자본 내세워 인프라 공략 '경계대상'

GS건설이 지난해 5월 착공 5년만에 완공과 함께 개통한 베트남 '밤콩대교'의 모습. 사진=GS건설 이미지 확대보기
GS건설이 지난해 5월 착공 5년만에 완공과 함께 개통한 베트남 '밤콩대교'의 모습. 사진=GS건설
영국 글로벌시장조사 기업 피치솔루션(Fitch Solution)이 “한국·중국·일본 3국이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는 베트남 건설시장에서 한국이 17% 점유율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소개했다.

말레이시아 온라인뉴스 더스타(The Star)는 지난달 31일 피치솔루션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해 “현재 베트남 건설시장을 한국이 주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건설시장에서 ‘K-컨스트럭트(Construct)’을 이끄는 한국기업으로 GS건설·두산중공업·포스코건설 등이 꼽혔다.

GS건설은 지난해 5월 베트남 남서부 메콩강 삼각주 지역의 숙원사입인 '밤콩대교'를 공사 5년 동안 약 900만시간 무재해 기록과 함께 개통해 ‘K-컨스트럭트’의 우수성을 과시했다.

또한 호찌민의 TBO도로와 도시철도를 포함해 하노이~하이퐁 고속도로 일부 구간 건설, 빈틴대교 준공, 하노이의 한국형 신도시 ‘냐베 신도시’ 개발사업 진행 등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포스코건설도 2018년 사업비 812억 원 규모의 ‘베트남 롱손 석유화학단지 부지조성 공사’를 수주하는 등 현지 산업인프라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한국에 이어 일본이 주로 운송과 수처리 분야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실적을 보이며 14% 시장점유율을 나타냈으며, 중국은 약 10%를 차지했다. 베트남 건설시장 비중은 외국기업 57%, 베트남기업 43%이며, 외국 비중 중 한·중·일 3국이 41%를 장악하고 있다.

피치는 아세안 지역 경제성장의 선두주자인 베트남의 건설 시장은 베트남 정부가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문호를 더 넓히고, 자국 인프라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어 외국기업(자본)의 참여는 더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도 급성장하는 베트남 건설과 인프라 시장이 아세안 지역 해외투자 가운데 ‘블루칩’ 환경을 갖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베트남 건설시장이 한·중·일 3국의 비즈니스 전장(戰場)이 될 것이라고 피치는 강조했다. 한국이 건설기업의 우수한 기술력을 내세운 반면, 일본은 금융자본을 앞세워 베트남 인프라 투자를 늘려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스코건설이 지난 2018년 수주한 베트남 롱손 석유화학단지의 조감도. 사진=포스코건설이미지 확대보기
포스코건설이 지난 2018년 수주한 베트남 롱손 석유화학단지의 조감도. 사진=포스코건설


피치는 베트남 건설과 인프라 시장의 유망 분야로 설계·조달·시공(EPC), 컨설팅, 운영(관리) 등 건설 프로젝트 전반과 수송차량, 풍력 터빈(발전기) 같은 고부가산업을 꼽았다.

피치의 인프라 핵심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KPD)에 따르면, 베트남 건설시장에서 자국기업 지배력(43%)은 다른 아세안(ASEAN) 국가인 인도네시아(65%), 말레이시아(62%), 태국(56%)보다 낮은 수준이며, 필리핀(34%)보다는 높았다.

베트남을 대표하는 건설사로 Civil Engineering, LILAMA 베트남기계설치, Vinaconex 등이 언급됐다.

피치는 보고서에서 “베트남 정부가 올해 민관합작투자사업(PPP:Public-Private Partnership) 법을 제정해 자국 인프라 부문에 해외자본을 적극 유치하려 한다”면서 “향후 10년간 한국을 포함한 외국기업의 베트남시장 참여가 많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진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inygem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