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윤영찬’이 쏘아올린 ‘뉴스 중립’ 논란…멍드는 ‘카카오·네이버’

공유
0

‘윤영찬’이 쏘아올린 ‘뉴스 중립’ 논란…멍드는 ‘카카오·네이버’

‘뉴스 중립’ 정치 쟁점화로 급부상…여야의 또다른 극한 대결 지점
정치권發, 포털 편향성 문제 제기에 ‘카카오·네이버’ 생채기 불가피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사진=뉴시스]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카카오 뉴스 편집 압력’ 논란이 정치 쟁점으로 전면화하고 있다.

지난 8일 윤 의원이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 기사가 포털 사이트 ‘다음’ 메인에 배치된 데 대해 자신의 보좌진에 “카카오에 강력히 항의해 달라. 카카오 들어오라고 하라”는 메시지가 공개되면서다,
11일 보수 성향 시민단체가 윤 의원의 검찰에 고발하고, 국민의힘 등 야당은 윤 의원의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사임과 의원직 사퇴 등 공세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당장 윤 의원의 문제로 과방위 의사일정이 차질을 빚고 있는 상태다.

윤 의원의 ‘포털 압력’ 사태가 카카오와 네이버로 ‘뉴스 편집 중립성’ 논란으로 번지고 있어, 여야 정치 쟁점화에 희생양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 2017년부터 AI 알고리즘 적용한 카카오-네이버…‘인위적 개입 불가능’


카카오와 네이버는 AI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는 만큼 뉴스 편집에 인위적 개입에 불가능하다고 거듭 해명하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 2015년부터 AI기반 뉴스 서비스 ‘루빅스(RUBICS)’를 운영 중이다. 모바일 버전에 이어 2017년에는 PC 버전에도 적용하고 있다. 루빅스는 ‘실시간 이용자 반응형 뉴스 추천 서비스’로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뉴스 선호도 분석 △뉴스 배치 영향 분석 △뉴스 이용 방식 대응 등이 특징이다.

2015년 6월 다음모바일 메인 뉴스에 처음으로 루빅스를 적용한 카카오는 정교한 알고리즘 설계를 위해 개발자들이 100회에 이르는 회의를 진행해 왔다. 이어 2017년 6월부터 콘텐츠 ‘클릭률’과 ‘열독율’을 적용한 업그레이드된 루빅스로 뉴스를 서비스하고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루빅스의 알고리즘을 활용하고 있는 이상 뉴스 편집에 누군가의 개입은 불가능하다”고 못박고 있다.

네이버도 2017년부터 에어스(AiRS)를 도입해 뉴스를 서비스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과 웹, PC 등 모든 플랫폼에서 뉴스 자체 편집을 전부 없애고, 에어스 추천 기사로 대체하고 있다. 에어스는 AI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이다.

에어스 추천 기사는 개별 이용자마다 다른 기사가 추천된다. 평소의 콘텐츠 선호도와 소비 성향이 반영된다. 다만 로그인을 하지 않은 이용자에겐 전체 이용자의 관심사가 반영된 기사가 노출된다.

또 네이버는 모바일웹 홈의 뉴스 노출을 중단하고, ‘뉴스판’에서 각 언론사가 기사 배열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간 네이버는 언론사 기사를 선택해 배열하면서 사실상 언론의 역할을 해왔다는 비판을 받아왔었다. 이른바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등 논란이 거듭되자 뉴스 편집 권한을 아예 해당 언론사로 이전한 것이다. 뉴스 편집 논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 네이버 출신 ‘미디어 전문가’ 윤영찬…여전히 뉴스 편집 개입 가능?


카카오와 네이버의 해명에도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정치권 안팎으로 윤 의원과 포털간 관계성을 거론하며 포털의 임의적 뉴스 편집 의혹의 불씨를 점화시키고 있어서다.

물론 AI 알고리즘을 ‘인간’이 설계하는 만큼 의도하지 않은 ‘편향’이 녹아들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다음 창업자인 이재용 전 쏘카 대표가 자신의 페이스북에 “많은 사람이 AI는 가치 중립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규칙 기반의 AI는 그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의 생각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면서 “어떻게 그런 판단을 했는지 들여다보고 분석해보지 않고 ‘AI 시스템이니까 중립적’이라고 답하는 것은 잘못된 얘기”라며 알고리즘 공개를 주장했다. 누가 어떤 기준으로 AI 알고리즘을 설계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사용자 선호도에 맞춰 추천하는 AI의 뉴스 서비스를 ‘공정과 객관’의 잣대로 바라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개인 취향에 맞춰져 있는 만큼 AI에 ‘중립’을 요구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다.

문제는 카카오와 네이버의 뉴스 편집에 아직도 ‘인위적 개입’이 가능하냐는 점이다. 특히 윤 의원이 네이버의 뉴스 관리 책임자였다는 이력은 의혹을 불씨를 키우고 있다

동아일보 출신인 윤 의원은 동아일보 네이버에서 뉴스 편집과 대관 총괄 등을 거쳐 부사장을 지냈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문재인 캠프에서 활동한 윤 의원은 현 정부 출범 직후 청와대 초대 국민소통수석을 역임했다. 21개 국회에서는 포털사를 감시하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소속 위원으로 ‘미디어 전문가’로 꼽힌다.

윤 의원이 포털 뉴스 서비스의 시스템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음에도 ‘포털 뉴스편집 중립성’ 지적에 대해 의아스럽다는 시선이 많다. 윤 의원이 네이버 근무 당시 카카오의 뉴스 서비스에 AI 도입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포털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의도적 편집’ 가능성이 제기되는 지점이다.

윤 의원은 해명을 통해 “제가 의문을 갖고 묻고자 했던 것은 뉴스 편집 알고리즘의 객관성과 공정성이었다”며 카카오의 AI알고리즘에 대한 문제 제기였을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배현진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11일 지난 2015년 윤 의원이 네이버 이사 자격으로 국회 상임위 증인 출석 당시를 거론하며 “당시 포털사 네이버 이사였던 윤영찬은 ‘포털이 정치 편향적 편집을 해야 할 이유가 전혀 없다. 뉴스 배열에 대한 심의는 언론의 자유를 위축시킨다’고 당당하게 역설했었다”고 꼬집었다.

◇ AI ‘뉴스 편집’ 논란 불씨 키우는 정치권


야당 의원 등은 “청와대와 여당이 포털을 좌지우지했다는 소문이 사실로 드러났다”“여당의 뉴스 통제가 실화였다”면서 포털의 인위적 편집 가능성을 제기하며 여당에 맹공을 퍼붓고 있다. 정치권은 카카오와 네이버에도 의심의 눈길을 보내며 논란을 한층 키우는 모습이다.

야당측 과방위 간사를 맡고 있는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은 “(윤 의원은)포털뉴스 배치의 중립성과 편집권을 침해해 자신의 의도대로 소속 정당에 유리한 기사배치를 관철하고, 인터넷뉴스 창구인 포털을 통해 여론을 장악하겠다는 의도이자 정치기획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포털의 뉴스 편집 가능성을 열어놨다.

배 원내대변인도 “이것이 이른바 ‘드루와 게이트’, 문재인 정권의 언론장악 알고리즘의 위력인가”라며 “오늘도 검색하면 넘쳐나는 윤영찬 뉴스가 포털 전면에서 왜 벌써 사라졌나”라고 의문을 나타냈다.

이번 포털 뉴스 편집 논란은 오는 10월 21대 국회 첫 국정감사에서도 여야 대치 지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와 네이버에 대한 증인 채택 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방위 소속 야당 위원실 한 관계자는 “아직 증인 채택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며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c07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