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슈 24] 틱톡, 미 사업부문 매각 이어 11월 대선 콘텐츠 처리로 시험대에

공유
0

[글로벌-이슈 24] 틱톡, 미 사업부문 매각 이어 11월 대선 콘텐츠 처리로 시험대에

동영상 공유 앱 틱톡이 미국에서 사업 조정에 이어 11월 대선을 앞두고 콘텐츠 정책의 또 다른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동영상 공유 앱 틱톡이 미국에서 사업 조정에 이어 11월 대선을 앞두고 콘텐츠 정책의 또 다른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사진=로이터
동영상 공유 앱 틱톡이 미국에서 또 다른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틱톡이 점차 정치적 콘텐츠 공유의 장이 되면서 ‘트럼프2020’과 ‘바이든2020’의 해시태그 조회 수는 총 120억 회를 넘어섰다.

그러나 틱톡의 미국 안전 책임자인 에릭 한은 선거의 오보에 대한 틱톡의 접근방식은 이 앱이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유지하는 것과 자기표현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선거 관련 콘텐츠에 대해서는 틱톡 독자적인 접근법을 사용한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과는 달리 틱톡은 사용자들에게 잘못된 정보의 여부를 알려주지 않는다. 대신 팩트체커의 평가를 내부에 보관하고 이것을 사용해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빈도를 줄인다.

틱톡의 팩트체크 파트너인 리드스토리와 폴리티팩트는 “카말라 해리스 민주당 부통령 후보가 트럼프 지지자들에게 복수하겠다고 협박했거나 금융가인 제프리 엡스타인의 비리 등에 대한 정치적 오보가 담긴 동영상 수백 개를 틱톡에서 검토했다”고 한다. 앞으로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다.

트위터가 팩트체크 결과에 따라 경고 라벨을 부착하는 등의 정책은 역효과가 날 가능성이 크다는 게 틱톡의 판단이다. 라벨이 없는 콘텐츠는 모두 정당하다고 믿는 부작용이 따른다는 것이다. 그래서 틱톡은 정치 광고를 받지 않으며 선거에 대해 사용자들을 오도하는 내용 등 피해를 줄 수 있는 잘못된 정보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틱톡의 콘텐츠 자문위원회는 지난주 회의에서 큐아논(QAnon) 등 유권자의 탄압과 근거 없는 정치 음모론에 대한 공개 지지자들을 플랫폼에 허용해야 하는지 여부를 논의했다. 또한 틱톡이 경쟁 결과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거나 선동하는 데 사용될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토론했다.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 겸 시의원인 하니 패리드는 틱톡의 선거 정책이 보다 명확해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틱톡의 팩트체커들은 틱톡에서 발견된 정치적 허위 콘텐츠가 저커버그의 플랫폼에서 퍼진 것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팩트체킹 파트너 리드스토리의 공동 설립자인 앨런 듀크는 "틱톡은 더 이상 단순한 댄스 도전 플랫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틱톡이 미국 선거 이슈와 관련한 콘텐츠를 놓고 고심하고 있지만 틱톡의 운명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금지를 피하기 위해 마련한 계획인 오라클과의 제안된 거래에 대해 조만간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11월 3일 선거를 약 6주 앞두고 소셜미디어 업체들의 플랫폼 오보에 대한 대응이 주목을 받고 있다. 틱톡에서는 우편투표와 대선 후보들에 대한 허위 주장이 담긴 동영상들이 다수 발견됐다. 바이든을 검색했을 때 ‘바이든 터치 키즈’가 출력되기도 했다. 틱톡은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협의회를 발족, 미국의 콘텐츠 정책을 구체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발표했다.

데이터 보안에 대한 우려 또한 틱톡에서 비롯됐다. 중국의 거대 기술기업인 바이트댄스의 소유로 미국의 주요 정치권 인사들과 그룹들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한다. 이 때문에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국내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이 트럼프나 다른 후보들의 선동적인 게시물 처리에 대해 받고 있는 세밀한 조사를 틱톡은 피할 수 있었다.

오보 전문가들은 틱톡 콘텐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각적 효과와 음향 효과를 수반할 수 있는 다층 비디오는 텍스트와 해시태그를 겹쳐놓았다. 사용자는 '그린 스크린' 효과를 이용해 뉴스 기사를 공유하거나 기존 동영상으로 분할 화면 '듀엣'을 만들 수 있다.

틱톡 자문위원인 패리드는 잘못된 정보와 오보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선거 전후 며칠 동안 미국에서 새 동영상을 틱톡에 게시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는 다소 자극적인 제안도 했다고 밝혔다.


조민성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s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