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슈 24] 중국·러시아의 '백신 외교전'에 미국 속내 복잡…"미국 우방국 UAE·인도 등에 백신 공급

공유
1

[글로벌-이슈 24] 중국·러시아의 '백신 외교전'에 미국 속내 복잡…"미국 우방국 UAE·인도 등에 백신 공급

의료진 "3상 마무리도 안해 안전하지 않다" vs "미국에 지정학적 도전"

중국 청두시가 곤충 세포 내에서 배양한 백신 임상시험에 대해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의 승인을 얻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청두시가 곤충 세포 내에서 배양한 백신 임상시험에 대해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의 승인을 얻었다. 사진=로이터
중국과 러시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임상시험에서 3상을 완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백신을 대량으로 생산하기로 한 결정에 미국의 우려스러운 시선이 노출되고 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18일(현지시간) 백신 개발과 이웃나라들에 공급 등을 통한 중·러의 행보는 미국에 지정학적 도전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것도 예상하지 못했던 복잡한 위기이고 도전이라고 설명했다. WP는 한국 서울발 분석 기사를 통해 두 나라의 백신 개발은 안전성과 면역력 확보 측면에서 우려가 되지만, 적극적인 외교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 시노팜(SINOPHARM)은 최근 아랍에미리트(UAE)에 시험용 백신 한 개를 긴급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중국은 중동에 백신을 공급하는 최초의 국가가 됐다. UAE는 미국에겐 중동에서 손꼽히는 우방이다.

중국 정부가 자국 국민보다 미국의 우방국을 챙기는 모습이라고 WP는 지적했다.

시노팜은 UAE와 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와중에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바레인, 모로코, 인도네시아, 러시아, 페루,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지에서 임상 3상 시험을 하고 있다.

이집트도 지난 11일 시노팜과 임상시험 3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집트는 앞서 지난 7월 영국계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로부터 3억회 분의 백신을 공급받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러시아도 인도에 '스푸트니크5' 백신 1억회 분을 공급하기로 계약했다.
러시아 당국은 최근 스푸트니크5의 백신을 의료진과 교사들을 중심으로 배분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러시아로부터 백신을 공급받기로 한 나라는 인도 외에도 브라질, 멕시코, 카자흐스탄 등이 있다.

특히 중국에겐 백신 개발과 공급이 ‘도박’일 수 있다. 코로나19가 발발할 것으로 알려진 중국은 사태 초기에 확산 방지를 위해 마스크와 방역장비를 수출하기도 했다.

근본적인 위험은 새로운 백신에 큰 부작용보다도 나중에 확인되는 작은 부작용이 속출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제약사들이 임상 3상 혹은 4상까지 거치면서 안전성 확보에 안전을 기하는 까닭이다.

중국과 러시아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과학계가 표준으로 삼는 절차들을 건너뛰고 긴급하게 백신을 내놓은 이후, 백신으로 ‘지정학적 파워’를 키우고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백신 공급을 통해 중국과 러시아, 인도, UAE 등에서 이뤄지는 외교전에 일부 미국 등 정책전문가들은 당황하고 있다는 게 WP의 전언이다.

이들은 중국과 러시아가 앞으로 수개월 동안 백신 공급을 매개로 외교전을 전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현재 국제정세와 개별 국가의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백신을 배제하고는 각국 정부와 온전한 외교전을 펼칠 수 없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이전에 백신 개발이 완료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백신 긴급사용 신청과 허용을 대선 이전에 마무리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의료 전문가들은 미국이 이에 대응하여 자체 백신을 서둘러 내놓아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미국 뉴욕대에서 의료윤리를 책임지고 있는 아서 캐플런 교수는 “중국과 러시아가 3상 시험 결과를 기다리지 않는 것은 미친 짓이고, 끔찍한 것”이라며 “믿기도, 이해하기도 힘들다”고 비판했다.

WP는 중국과 러시아가 개발한 백신을 처방받았다가 부작용이 발생한다면 상상하기도 힘들 정도로 많은 인명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럼에도 만약 중국의 의도대로 백신이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다는 게 확인되면 중국의 입지는 보다 탄탄해질 수 있다. 백신 외교전에다가 2021년 어느 나라보다도 빨리 경제가 회복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유명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y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