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수입 드론에 잡힌 국내 시장, 경쟁력 확보 시급"

공유
0

"수입 드론에 잡힌 국내 시장, 경쟁력 확보 시급"

이미지 확대보기


우리나라 드론산업의 기술력과 업계 규모가 미약, 경쟁력 확보정책 중심으로 전환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2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2016년 56억1000만 달러 규모인 드론시장은 오는 2025년 239억 달러로 증가할 전망이다.

드론은 군사와 취미 외에도 안전진단, 감시 측량, 수송, 물품 배송, 운송수단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 시장 자체가 비약적으로 성장하는데다 연관 산업 파급력이 크기 때문이다.

또 2022년이면 상업용 시장 규모가 44억8000만 달러로 취미용 시장 37억 달러를 앞설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2017년 발표된 정부부처 로드맵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시장 규모는 2016년 세계시장의 1%에 불과할 정도로 비중이 작다.

또 드론 업체의 51.9%가 매출액 10억 원 미만의 영세한 규모다.

세계 드론관련 특허 중 우리나라의 비중은 7%로 미국 28% 등 주요국보다 낮고, 핵심부품 기술력도 세계 최고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국내시장은 수입 드론에 의해 점유된 지 오래다.

2019년 8월말 현재 지방항공청에 등록한 드론 1만21대 가운데 국내산은 10% 미만이다.

중국의 경우 '선허용-후보완' 정책기조와 함께 강력한 공공수요 창출과 보조금 지급 등 정부주도로 산업을 빠르게 육성했다.

DJI, 이항 등 기업의 성공으로 세계 최대 소형드론 생산기지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미국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벤처캐피탈과 인수합병(M&A)으로 민간주도의 성장으로 시장을 키워왔다.

일본은 2016년 마련한 로드맵을 매년 수정하면서 2030년까지의 장기 계획을 실행 중이다.

또한 국가전략특구제도를 활용, 산림감시, 택배 등 산업화를 실험하고 있다.

전경련은 우리나라도 드론운영 관련 규제 수준을 주요국과 유사하게 정비했지만, 2017년 공공조달 '중소기업간 경쟁제품'에 드론을 지정하는 등 여전히 드론산업의 중소기업 보호에 멈춰있다고 분석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