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보이스피싱 9년간 20만 건...피해액 2조 4천억 원

공유
0

보이스피싱 9년간 20만 건...피해액 2조 4천억 원



서울중앙지검이 29일 인권감독관 산하에 '보이스피싱 서류, 진짜인지 알려줘 콜센터'(찐센터)를 개설하고 업무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검찰 사칭형 보이스피싱의 경우 구속영장·재직증명서·공무원증 등 위조서류를 피해자들에게 제시하는 경우가 많고, 일반인으로서는 진위를 쉽게 판단할 수 없어 피해를 보기 쉽다는 게 검찰의 설명이다. 사진은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이 제시한 가짜 검찰 관련 서류 사례.  [자료=서울중앙지검 제공. 연합]이미지 확대보기
서울중앙지검이 29일 인권감독관 산하에 '보이스피싱 서류, 진짜인지 알려줘 콜센터'(찐센터)를 개설하고 업무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검찰 사칭형 보이스피싱의 경우 구속영장·재직증명서·공무원증 등 위조서류를 피해자들에게 제시하는 경우가 많고, 일반인으로서는 진위를 쉽게 판단할 수 없어 피해를 보기 쉽다는 게 검찰의 설명이다. 사진은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이 제시한 가짜 검찰 관련 서류 사례. [자료=서울중앙지검 제공. 연합]

지난 9년간 보이스피싱사건은 20만건 발생했고, 피해액은 2조 4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매일 61건의 보이스피싱으로 7억 4천만 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9일 경찰청으로부터 자료에 따르면 2012년 5,709 보이스피싱 사기가 지난해 37,667건으로 6.6배 급증했으며, 피해 금액 역시 595억 원에서 10.7배 증가한 6,398억 원에 달했다.

지난해 말 기준 보이스피싱이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서울(10,494건)이며 경기, 인천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액 역시 서울(2,082억 원), 경기 인천 순으로 많았다.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 환급에 관한 특별법과 보이스피싱 방지를 위해 금융감독원, 법무부, 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7개 기관이 참여한 협의체 출범 이후에도 보이스피싱은 매년 증가할 뿐 줄어들지 않았다.

유 의원은 “실제 협의체의 책임을 지고 있는 금융위원회는 신·변종 수법이 나타났을 때 경찰청·금융감독원과 함께 합동경보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 관계 부처 간 공조로 경보가 발령된 것은 두 차례에 불과했다.”며 “보이스피싱 범정부 협의체 활동이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또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보이스피싱에 대한 지적이 있었지만 금융소비자가 느낄 수 있을 만큼 개선되지 못했다”며 “이번 국정감사에서 금융당국의 잘 잘못을 꼼꼼히 따져 피싱사기 근절을 위한 실질적이고 보다 촘촘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권진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