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배터리 맹추격에 LG·SK 분쟁 '합의 카드' 만지작

공유
0

中 배터리 맹추격에 LG·SK 분쟁 '합의 카드' 만지작

LG·SK, 배터리 분쟁 장기화에…'화해' 제스처
LG·SK "대화의 문 열려 있어"...중국 업체 추격 만만찮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배터리 분쟁에 대한 최종 판결을 또다시 연기한 가운데 분쟁 당사자인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측이 극적인 합의를 할 가능성을 열어놨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DB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배터리 분쟁에 대한 최종 판결을 또다시 연기한 가운데 분쟁 당사자인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측이 극적인 합의를 할 가능성을 열어놨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DB
치킨게임 양상으로 치닫던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간 전기차 배터리 분쟁이 막판에 극적인 합의를 이뤄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배터리 분쟁 판결 연기도 합의에 나설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놓았다.
이를 통해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국제무대에서 한국을 바짝 추격하고 있는 중국 업체의 공세도 막을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

무엇보다 ‘적전분열’로 자칫 중국 업체가 이득을 보는 ‘어부지리’를 만들지 않겠다는 양측 간의 의지도 담겨 있다.

◇ITC, 또다시 배터리 분쟁 판결 연기


27일 업계에 따르면 ITC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영업비밀 침해 소송 최종 판결일을 12월10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당초 이달 5일로 예정됐던 최종 결정일을 이날로 연기했던 ITC는 판결을 12월10일로 또다시 미루게 됐다.

이 소송은 작년 4월 LG화학 측이 제기해 지난 2월 ITC의 예비판결로 SK이노베이션 조기패소 예비판결이 난 상태다.

ITC가 또다시 최종 판견을 유보하자 그동안 진흙탕 싸움도 마다하지 않았던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합의의 문을 열어두며 갈등 봉합의 불씨를 되살리고 있다.

LG화학은 “경쟁업체가 진정성을 가지고 소송문제 해결에 나선다면 대화의 문은 열려있다는 것이 일관된 원칙”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SK이노베이션은 “소송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을 없앨 수 있도록 양사가 현명하게 판단해 조속히 분쟁을 끝내고 사업 본연에 매진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LG화학 전기차 모형. 사진=LG화학 제공이미지 확대보기
LG화학 전기차 모형. 사진=LG화학 제공

◇한 발씩 물러난 LG·SK…"중국 좋은 일만 할 수는 없지!"


양측이 대화 의지를 보이는데까지 한 발씩 물러나게 된 데에는 최근 한국 업체끼리 으르렁 대는 동안 중국 업체들이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정상을 차지하겠다는 야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LG화학은 지난 3월부터 누적 기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중국 CATL을 제치고 1위를 유지해 오고 있다.

그러나 8월 누적 기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점유율은 LG화학이 24.6%, CATL이 24%로 양측 간 시장 점유율 차이는 0.6% 포인트에 불과하다. 이보다 앞선 1월~7월까지 양사 간 시장점유율 차이는 1.3% 포인트였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최근 CATL 주요 고객사인 미국 자동차업체 테슬라 매출이 급격히 늘어나 CATL 시장 점유율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라며 "CATL이 LG화학으로부터 글로벌 1위를 탈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분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여기에 LG화학은 최근 배터리 사업 분할과 전기차 화재 논란으로 자금 유치와 불확실성 해소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과의 배터리 소송이 장기화될 경우 득보다 실이 더 많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이노베이션 역시 ITC의 판결 재연기로 당초 기대했던 '트럼프 대통령의 ITC 결정 거부권 행사'===>SK이노베이션 손 들어주기' 카드가 불발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최대한 빨리 소송을 종결해야 장기간 수입 금지 조치에 따른 영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어느 쪽이든 패소 결정에 따른 막대한 손실을 피하기 위해 합의를 위한 물밑협상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풀이했다.


오만학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