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토지신탁 재건축재개발 수주행보 지방 넘어 서울로 '잰걸음'

공유
0

한국토지신탁 재건축재개발 수주행보 지방 넘어 서울로 '잰걸음'

북가좌6구역‧신림1구역 등 서울 알짜 정비사업 사업대행자 선정
지방서 서울권으로 수주영역 확대…비결은 ‘자금조달능력‧사업기간 단축’

한국토지신탁이 지난 7일 신탁방식 정비사업 사업대행자로 선정된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감도. 사진=한국토지신탁이미지 확대보기
한국토지신탁이 지난 7일 신탁방식 정비사업 사업대행자로 선정된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감도. 사진=한국토지신탁
한국토지신탁이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사업 수주를 확대하고 있다.

기존 주력이었던 신탁사업을 기반으로 지방 정비사업장에 이어 최근 서울권 정비사업까지 수주 영역을 넓히고 있다.
30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한국토지신탁은 최근 서대문구 북가좌제6구역 재건축사업과 관악구 신림1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사업의 사업대행자로 선정됐다. 신탁방식으로 사업을 추진 중인 서울시 내 우량 정비사업장 2곳에서 사업권을 연이어 수주한 것이다.

한국토지신탁은 북가좌제6구역과 신림1구역 조합원 총회에서 각각 97%, 95%의 사업대행자 선정 동의율(총회 참석 조합원 기준)을 기록하며 조합원들의 지지를 받았으며, 현재 신탁등기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회사 측은 북가좌 제6구역의 경우 시공사를 조기에 선정할 수 있는 신탁방식 정비사업의 장점을 활용해 사업초기부터 설계안을 확정하고 설계변경을 최소화했다는 설명이다. 또한 인허가 기간을 단축해 비용 절감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신림1구역은 원활한 자금조달이 필요한 초대형 사업장으로서, 한국토지신탁은 다수의 부동산개발 이력과 자금조달 노하우를 인정받아 조합원들의 지지를 얻었다.

한국토지신탁 관계자는 “두 사업 모두 신탁방식 정비사업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신탁수수료에 우려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전하며 “그러나 신탁사의 신용공여를 통해 금융비용 및 공사비 등과 같은 굵직한 지출포인트를 크게 절감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재건축‧재개발사업은 시공사(건설사)가 조합에 자금을 지원해 주는 형태로 사업이 진행돼 왔지만 지난 2016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 개정 이후 신탁사가 주도적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 신탁방식 정비사업은 조합 설립 없이 신탁사가 직접 사업시행자로 사업을 추진하는 ‘신탁사 단독시행 방식’, 조합의 업무를 대행하는 ‘신탁대행 방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신탁사가 정비사업의 대행자로 참여하면 사업이 조합방식보다 비교적 빠르게 진행된다. 조합방식으로 추진될 경우 사업시행인가 이후 시공사가 선정되고 이 과정에서 대안설계를 제시해 대부분 추가 비용이나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신탁방식은 사업시행인가 전 시공사를 선정하고 최초 사업시행인가 이전에 설계를 반영해 각종 용역비와 인허가 기간을 줄일 수 있다.

한국토지신탁이 도시정비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비결로는 다수의 신탁방식 정비사업 수행 실적이 꼽힌다.

도정법 개정 이후 한국토지신탁은 신축 2267가구 규모의 대전 용운주공아파트 재건축사업을 시작으로 서울 흑석11구역 재개발·신길10구역 재건축, 인천 학익1구역 재개발 등 굵직한 정비사업지에서 사업대행 또는 지정자 지위를 확보했다.

특히 올해 12월 준공을 앞두고 있는 대전시 재건축 최대어인 용운주공아파트는 신탁방식 정비사업의 대표 성공사례로 손꼽힌다. 대전 용운주공 재건축사업은 수년 간 종전 시공사의 사업지연으로 지지부진했던 사업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합은 신탁방식으로 전환했고 한국토지신탁이 사업대행자로 참여하며 정체돼 있던 사업에 활로가 열렸다.

지난해 총 6개 사업장에서 사업대행‧지정자의 지위를 획득한 한국토지신탁은 올해 ▲강원 원주단계주공 재건축 ▲서울 북가좌제6구역 재건축 ▲서울 신림1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 등 3곳에서 사업대행자로 선정됐다.

한국토지신탁 관계자는 “신탁방식 정비사업은 신탁사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원활한 자금 조달 능력, 사업 기간 단축 등의 특장점을 가지고 있다”며, “여러 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이끈 경험을 통해 앞으로도 도시정비사업 부문에서 당사의 입지를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