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반핵단체 심각성 총공세...학계 "공포심보다 원인규명 먼저"

공유
1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반핵단체 심각성 총공세...학계 "공포심보다 원인규명 먼저"

에너지전환포럼·반핵의사회 등 긴급토론회서 인체·생태계 영향 측정방식, 국내 문제점 지적
원자력학계 "인체 피해 기정사실화 공포심 조장 자제, 온전한 규명 절차 거쳐 해결 필요" 주문

27일 에너지전환포럼 등 단체들이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월성 원전 방사성 물질 누출과 안전 문제 대응 전문가-시민사회 긴급 토론회'에서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에너지전환포럼 유튜브 채널 캡처 이미지 확대보기
27일 에너지전환포럼 등 단체들이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월성 원전 방사성 물질 누출과 안전 문제 대응 전문가-시민사회 긴급 토론회'에서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에너지전환포럼 유튜브 채널 캡처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경북 경주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논란을 놓고 원전반대 시민단체들이 한데 모여 한수원과 일부 원자력학계의 '우려할 수준이 아니다'는 주장을 강하게 공박하는 '세 과시'를 보여 향후 양 진영 간 '삼중수소 공방'이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더욱이 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감시기구)가 오는 2월 민간조사단을 출범시키기로 해 원전반대 진영이 '삼중수소 검출'을 계기로 탈원전 이슈를 재점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전환포럼, 반핵의사회, 탈핵법률가모임 해바라기 등 반핵단체들은 2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월성원전 방사성물질 누출과 안전문제 대응 전문가-시민사회 긴급 토론회'를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열고 '삼중수소 논란'의 심각성을 간과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서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월성 방사성물질 검출의 의미와 건강 영향'이라는 주제발표에서 "베크렐(Bq) 등 물리적 에너지를 나타내는 수치인 '노출선량'보다 인체에 들어왔을 때의 문제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선량환산'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백 교수는 "월성원전 인근에서 측정되는 대기 중 수증기와 빗물 속 삼중수소 선량은 전국 평균의 약 100~1000배로, 원전에서 방출되는 폐기 방사선량과 대기 중 측정 수준의 연평균이 밀접히 비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서 백 교수는 "우리나라는 물리적 에너지 수치를 생물학적 건강영향으로 환산해 보여주는 '선량환산' 추정 코드 프로그램이 모든 노출경로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고 기계적 선량환산에 머물러 있다"고 말했다.

백 교수는 "월성원전 주변지역은 전국 평균에 비해 100~1000배 많은 삼중수소 선량에 노출돼 있음에도 농수산물 등 환경 중 노출경로, 생체 내 구성성분과의 결합, 생체 내 작용 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한적으로만 측정·감시되고 있다"며 "환경·인체로 흡수 경로를 종합해 고려한 선량환산과 방사능 방호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석광훈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지난 8일 카이스트(KAIST) 정용훈 교수(원자력·양자공학과)가 언급한 '월성원전 인근 주민의 1년 간 삼중수소 피폭량은 멸치 1g 정도에 불과해 우려할 수준이 아니다' 발언을 강하게 비판했다.
석 전문위원은 "정 교수는 2014~2015년 제주·남해의 멸치시료 폴로늄 조사와 월성원전 주민의 소변시료 검사에 근거해 월성원전 주민의 삼중수소 피폭량은 멸치 1g 정도라고 주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석 전문위원는 스페인 등 해외에서는 국내의 해산물 채취 단계가 아닌 조리와 섭취하는 소비단계에서 해산물 방사능 조사가 이뤄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2010년 캐나다원자력안전위원회(CNSC)의 삼중수소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유기결합삼중수소(OBT)는 소변 검사로 측정이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

원자력안전연구소 한병섭 소장은 현재 원전 내부 방사성 물질 검출에 관한 한수원의 규정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한 소장은 "한수원은 삼중수소 검출과 관련해 비계획적 유출이 없다고 발표했지만, 원자력안전법 운영기술지침서에 따르면 비계획적 유출 여부 판단기준은 발전소 외부로의 방출 유무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발전소 내의 인적 오류나 노후설비 균열 등에 따른 누설이 확인돼도 규정 위반이라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이같은 원전반대 시민단체의 '삼중수소 검출 심각성' 주장에 원자력학계는 우려가 지나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정용훈 KIAST 교수는 앞서 지난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삼중수소의 위험은 그리 특별한 것이 아니고 이미 고려돼 있다"면서 "삼중수소를 포함한 물(HTO)이 일부 유기결합삼중수소로 전환되고 배출되는 과정 전체가 이미 선량평가에 들어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삼중수소의 인체 내 결합에 관한 원전반대 단체의 우려도 "이미 영국 정부가 구성한 내부피폭조사위원회(CERRIE)에서 생물학적 타당성이 부족하고 증거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을 그대로 옮겨온 것에 불과하다"고 정 교수는 반박했다.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논란과 관련, 원자력학계의 한 교수는 "원전 부지 내 삼중수소 검출 문제는 원인 파악과 안전규제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삼중수소의 유기물화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온전히 규명돼 있지 않은 만큼 삼중수소 피폭이 주민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고 기정사실화하고 공포심을 조장하는 것 역시 자제해야 한다"고 밝혀 선(先) 원인 규명, 후(後) 안전대책 마련과 보상 지원 등 사회적 절차와 해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