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속철은? 한국철도 KTX 시속 330㎞ 글로벌톱8에 선정

공유
1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속철은? 한국철도 KTX 시속 330㎞ 글로벌톱8에 선정

건설전문지 ProfiDom 소개...유로스타 e320, 日신칸센 E6 H5, 獨ICE4와 어깨 나란히
"최고시속 330㎞, 차량지탱 특수장치·속도자동제어·선로온도측정 센스 등 기술력 탁월"

사진=우크라이나 프로피돔(ProfiDom) 홈페이지, 한국철도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우크라이나 프로피돔(ProfiDom) 홈페이지, 한국철도
한국철도(코레일)가 운영하는 ‘KTX산천’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속열차 톱8에 선정됐다.

우크라이나 건설 전문매체 프로피돔(ProfiDom)은 지난 8일(현지시간) 세계 최고속 열차 8개를 선정해 소개했다.
프로피돔이 뽑은 ‘글로벌 톱8 고속열차’에는 KTX산천과 함께 ▲유로스타(EuroStar) e320(유럽) ▲신칸센 E5, E6, H5(일본) ▲InterCity Express4(ICE4, 독일) ▲Talgo 350 SRO(사우디아라비아) ▲Avelia AGV(프랑스) ▲CR400 AF/BF(중국) ▲상하이 자기부상열차(중국)가 포함돼 있다.

외신은 KTX산천을 소개하면서 “한국은 잘 발달된 철도망에 5개 고속철 노선으로 어디든 3시간 이내에 승객을 모신다”면서 “코레일(한국철도)의 KTX와 KTX산천 2종류 고속열차 모두 시속 305㎞ 주행속도로 설계됐지만 최고 시속 330㎞까지 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 KTX가 적용하고 있는 고도의 철도안전 기술력을 특별히 강조한 부분이 눈에 띄었다. 즉, 열차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선로를 특수주행장치로 제작했고, 열차 부속품 등 물체가 주행 중 선로에 떨어지면 열차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센서, 철로의 온도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센서 등을 소개했다.

KTX산천과 같이 선택을 받은 글로벌 톱8 고속철도는 다음과 같다.

▲EuroStar e320=파리~브뤼셀~런던을 연결하는 고속철도로 유럽인과 관광객들을 유럽 국가의 수도를 중심으로 연결시켜 준다. 독일 지멘스AG가 제작을, 이탈리아 자동차 디자인 전문기어 피닌파리나(Pininfarina)가 디자인 작업을 맡았다.

최고 주행속도는 시속 322㎞이며, 객실에 와이파이(Wi-Fi)·전원콘센트·USB포트 등 인터넷 사용 환경이 갖춰져 있다. 최대 900명까지 탑승 가능하다.
▲신칸센 E5, E6, H5=일본의 차세대 초고속열차로 최고 속도 320㎞로 주행하며, 세 유형의 좌석 등급으로 나눠져 우수한 서비스와 편의시설을 제공받을 수 있다.

▲InterCity Express 4(ICE4)=독일의 4세대 고속열차로 최대 시속 350㎞를 자랑하며, 독일 전역을 단 3~4시간 만에 도달할 수 있다.

▲Talgo 350 SRO=사우디아라비아가 운영 중인 메카~메디나 454㎞ 구간의 고속철도로 최고 시속 300㎞로 주행한다. 철도 차량은 사막 기후의 특성인 모래와 고온에 영향받는 극한기후 조건에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스페인 기업이 설계했다.

▲Avelia AGV=프랑스 알스톰(Alstom)에서 만든 고속철도로 최고 시속 360㎞로 달린다. 공기 저항을 최소화한 차체 설계와 넓은 내부공간, 조절 가능한 좌석, 편리한 Wi-Fi 환경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제동 중 소음을 줄이는 특수 브레이크 패드를 적용해 주행 중 조용하고 부드럽게 승차감을 제공한다.

특히, 차체 제조에 사용된 부품 등 재료의 90% 이상을 수명연한 종료 때까지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이다.

▲CR400 AF/BF=시속 350㎞로 운행되며 최고 420㎞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중국인들은 CR400 AF모델을 ‘블루 돌핀(Blue Dolphin)’, CR400 BF모델을 ‘골든 피닉스’로 부르며, 일붕선 통칭해서 ‘르네상스 고속철’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열차로 최소 10시간 걸리는 상하이~베이징 구간을 약 4시 30분만에 돌파한다.

▲Shanghai Maglev=중국의 바퀴 없는 자기부상 고속철도로 평균 시속 251㎞, 최고 시속 431㎞ 주행을 과시한다. 운행 구간은 푸동 국제공항에서 룽양루 지하철역까지 30.5㎞로 짧지만 공항 출입 이용자를 수송하는데 단 8분이 소요돼 이동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이진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inygem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