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아마존, 인도서 '소수 판매자 우대' 했다

공유
0

아마존, 인도서 '소수 판매자 우대' 했다

아마존이 인도의 외국인 직접투자 규제 방침과 관련, 정부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 인도의 특정 판매자가 매출을 과점하고 인도 소매상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있다는 사실을 숨기는 전략회의를 가졌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아마존이 인도의 외국인 직접투자 규제 방침과 관련, 정부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 인도의 특정 판매자가 매출을 과점하고 인도 소매상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있다는 사실을 숨기는 전략회의를 가졌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로이터
아마존 임원 제이 카니는 2019년 초, 인도 정부가 아마존이 사업을 방해할 수 있는 외국인 직접투자 규제 방침을 발표한 후 워싱턴에서 인도 주미대사와 회의를 준비하며 회담 초안을 마련했다.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카니가 준비한 초안의 핵심 내용은 아마존의 인도에 55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했다는 점과 40만 명 이상의 인도 판매자에게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했다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아마존 판매자 33명이 아마존에서 판매된 모든 상품의 3분의 1을 차지했다는 사실은 누설하지 않도록 당부하는 것이었다.
이 같은 사실은 회사의 다른 문서에서도 확인됐다. 아마존이 간접적으로 지분을 보유했던 인도 가맹점인 플랫폼 판매자 2명이 2019년 초 아마존 매출액의 약 35%를 차지했다. 이는 당시 인도에서 40만 명이 넘는 아마존 판매자 중 약 35명이 온라인 판매의 3분의 2를 차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니의 브리핑 노트는 수백 개의 내부 아마존 문서에 담겨 있다. 그 문서들은 아마존이 수년간 인도 플랫폼에서 소수의 판매자들을 우대하고 있고, 판매자들과의 관계를 공개적으로 잘못 표현하고, 인도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 그것들을 사용했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사실 인도 상인들은 아마존의 플랫폼이 소수의 대형 판매자들에게 큰 혜택을 주고 있으며 미국 거대 소매상들이 약탈적인 가격 책정에 관여하고 있다고 오랫동안 주장해 왔다. 아마존은 이 같은 주장을 부인해 왔다. 중간자 역할을 하면서 소비자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미국과 달리 인도에서 아마존은 판매자와 구매자를 유료로만 연결할 수 있도록 규정한 인도법을 준수한다고 주장했다.

아마존은 또 투명한 온라인 시장을 운영하며 모든 판매자들을 동등하게 대우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마존 내부 문서는 이러한 주장과 모순된다. 아마존은 소수의 판매자에게 할인된 수수료를 적용하는 등의 특혜를 주고, 애플과 같은 거대 기술 제조업체들과 특별 거래를 끊는 것을 어떻게 지원해 왔는지를 드러낸다.

이 문서는 아마존의 인도 지사의 주요 판매자 중 일부의 재고를 통제하고 있음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판매자가 자사 플랫폼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히고 있다. 결국 이 문서들은 아마존이 연방 규정을 어기고 몇몇 빅 셀러들을 우대함으로써 소매상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있다고 주장해 온 인도 소매상들의 주장이 옳았음을 반증한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정치적 기반은 수백만 개에 달하는 소매상들이다.

로이터통신이 입수한 문서는 2012~2019년 사이에 작성됐다. 회의 노트, 파워포인트, 비즈니스 보고서 및 전자 메일의 초안 등이다.
아마존은 이와 관련, "시장에서의 어떤 판매자에게도 특혜를 주지 않는다"며 "항상 법을 준수해왔다"면서 "보고서는 아마존을 비난하고 혼란을 일으키려는 의도로 (악의적으로) 공급된, 증명되지 않은, 불완전하고 사실적으로도 잘못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회사 측은 "모든 판매자를 공정하고 투명하며 비차별적으로 취급하며, 판매자마다 가격을 독립적으로 결정하고 재고 관리를 책임진다"고 덧붙였다.

포레스터리서치에 따르면 아마존은 2019년 인도에서 100억 달러에 육박하는 매출을 기록해 인도 제2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한편, 인도의 독점 금지 감시 기관인 인도경쟁위원회는 2020년 1월 인도 무역단체의 고발에 따라 아마존과 월마트 플립카트를 조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휴대전화 독점 출시, 자사 홈페이지 내 판매자 우선 홍보, 대폭 할인, 일부 판매자 목록 우선순위 지정 등 4가지 비경쟁적 관행을 조사의 이유로 들었다.


조민성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s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