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서비스업 일자리 2025년까지 30만 개

공유
0

서비스업 일자리 2025년까지 30만 개

사진=픽사베이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픽사베이

정부는 서비스 산업 전반의 체질을 개선, 2025년까지 일자리를 30만 개를 창출하고,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을 60% 초반에서 65%까지 높이기로 했다.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3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중소 영세상점 10만 개, 중소기업 1350개의 스마트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정한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 소상공인의 경우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자부담률은 30%다.

혁신솔루션을 도입한 중소기업의 경우 지원 금액이 최대 6000만 원이며 자부담률은 50%다.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하는 서비스기업에는 2조 원의 우대 보증을 지원하기로 했다.

서비스업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문화·숙박·외식·스포츠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2300만 명을 대상으로 8대 바우처·쿠폰 지원도 준비할 방침이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기초 인프라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 서비스 연구·개발(R&D) 지원을 2025년까지 5년간 7조 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체크리스트·주요 지원 사례 등을 포함한 서비스 R&D 가이드라인도 작성해 배포하기로 했다.

관광·보건의료·물류·금융 등 성장성이 높은 8개 분야 고부가 가치화도 지원, 창업 초기 관광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3000억 원의 펀드를 조성하고, 해양치유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 계획도 연내 마련할 계획이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콘텐츠 현지화 작업 및 법률 자문에 올해 22억 원을 투입하고, 맞춤형 투자를 지원하는 핀테크 혁신펀드를 5000억 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음식숙박·도소매 등 생활밀착형 업종은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을 통해 고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2023년까지 소상공인에 키오스크, 디지털 결제 단말기 20만 대를 보급하고, 2025년까지 1600개소를 대상으로 주방 실시간 공개 시스템(CCTV) 설치비용과 행정처분 감면 등의 규제 인센티브를 줄 방침이다.

공유숙박의 제도화를 위해 도시지역 거주 주택에서 내·외국인 모두 이용 가능한 도시민박 관련 업종을 신설하되, 코로나19 상황과 실증특례 성과 등을 고려해 제도화 시기를 검토할 계획이다.

가상현실(VR) 지도 등을 활용한 디지털 전통시장을 500개 조성하고, 빅데이터 기반 경영컨설팅 대상 업종도 30개로 넓히기로 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