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구글 검색 결과 기준 밝힌다"…공정위, 새 전자상거래법

공유
0

"구글 검색 결과 기준 밝힌다"…공정위, 새 전자상거래법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뉴시스

공정거래위원회는 전자상거래법(전자 상거래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을 개정, 온라인 플랫폼의 검색 결과·순위 기준 공개를 강제화하기로 했다.

이는 검색 내용이 광고인지, 아닌지를 소비자가 분간할 수 있게 해 합리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구글·쿠팡·네이버 등 대형 온라인 플랫폼 대부분 이 법의 적용 대상이다.

조성욱 공정위 위원장은 전자상거래법 전부 개정안을 지난 5일부터 내달 14일까지 40일 동안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조 위원장은 "소비자가 광고 상품을 순수한 검색 결과로 오인, 구매하는 일이 없도록 온라인 플랫폼 등 전자 상거래 기업이 이를 구분해 표시하도록 하고, 조회 수·광고비 지급 여부 등 검색 순위를 정하는 주요 기준도 알리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온라인 플랫폼은 이용 후기 수집·처리에 관한 정보를 공개해야 하고, 개별 소비자의 기호·연령·소비 습관 등을 반영한 '맞춤형 광고'를 할 경우 그 사실을 별도 표시해야 한다.

소비자는 맞춤형 광고와 일반 광고 중 자신이 선호하는 것만 보여 달라고 선택할 수도 있다.

온라인 플랫폼의 책임을 강화, 플랫폼은 자사가 거래 당사자인 것으로 소비자를 오인하게 하거나 청약 접수, 결제, 대금 수령·환급, 배송 등 특정 역할을 직접 수행하다가 소비자에게 손해를 입히면 책임을 지도록 했다.

입점업체 과실로 소비자 손해가 발생했더라도, 플랫폼이 자사 명의로 표시·광고·공급·계약서 교부를 했다면 연대 책임을 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 경우 소비자는 플랫폼과 입점업체 중 원하는 곳을 골라 선택적으로 "피해를 배상하라"고 청구할 수 있도록 했다.

중앙 행정기관장이나 시·도지사 등 지방자치단체장이 리콜 명령을 발동할 경우 온라인 플랫폼 등 전자 상거래 사업자는 회수·수거·폐기 등에 협조하도록 했다.

또 급증하는 소비자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성을 갖춘 '전자상거래분쟁조정위원회'를 한국소비자원에 설치하기로 했다.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도록 했다.

한국에 주소나 영업소를 두지 않은 대형 플랫폼은 국내에 법률 등 대리인을 반드시 두고, 분쟁 해결·문서 수령 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공정위는 국경이 없는 전자 상거래의 특성을 고려, 규모가 큰 해외 플랫폼에는 '국내 대리인을 통해 분쟁에 대응하라'고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