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보험료 줄줄이 오른다…소비자 부담 가중

공유
8

보험료 줄줄이 오른다…소비자 부담 가중

예정이율 인하로 실손보험 이어 종신·자동차보험까지 인상 예정

실손의료보험에 이어 다음달부터 건강보험·종신보험 등 보장성 보험료가 줄줄이 인상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이미지 확대보기
실손의료보험에 이어 다음달부터 건강보험·종신보험 등 보장성 보험료가 줄줄이 인상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실손의료보험에 이어 다음달부터 건강보험·종신보험 등 보장성 보험료가 줄줄이 인상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과 교보생명은 5월까지 예정이율을 2.25%에서 2.0%로 내린다. 예정이율이란 장기보험 계약자에게 약속한 보험금을 지급하기 위해 보험료에 적용하는 이자율을 뜻한다. 예정이율이 올라가면 더 적은 보험료로도 같은 보험금을 받을 수 있지만 내려가면 보험료 부담이 더 커진다.

예정이율 0.25% 떨어지면 보험료 7∼13% 올라


예정이율이 0.25% 떨어지면 신규 또는 갱신 보험계약의 보험료는 일반적으로 7∼13%가 오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삼성생명과 교보생명은 지난해 4월에 예정이율을 2.5%에서 2.25%로 내렸고, 10∼12월에 각각 1개와 2개 상품에 대해 다시 2.0%로 끌어내렸다.

삼성생명은 지난해 말에 예정이율을 내리지 않은 나머지 상품에 대해 4∼5월에 2.0%로 조정할 계획이다. 교보생명 역시 이달에 나머지 상품의 예정이율을 2.0%로 낮췄다.

NH농협생명은 다음달 보장성보험의 예정이율을 2.25%에서 2.0%로 조정한다. 종신보험은 작년에 인하돼 이미 2.0%를 적용하고 있다.

동양생명도 지난 1월 비갱신형 보장성 상품에 대해 2.25%로 내렸고, 다음달 갱신형 보장성상품과 종신보험도 똑같이 하향한다.

ABL생명과 오렌지라이프는 1월에 예정이율을 인하했다.

2019년까지만 해도 생보사의 예정이율 변경은 1년에 평균 1차례 미만 빈도였으나 지난해 저금리 심화를 이유로 일부 보험사는 두 차례 인하를 단행했다.

지난해 9월 시장 금리가 상승세로 반전해 올해는 예정이율 동결, 즉 보험료 동결 기대도 제기됐으나 생보사 대부분이 보험료 인상대열에 합류했다.

이에 대해 보험사들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시장 금리가 하락했음에도 예정이율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만큼 보험료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올해 실손보험료 인상률은 최고 19.6%로 확정됐다. 2009년 9월까지 팔린 1세대 구(舊)실손보험이 각사 평균 17.5∼19.6%, 이후 2017년 3월까지 팔린 표준화실손보험이 각사 평균 11.9∼13.9% 각각 올랐다.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 등 4개 주요 손보사 중 삼성화재의 구실손 인상률이 19.6%로 가장 높다.

실손보험료가 이처럼 큰 폭으로 오른 것은 손해율 악화 때문이다. 도수치료와 백내장 치료 등 비급여진료가 늘면서 지난해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130.5%로 2019년(134.6%)에 이어 2년 연속 130%를 넘어섰다. 그 결과 지난해 손보사들이 실손보험에서 본 손실액만 2조3608억 원에 이른다.

자동차 보험료도 인상 예정


자동차보험료도 인상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우선 MG손해보험은 지난 16일부터 개인용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2% 올렸다. MG손보의 지난해 손해율은 107.7%로 자동차보험을 취급하는 11개 손보사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가입자에게 받은 보험료 대비 고객에게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이다. 통상 손보업계는 77~80%를 자동차보험 손해율의 적정 수준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손해율이 90%를 넘긴 롯데·캐롯손해보험도 최근 보험개발원에 요율 검증 등을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AXA손해보험은 영업용 차량에 대한 보험료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 등 시장 점유율 84%에 육박하는 대형 손보사들의 움직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자동자보험 손해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해 최저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이동 자체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의원 진료비 증가, 정비요금 인상 등으로 자동차보험료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정비수가 인상은 고스란히 보험금 지출 증가로 이어진다”며 “보험료 인상 없이 정비수가만 인상된다면 보험사들의 영업 적자폭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보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br0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