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당국, 리플레이션 우려 재부상→장기물 국채 금리 하락 '당혹'

공유
1

美 당국, 리플레이션 우려 재부상→장기물 국채 금리 하락 '당혹'

미 장기물 국채 금리가 리플레이션 우려로 하락하자 채권 매수자와 당국이 크게 당혹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 장기물 국채 금리가 리플레이션 우려로 하락하자 채권 매수자와 당국이 크게 당혹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에서 국채 장기물 금리가 리플레이션 우려로 하락하자 크게 당혹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리플레이션이란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났지만 심각한 인플레이션은 유발하지 않을 정도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통화가 재팽창하고 완만한 물가상승과 금리 상승을 동반한다.

일반적으로 신용 등급이 매우 높은 국채는 건강에 해로운 정보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야 매수가 몰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주 후반에는 만기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수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출발은 소매 매출이 10년 만에 가장 큰 월간 도약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이는 지식과 노동 및 금융시장이 회복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 여파로 인해 채권 구매자들은 이례적으로 미국 당국의 21조 달러 채권시장이 추가적인 양호한 재무 정보에 어떻게 반응할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12개월 동안 ‘리플레이션 상거래(reflation commerce)’ 내에서 보다 밝은 금융지식이 채권시장에 해를 끼치면서 전형적인 패턴이 우세했다.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1980년 1분기 이후 장기 국채의 효율성이 최악으로 떨어졌다. 이제 신뢰할 수 있는 역동성은 금이 가는 것으로 보인다.

전략가들은 “한 가지 중요한 문제는 이미 채권 매수자들이 제시한 채권에 대한 베팅의 규모가 지나치게 크다는 것”이라고 말한다. 상품선물매매수수료에 의해 집계한 지식에 따르면 일부 헤지펀드는 수요일로 끝나는 주에 채권에 대한 불리한 베팅이 더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TD증권 애널리스트들은 공지를 통해 "지난 목요일의 랠리는 부분적으로 빠른 현금 공매도 해제로 인해 추진됐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의 수익률 하락과 상관없이 수수료 전망은 재무부 내의 매도가 일시적일 것으로 예측된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애널리스트들은 12개월 말까지 2%에 가까운 기준 채권 수익률에 집중하고 있다.

가다 캐피털 컴패니언의 선임 포트폴리오 감독인 팀 매그너슨은 "약세장에서 급격한 강세장 반등이 있을 것"이라며 "몇 달 더 빨리 나아가는 사람들에게는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보다 더 큰 국채 수익률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랠리의 지속성은 주로 일본의 해외 바이어들에게 달려 있다고 시장 관계자들은 말한다. BMO캐피탈마켓의 애널리스트인 이안 린젠은 쇼핑이 급증한 것은 ‘도쿄로부터의 입찰’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바이어들이 다음 랠리 보장을 향후 몇 주 동안 가치 움직임의 속성이 되도록 밀어붙이는 경향이 있고, 우리는 특히 미국 시장에서 이 중요한 참여자가 얼마나 예리하게 국채를 추가했는지에 흥미를 가질 것"이라고 전했다.

국제적인 수요의 증가는 이미 재무부의 대규모 경매에 관한 우려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달 초에 많은 불안을 느낀 후, 최근 2건의 국채 매출은 쉽게 넘어갔다. 또 다른 국채는 수요일에 발행되는데, 20년 만기 240억 달러의 공개 매도이다.

예상되는 인플레이션 압력은 채권 구매자와 연준이 예상하는 것보다 더 뚜렷하고, 확장될 것이라는 신호는 채권 비용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미국 중앙 금융 기관은 향후 몇 개월 내에 인플레이션 상승을 위한 시장을 준비했지만, 구매자들에게 상승세는 일시적일 것이며 가까운 장래에 매우 수용적인 재정적 범위를 유지할 것이라고 장담했다. 인플레이션 기대치에 대한 시장 대책은 구매자들이 주로 1차적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지만, 서서히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연준 역시 예상보다 빨리 입장을 규제해야 할 수 밖에 없다.

미국의 금융회복이 매우 강력하고 백신의 효과가 살아나면, 이는 국제 금융시스템 내에서 중요한 모멘텀을 만들어낸다. 이 때문에 추가적인 인플레이션 위험을 분산하고 연준은 시장 준비에 착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민성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s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