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인니 무역부 장관 “TKDN으로 韓 스마트폰 수입 ‘제로’” 자평

공유
1

인니 무역부 장관 “TKDN으로 韓 스마트폰 수입 ‘제로’” 자평

무함마드 루트피(Muhammad Lutfi)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사진=sinar harapan]이미지 확대보기
무함마드 루트피(Muhammad Lutfi)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사진=sinar harapan]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국 산업 보호 규정인 국내부품 사용규정(TKDN)정책 효과에 힘입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부품 등 해외에서 제작된 부품이 자국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고 자평했다.

22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석간신문인 시나르 하라판(sinar harapan)에 따르면 무함마드 루트피(Muhammad Lutfi)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은 이날 ‘인도네시아 정책과의 대화’라는 주제로 열린 웹 세미나에서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에 대한 TKDN 정책 으로 인도네시아가 더 이상 베트남을 통해 한국에서 만든 휴대전화를 수입하지 않게 됐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자국 산업 보호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입 규제 조치인 TKDN은 자국 내에서 정부 사업 수주를 위해서는 지정품목 한해 자국 생산 제품을 사용하거나 현지 직접 제조해 사용한다는 규정이다.

루피트 장관은 “TKDN 정책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현명한 정책”이라며 “현재 베트남을 통해 인도네시아로의 한국 휴대 전화 수입은 제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실제로 호주가 (자국)제품에 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던 만큼 (인도네시아도)국가 시장을 보호해야 한다”고 TKDN 정책 확대를 주장했다.

인도네시아 당국은 삼성 뿐 아니라 글로벌 제조사들에게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등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인도네시아에서 제품 공급과 판매를 위해선 인도네시아의 TKDN 규모를 늘려야 한다는 게 현지 외신의 설명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 2011년부터 수입 제품에 적용하고 있는 TKDN에 2017년부터 통신장비와 스마트폰 부품 등 모바일 부품으로까지 확대했다. 애플은 TKDN에 대응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에 연구개발 시설을 건립했고, 애플 제품 제조사인 페가트론은 공장을 인도네시아 바탐(Batam)섬으로 옮겨 아이폰 일부 물량을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자도 자카르타에서 동쪽으로 40km 정도 떨어진 치카랑(Cikarang)의 TV공장 일부를 스마트폰 생산라인으로 전환해 운영하고 있다. 베트남 부품을 들여와 조립하는 형식이다.

인도네시아 산업부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 수입량은 지난 2016년 1850만대에서 이듬해인 2017년 1140만 대로 줄었다.

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c07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