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토부, 매입약정 등 단기주택 올해 3만8000가구 공급

공유
0

국토부, 매입약정 등 단기주택 올해 3만8000가구 공급

신축매입약정 1.8만가구 신청…현재 1400가구 약정 체결
공공전세 9600가구, 비주택 리모델링 3000가구 신청…본격 사업 추진

1호 공공 전세주택 조감도. 사진=국토교통부이미지 확대보기
1호 공공 전세주택 조감도. 사진=국토교통부
정부가 전세난 해소를 위해 올해 약 3만8000가구의 단기주택을 공급한다.

국토교통부는 2·4대책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단기 주택 공급방안이 차질 없이 추진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단기 주택 공급방안은 기존 대책의 공급 시차를 보완하기 위해 신혼·다자녀·고령자 등이 도심 내 단기간(1~2년)에 입주할 수 있는 '신축 매입약정 방식'을 중심으로 신규주택을 공급하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이를 통해 3~4인 가구에게는 중형 평형 위주의 공공 전세주택을, 1인 청년가구를 위해서는 비주택 리모델링 주택을 공급해 다양한 계층에게 맞춤형 주택을 제공한다는 것이 국토부의 계획이다

이러한 단기 주택 공급방안을 통해 국토부는 올해 3만8000가구, 내년 4만2000가구 등 총 8만가구(서울 3만2000가구)의 신축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다.

신축 매입약정은 민간사업자가 건축하는 주택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매입하기로 사전약정을 체결하고 준공시 매입해 공급하는 방식이다.

국토부는 지난달 말 기준 민간사업자로부터 약 1만8000가구 규모의 신축 매입약정사업이 신청됐으며 순차적으로 심의해 약 1만4000가구에 대해 약정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매입약정을 거쳐 준공된 신축주택 약 6000가구에 대한 입주자 모집도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말까지 2만1000가구(수도권 2000가구, 서울 1400가구)에 대한 입주자 모집을 진행했고 올해 말까지 추가로 3900가구(수도권 3300가구, 서울 1600가구)에 대한 입주자 모집을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약정계약을 체결한 사업은 공사기간(6개월~1년)을 감안해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입주자 모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 전세주택은 올해 신규 도입된 유형으로 3~4인 가구가 방 3개 이상 중형 평형의 신축주택에서 시세 90%이하의 전세금(보증금 100%)으로 최대 6년간 거주할 수 있는 주택이다.

정부는 지난달 안양시에 위치한 '1호 공공 전세주택'을 공개한 바 있다. 방 3개, 화장실 2개를 갖춰 중형평형 수요를 흡수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가 입주자를 모집한 결과 27대 1의 높은 경쟁률(117명 모집에 3145명 신청)을 보이기도 했다.

공공전세는 4월 말 기준으로 약 9600가구의 사업이 신청됐다. 이는 올해 목표 물량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정부는 현재 900가구에 대한 계약을 완료했다.

비주택 리모델링은 증가하는 1인 주거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심 내 우량 입지의 호텔·상가·오피스 등을 주택으로 리모델링해 공급하는 사업이다. 기존 비주택의 식당·회의실 등을 공유공간으로 활용하고 전문운영기관이 다양한 생활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지난해 안암동 ‘안암생활’, 노량진 ‘노들창작터’ 등 2곳에서 바닥 난방과 공유 주방·세탁실을 갖춘 주택을 시범 공급했다. 정부는 이달 안에 관광호텔을 리모델링한 두 번째 사례인 영등포 ‘아츠스테이’를 공개하고 입주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총 28건, 약 3000가구의 사업이 신청됐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상반기 중 현장조사와 매입심의를 완료하고, 계약체결·공사 등을 거쳐 이르면 올해 말 입주자 모집을 진행할 예정이다.

단기주택 공급계획. 자료=국토교통부이미지 확대보기
단기주택 공급계획. 자료=국토교통부


김수상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민간사업자에게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공공주택사업자가 철저하게 사업을 관리해 입주자가 살고 싶은 위치에 만족할 만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단기 공급방안을 포함한 2·4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공정하게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