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머스크가 제기한 '비트코인=탄소배출"...'그린 코인' 나오나

공유
0

머스크가 제기한 '비트코인=탄소배출"...'그린 코인' 나오나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데 엄청난 전기량이 소모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자동차 구매 대금으로 비트코인 거래를 중단한다고 선언한 후 비트코인의 탄소배출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데 엄청난 전기량이 소모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자동차 구매 대금으로 비트코인 거래를 중단한다고 선언한 후 비트코인의 탄소배출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
너무 심각해진 양극화, 이제 근로소득만으로는 결코 부자가 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절박감, 이런 사회적 현상이 젊은층을 중심으로 가상화폐에 대한 거래를 지난 수년 간 선풍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그동안 쉽게 감춰진 우려가 드러나고 있다. 그것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비트코인이 채굴되는 방식에 대한 우려다.

최근 테슬라의 엘론 머스크가 비트코인으로 전기차를 거래할 수 있다고 한 약속을 갑작스럽게 뒤집으면서 그 이유로 에너지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새삼 환경론자들의 주장이 큰 관심을 촉발하고 있다. 환경론자들과 일부 테슬라 투자자들은 화석 연료로 생성된 방대한 양의 전기를 사용하여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데 대해 점점 더 비판을 강화해 왔다.

◇가상화폐와 탄소배출량


비트코인은 가상이며 종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전 세계 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모된다. 일부 비트코인 지지자들은 에어컨이 설치된 사무실에 있는 수백만 명의 직원과 컴퓨터가 있는 기존 금융 시스템도 많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한다고 지적하고 있지만 전력량 소모가 너무 많다.

현재 속도의 비트코인 채굴은 네덜란드가 2019년에 사용했던 것과 같은 양의 에너지를 매년 소모한다고 케임브리지 대학과 국제 에너지기구의 데이터가 이미 밝힌 바 있다. 한때 유행했던 세계에서 가장 큰 암호화폐는 더 많은 미국 주요 기업과 금융 회사에서 받아들여지면서 점차 주류가 되었다. 더 많은 수요와 더 높은 가격은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점점 더 강력한 컴퓨터를 사용하게 했다. 비트코인을 얻기 위해 가장 빠른 시간에 퍼즐을 풀기 위해 더 많은 채굴자들이 경쟁하게 된다.

비트코인은 고출력 컴퓨터가 복잡한 수학 퍼즐을 풀기 위해 다른 기계와 경쟁할 때 만들어진다고 한다. 에너지 집약적 프로세스는 화석 연료, 특히 가격은 상대적으로 싸지만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석탄에 크게 의존한다.

비트코인 생산량은 연간 2290만t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또는 요르단과 스리랑카가 생산하는 수준의 탄소 배출량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린 에너지나 대체 에너지 통한 채굴

캠브리지 대학교 대체 금융 센터의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의 경우 중국 채굴자가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들은 비가 오는 여름철에는 재생에너지(대부분 수력 발전)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나머지 연중에는 화석 연료(주로 석탄)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데 가장 큰 장애가 중국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 중국에는 값싼 화석 연료를 더 비싼 재생 에너지로 바꾸려는 동기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만 중국의 폐쇄적 경향은 글로벌 환경 보호차원에서 접근하면 수정될 소지가 있다. 이미 시진핑 주석이 탄소배출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력에 공감을 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채굴의 환경적 피해를 완화하려는 암호화폐 업계의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대기업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진입하면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그린 비트코인'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일부 지속 가능성 전문가들은 기업이 탄소 배출권을 구입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분석 회사들도 이론상 비트코인의 출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하면서 '그린 비트코인' 수요에 대한 합법적 접근을 논의하고 있다.

또한 태양력이나 풍력, 수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로 비트코인을 채굴하면 탄소 제로상태에서 채굴할 수 있다는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