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의 비트코인 채굴 단속 관련 산업 전체 확대 움직임…내몽골서 첫 ‘가이드라인’ 제시

공유
2

중국의 비트코인 채굴 단속 관련 산업 전체 확대 움직임…내몽골서 첫 ‘가이드라인’ 제시

중국 규제 당국의 암호화폐 단속이 거래와 채굴뿐만아니라 관련 산업 전 부문으로 확대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규제 당국의 암호화폐 단속이 거래와 채굴뿐만아니라 관련 산업 전 부문으로 확대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 정부가 암호화폐 사용과 거래를 금지한 데 이어 더욱 강경한 방향으로 틀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는 지난 금요일 정부가 금융안정을 위해 비트코인 채굴과 거래를 단속할 것이라 말했지만, 구체적인 정책을 밝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번 주 중국 북부의 자치구인 내몽골은 암호화폐 채굴 금지 계획에 대한 지침 초안을 발표하면서, 당국이 이번 암호화폐 단속의 새로운 단계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에 대한 첫 번째 세부 사항을 제시했다.

내몽골 개발개혁위원회의 규정에 따르면 빅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은 정부의 특혜 정책이 철회되고, 통신사와 인터넷 기업, 심지어 사이버 카페도 암호화폐 채굴에 종사한 사실이 확인되면 사업자등록이 취소되거나 운영이 중단된다. 또 암호화폐를 이용해 ‘돈세탁’을 한 것으로 드러난 기업이나 개인은 사법당국에 넘기고, 이에 참여했거나 이를 촉진한 공무원은 국가 반부패기관의 정밀조사를 받게 된다.

내몽골의 초안은 오는 6월1일 공개되며, 이 가이드라인은 글로벌 비트코인 채굴의 20%가량을 차지하는 신장 등 중국 내 다른 비트코인 채굴 허브에 대한 선례가 될 수 있다. 중국의 베테랑 분석가인 빌 비숍(Bill Bishop)은 자신의 시노시즘(Sinocism) 뉴스레터에 “다른 성, 특히 쓰촨과 신장 지역이 보이는 것처럼 강경 노선을 취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지만, 베이징의 관심을 감안할 때 그들이 이를 따르지 않는다면 나는 놀랄 것”이라고 썼다.

■ 암호화폐에 대한 단속의 이유

중국은 2017년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했지만, 지금까지는 막대한 전력을 소모하는 컴퓨터를 이용해 알고리즘 퍼즐을 풀고 그 대가로 가상화폐로 보상을 받는 채굴이 용인되어 왔다. 영국 대학이 개발한 ‘온라인 툴’인 ‘케임브리지 비트코인 전기소비지수’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전 세계 월평균 비트코인 채굴 능력인 ‘해시 레이트’ 약 65%가 중국에 기반을 두고 있다. 신장은 이 수치의 절반 이상(36%)을 차지하고 있으며, 내몽골은 쓰촨성, 신장에 이어 3위로 전체 채굴 능력의 약 8%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주 동안 비트코인의 급격한 가격 변동, 부분적으로는 일론 머스크의 ‘시소게임’의 결과지만, 중국 정부는 암호화폐가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인 금융 위험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지난주 류 부총리의 발언과 함께 암호화폐에 대한 반대 입장을 거듭 밝히며 은행과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의 암호화폐 관련 거래를 금지했다. 그러나 동시에 중국은 첨단 기술을 국가가 통제하는 방식으로 배치하려는 정부의 광범위한 계획의 일부인 ‘디지털 위안’을 시험해 왔다.

중국 정부가 암호화폐를 억제하는 또 다른 동기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려는 필요성에서 비롯된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가 최근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중국의 비트코인 채굴을 위한 전력소비량은 2016년 이탈리아의 전체 전력소비량보다 많은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블룸버그에 따르면, 암호 채굴 산업이 석탄에 대한 더 많은 수요를 촉진시켰고, 불법적인 석탄 채굴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 관련 업계 대응책 모색 분주

이미 일부 중국계 비트코인 채굴업자와 이들을 위한 장비를 생산하는 이들은 중국보다 전기료도 저렴하고 암호화폐 정책이 우호적인 카자흐스탄, 캐나다, 미국 등 중국 외 지역으로 사업을 이전할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해시카우(HashCow)와 BTC.TOP를 포함한 대형 채굴업체는 류 부총리의 발언 이후 중국 내 일부 또는 전체 가동을 중단했고, 일부 중국 암호화폐 채굴기 제조업체들도 중국 외 시장을 노리고 있다.

시안교통대학(西安交通大學校) 왕 쥐안(Wang Juan) 블록체인 부교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전반적으로 중국의 암호화폐 단속의 이러한 추세가 거래와 채굴뿐만 아니라 ‘컴퓨팅 파워’ 등 산업의 ‘탈중국화’를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의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중국의 전체 해시 레이트 점유율은 2019년 9월 76%에서 작년 4월 65%까지 떨어졌다.


김경수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ggs07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