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테슬라, 기가팩토리4 완공 앞두고 '막판 진통'

공유
1

테슬라, 기가팩토리4 완공 앞두고 '막판 진통'

마무리 공사가 한창인 테슬라 기가팩토리4. 사진=더드라이브이미지 확대보기
마무리 공사가 한창인 테슬라 기가팩토리4. 사진=더드라이브
테슬라의 유럽 생산기지 역할을 하기 위해 현재 마무리 공사가 한창인 독일 베를린 외곽의 테슬라 기가팩토리4의 가동이 당초 계획보다 크게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독일 당국의 허가에 따라 생산장비 설치가 시작되는 등 공장이 완공 단계에 들어섰으나 막판에 예상치도 못한 암초를 만났기 때문이다.
자동차 전문매체 더드라이브는 “화학적 원인에 의한 산업재해 발생 가능성 측면에서 기가팩토리4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는 보고서가 기가팩토리4를 관리하는 주정부에 제출되면서 이 공장의 가동 시점이 늦춰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2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공사 전부터 환경운동 단체의 반대 시위가 이어졌고 2차 세계대전 때 사용된 폭탄이 다량 발견되는 등 다사다난했던 과정을 겪은 끝에 완공 시기가 다가오고 있으나 막판에 공장 내부 문제로 브레이크가 걸린 셈이다.

◇엔지니어링 컨설팅업체의 보고서


일론 머스크 CEO는 지난 18일 브란덴브루크주 그룬하이데의 기가팩토리4 신축 공사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독일의 관료주의 때문에 기가팩토리4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시점이 올해말로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며 불만을 터트린 바 있다.

테슬라는 오는 7월께 이 공장을 완공한 뒤 가동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일을 추진해왔다.

이 소식을 가장 먼저 전한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문제의 보고서를 제출한 곳은 독일의 건축공학 및 환경보호 전문 엔지니어링 컨설팅업체 뮐러비비엠로 최근 이 공장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벌인 바 있다.

뮐러비비엠은 브란덴브루크주 환경청에 기가팩토리4에서 폐기물 저장 및 처리 시스템의 미흡,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 등 40여가지의 산업재해 요인을 확인했다고 보고했다.

뮐러비비엠이 특히 강조한 것은 기가팩토리4에서 유해 화학물질로 인한 폭발 또는 화재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확인됐다는 것.

◇도장공장의 화재위험과 폐부종 위험


뮐러비비엠이 우려를 제기한 첫 번째 문제는 기가팩토리4의 도장공장에 설치돼 있는 초산부틸 저장 탱크다. 초산부틸은 손톱 매니큐어를 녹이는 가연성 솔벤트의 일종이다.

뮐러비비엠은 이 저장 탱크에서 초산부틸이 유출될 경우 순식간에 공중에 퍼지면서 폭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산업안전 전문가 올리버 칼루쉬는 비즈니스인사이더 독일판과 인터뷰에서 “초산부틸은 탱크에서 새어 나오면 순식간에 수증기로 증발된 후 가스 형태로 바뀌는데 이 가스가 폭발하거나 화재로 이어지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유출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철저한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보고서에서 두 번째로 중요하게 지적된 문제는 기가팩토리4의 다른 곳에 설치된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이라는 유해 화학물질 저장탱크다. 이 탱크에서도 유출 사태가 발생할 경우 근로자들을 저산소증과 심한 호흡 곤란을 야기하는 폐부종에 걸리게 할 수 있을뿐 아니라 공장 주변 지역에까지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그러나 테슬라 측은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정하지도 않고 있고 적극적으로 보완에 나설 의지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이 소식을 전한 매체들의 지적이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테슬라 측은 보고서에서 지적된 문제들에 대해 “그런 일이 실제로 벌어질 가능성은 적다는 입장만 밝히고 있다”고 전했다.

칼루쉬는 “만약의 가능성을 애써 무시하고 낙관론에만 빠져 공장의 안전, 근로자의 안전, 주변 지역사회에 대한 악영향 등을 보수적으로 바라보지 못하는 우를 테슬라 측이 범하고 있다”면서 “테슬라 측이 근본적이 보완책을 내놓지 않으면 공장에 대한 최종승인이 이뤄지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더드라이브는 “테슬라 측은 문제의 저장시설에서 유출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 자체를 부인하진 않지만 그런 실제로 벌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시각”이라고 전했다.

보고서에서 지적된 문제에 대해 주정부 당국이 어떤 조치를 내리느냐에 따라 기가팩토리4의 완공과 생산체제 가동 시점이 출렁일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이혜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