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연준, 긴축으로 기조 전환 끝냈나…"내년 금리인상도 가능"

공유
1

연준, 긴축으로 기조 전환 끝냈나…"내년 금리인상도 가능"

미국 워싱턴에 있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건물.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워싱턴에 있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건물. 사진=로이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16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전환점으로 삼아 긴축 고삐를 죄기 시작한 것을 보인다.

16일 회의에서 2024년이 아닌 2023년 첫번째 금리인상 가능성을 예고했던 연준은 18일에는 그 시기를 다시 1년 앞당길 수 있다고 시사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추세가 16일 발표에 비해서도 더 가팔라 긴축 고삐 죄기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을 내다보고 있다.

지난번 FOMC를 계기로 연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9) 팬데믹 충격 완화를 위한 사상 유례없는 비상 통화완화 정책은 이제 끝났다는 분석도 나왔다.

"금리인상, 2023년 아닌 내년에 이뤄질 수도"


연준이 16일 FOMC를 마치면서 2023년 2차례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18일에는 금리인상 시기가 1년 더 앞당겨져 당장 내년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외부 전문가의 전망이 아니다. 다름아닌 연준 내부 핵심 인사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의 발언이었다.

불러드 총재는 18일 CNBC와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연준 예상보다 가팔라져 내년 후반께 첫번째 금리인상이 이뤄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불러드는 연준이 15~16일 FOMC를 고비로 '매파'로 돌아섰다면서 올해 경기·물가 흐름이 연준 예상보다 더 달아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금부터 계속해서 높아진다면 좀 더 강경입장으로 선회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불러드는 다만 1980년대 초반과 같은 급속도의 물가상승세가 재연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경기가 회복되고, 물가가 적절하게 오르며 이에 발맞춰 금리가 오르는 것은 좋은 소식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올해 FOMC 표결권이 없기는 하지만 회의에 참석해 강경론을 이끌 수는 있다.

비상 통화완화 기조는 끝났다


지난해 3월 팬데믹 발발 이후 사상 유례 없는 회사채 매입이라는 강수까지 동원하며 대규모 자금 방출에 나섰던 연준의 비상 통화정책 기조는 이제 끝이 났다는 분석도 나온다.

MRB 파트너스는 분석노트에서 연준이 16일 FOMC를 마무리지으면서 비록 기존 정책을 동결하기는 했지만 정책 무게 중심이 이동했다고 판단했다.

MRB 파트너스는 연준의 이같은 정책 기조 변화는 "(팬데믹이라는) 비상상황에 따른 금융시장 여건과 공짜 돈의 시대가 마침내 끝나가고 있음을 환기시켜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MRB 파트너스는 "앞으로 수개월에 걸쳐 연준의 온건한 인플레이션 전망이 일련의 상승세를 맞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연준이 16일 1%포인트 상향조정한 올해 인플레이션 전망치가 시간이 가면서 물가상승세를 과소평가한 것이었음이 드러나고, 이에따라 연준이 물가 전망을 계속 높이면서 통화긴축 고삐 역시 점점 조여지게 될 것이란 예상이다.

속도 조절 나서는 연준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 시장을 짓누르자 연준은 일단 진화에 나섰다.

닐 카슈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 총재는 18일 오후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금리인상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제는 소수파가 된 비둘기파의 대표적 인물 가운데 하나인 카슈카리 총재는 노동시장이 아직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않았다면서 최소한 2023년 말까지는 제로금리가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연방정부의 후한 실업혜택이 기업들의 구인난 속에서도 실업률이 고공행진하는 이유라는 공화당을 중심으로 한 비판론자들의 주장을 일축했다.

카슈카리는 "미국인들 대다수가 일하고 싶어한다"면서 "예상 인플레이션이 닻을 내리고 있는 동안에는...인내하면서 실질적인 완전고용 달성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일시적일지 아닐지를 놓고 논란이 지속되면서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도 좀 더 뚜렷한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