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금융지주 중간배당에 기대감 고조

공유
1

금융지주 중간배당에 기대감 고조

중간배당 한다는 예상 우세
관심은 배당성향에 관심 더 쏠려

금융지주들이 중간배당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각사이미지 확대보기
금융지주들이 중간배당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각사
금융당국의 배당제한 권고가 6월 말 종료되면서 금융지주들이 중간배당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중간배당 예상 규모는 KB금융이 800원~900원, 신한지주가 400원~500원, 우리금융 100원~200원, 하나금융 700원~800원 수준으로 연간 총 배당의 약 20%~30% 정도 수준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 투자자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2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은행 및 은행지주 자본관리 권고(자본관리 권고)'를 6월 말로 종료하면서 금융지주들이 중간배당을 검토하고 있다.
4대 금융지주 중 하나금융지주는 중간배당을 위한 주주명부 폐쇄를 공시했으며 나머지 금융지주도 중간배당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이날 "중간배당 여부를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면서 "이사회에서 의결이 이뤄져야하기 때문에 2분기 실적이 발표되는 7월 말 전후로 이사회와 함께 중간배당 여부가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금융업계는 금융지주들의 중간배당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융위의 자본관리 권고 종료로 배당제한이 풀렸으며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보여 왔기 때문이다. 신한금융은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정관변경을 하고 중간배당의 근거를 마련해 중간배당 기대감을 한층 높이고 있다.

금융위는 지난 1월 자본관리 권고에서 중간배당과 자사주매입을 포함한 배당을 원칙적으로 순이익의 20% 내에서 하도록 권고하고 적용기한을 6월말까지로 정했다. 기한 만료가 다가오면서 금융위는 더 이상의 연장 없이 자본관리 권고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금융위는 자본관리 권고를 종료하면서 "주요 기관에서 우리나라와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하는 등 자본관리 권고 실시 당시에 비해 실물경제 상황이 개선되고 있다"면서 "국내 은행과 은행지주는 코로나19 이후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공급을 확대하면서도 양호한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금융위는 또 "모든 은행과 은행지주가 금융감독원의 스트레스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지난 2월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3%로 전망했으나 지난 5월 4%로 상향조정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지난 1월 3.1%에서 지난 4월 3.6%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상향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3월 3.3%에서 5월 3.8%로 상향 조정했다.
경기 회복세와 금융위의 배당제하 종료, 금융지주의 주주환원 정책 추진 등이 이어지면서 4대 금융지주가 모두 중간배당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간배당 가능성은 열렸으나 배당성향은 일부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는 "은행과 은행지주가 배당 실시여부와 수준을 자율로 결정하되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 등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금융위원회 위원들은 은행과 은행지주는 주주가치 제고뿐 아니라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 지속에 따른 충분한 자본 확충 필요성이라는 두 측면을 균형 있게 고려해 배당 수준 등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논의했다"고 밝혔다.

금융위가 고려 사항으로 예를 든 것은 코로나19 확산 이전 평년 수준의 배당성향이다. 2019년 금융지주의 평균 배당성향은 26.2%로 중간배당도 이 수준 이내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최정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은행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악화(GDP성장률 1.3%)와 심각(GDP성장률 0.0%) 시나리오 하에서 모든 은행들이 배당제한 규제비율을 상회해 테스트를 통과했다"면서 "은행들의 중간배당은 쉽지 않을 것으로 가정해 왔지만 감독당국이 중간배당(분기배당) 실시 여부를 자율 결정할 수 있다고 명시한 만큼 중간배당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최정욱 연구원은 "중간배당은 연말 큰 폭의 배당락 발생 우려를 완화시킨다는 점에서 분명 긍정적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전체 총배당이 얼마나 확대될 수 있느냐 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