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1금융→2금융 머니무브 현상 뚜렷…저축은행 특판 경쟁

공유
0

1금융→2금융 머니무브 현상 뚜렷…저축은행 특판 경쟁

시중은행의 낮은 예·적금 금리에 조금이라도 높은 이자를 받으려는 사람들의 이탈 움직임이 더욱 빨라지고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이미지 확대보기
시중은행의 낮은 예·적금 금리에 조금이라도 높은 이자를 받으려는 사람들의 이탈 움직임이 더욱 빨라지고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시중은행의 낮은 예·적금 금리에 조금이라도 높은 이자를 받으려는 사람들의 이탈 움직임이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이미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 매력이 부각된 2금융권으로 '머니무브(자금 대이동)' 현상이 뚜렷하다. 저축은행들이 자금을 끌어오기 위해 지난달부터 특별 판매 경쟁에 나선 까닭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JT친애저축은행은 최대 연 2.05% 금리를 주는 비대면 정기예금을 포함해 수신상품 특판을 실시한다고 이날 밝혔다. 비대면·일반·회전식 정기예금 3종에 대해 연 1.95~2.05%의 금리를 적용한다. 총 입금 규모는 500억 원이다.
OK저축은행은 지난 1일 하루만 맡겨도 높은 금리가 적용되는 요구불예금 상품 'OK파킹대박통장'을 선보였다. 이 상품은 아무 때나 넣고 뺄 수 있는 일반 수시입출금 상품이지만, 최고 금리가 1.5% 수준이다. 현재 0%대인 시중은행 정기적금 평균금리보다 높다. 원금과 이자를 합쳐 5000만 원까지는 예금자 보호도 가능하다.

KB저축은행은 지난달 24일부터 정기예금과 'KB착한이플러스(e-plus)정기적금' 특판을 진행하고 있다. 정기예금은 총 500억 원, 정기적금은 1000계좌가 한도다. 정기예금은 비대면 가입 시 연 0.1%포인트 우대 금리를 포함해 36개월 기준 연 2.1% 금리를 제공한다. 정기적금은 비대면으로 가입할 경우 36개월 연 3% 금리가 적용된다.

이 밖에도 하나금융지주 계열인 하나저축은행과 업계 3위권인 웰컴저축은행, 수도권 영업에 강세를 보이는 모아저축은행을 포함한 주요 저축은행들이 지난달 이후 최대 5% 금리를 제공하는 특판 상품들을 선보였다.

지난달 30일 기준 저축은행중앙회가 집계한 저축은행 79개사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6개월 기준 1.31%를 기록했다. 12개월 평균금리는 4월 1.61%까지 떨어졌다가, 지난달 1.78%까지 뛰었다. 24개월 평균금리는 현재 1.81% 수준이다. 0.93%인 시중은행 평균 금리에 비해 2배 정도 높다. 정기적금 평균금리 역시 6개월 기준 1.91%, 12개월 기준 2.39%까지 올랐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2금융권(저축은행·신협·새마을금고) 수신자금은 380조 958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조 6694억 원이 늘었다. 지난해 말보다는 6개월 사이 15조 9581억 원이 증가했다. 각 업권별로 새마을금고 194조 1637억 원, 신협 103조 823억 원, 저축은행 83조 7121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대비 각각 7조 8104억 원, 3조 6120억 원, 4조 5357억 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은행의 예·적금 수신잔액은 761조 181억 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29조 3974억 원 줄었다. 지난해 12월 말과 비교해선 12조 4051억 원 감소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금융당국과 정부가 서민 지원 차원에서 중금리 대출을 늘리라고 강조하고 있는데, 예대율(예금잔액에 대한 대출금잔액 비중) 가이드라인에 맞춰 대출을 늘리려면 미리 수신을 확보해둬야 한다"며 "하반기부터는 카카오뱅크나 토스뱅크 같은 인터넷 은행들과도 중금리 대출 시장에서 경쟁해야 해 새 금융 소비자들을 끌어들일 만큼 금리 조건이 좋은 상품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주요 은행이 내놓는 특판 상품은 조건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납입금액이나 가입금액을 따져보면 연간 이자가 10만 원 안팎"이라면서 "저축은행 등 2금융권 특판 역시 알고 보면 혜택이 적은 경우가 많지만, 은행권과 비교하면 금리가 거의 두 배 이상이기 때문에 머니무브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