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공항공사, 에콰도르 만타국제공항 30년 운영 '무산 위기'

공유
3

한국공항공사, 에콰도르 만타국제공항 30년 운영 '무산 위기'

현지 유력언론 "4월 집권 새 정부 '직전 정부 운영권 위임 계약에 유리한 내용 없어 무효' 결정" 보도
한국정부에도 통보...한국공항공사 "쉽게 바꿀 수 없는 대통령령...무효 아닌 새 정부의 재협상 노림수"

에콰도르 만타 국제공항 여객터미널의 모습. 사진=만타국제공항 유튜브 동영상 캡처이미지 확대보기
에콰도르 만타 국제공항 여객터미널의 모습. 사진=만타국제공항 유튜브 동영상 캡처
에콰도르 만타국제공항 운영권을 위임받은 한국공항공사가 위기를 맞고 있다.

올해 4월 에콰도르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된 우파후보 기예르모 라소(Guillermo Lasso) 정부가 직전 정부의 한국공항공사 만타공항 30년 운영권 위임을 무효로 결정했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나왔기 때문이다.
에콰도르 유력일간지 엘루니베르소(El Universo)는 8일(현지시간) “에콰도르 교통공공사업부(MTOP) 산하 민간항공국(DGAC:Dirección General de Aviación Civil)이 이전 정부의 만타공항 위임을 무효 선언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레닌 모레노(Lenín Moreno) 정부는 지난 4월 15일 만타(Eloy Alfaro de Manta) 국제공항 여객터미널의 관리·유지 운영권을 30년간 한국공항공사 컨소시엄에 위임한다는 행정법령을 발표했다.

당시 MTOP 성명서에 따르면, 에콰도르 정부는 한국공항공사에 만타공항의 인프라와 운영·유지관리를 위임하는 조건으로 약 2억 5300만 달러(약 2900억 원) 투자와 만타공항의 항공노선 관제와 노선 증편, 수송능력 향상을 제안했다.

그러나, 엘루니베르소는 “DGAC의 무효 결정으로 한국공항공사의 만타공항 운영사업 낙찰과 계약이 백지상태로 돌아갈 위기에 처했다”고 전했다.

DGAC는 무효 결정 근거로 ‘만타공항에 우호적인 기술 조건이 계약서에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에콰도르 정부는 한국공항공사의 만타공항 위탁운영 무효 결정 사실을 이미 주에콰도르 한국대사관에 전달하고, 한국 컨소시엄에도 통보할 예정이다.
아울러 무효 결정 후속조치로 만타공항공사와 주무부처인 교통부가 향후 공항터미널 운영관리에 더 유리한 조건을 포함한 입찰과 계약 절차를 즉시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에콰도르 민간공항개발기관협의회 지미 비야비센시오(Jimmy Villavicencio) 회장은 언론과 인터뷰에서 “조만간 만타공항 운영 위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당국과 회의를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비야비센시오 회장은 “만타공항 운영권 위임에서 한국공항공사와 계속 이어갈지, 아니면 공모를 새로 할지 여부는 전적으로 정부의 소관”이라면서 “새 입찰이 진행된다면 참여업체들이 더 많은 양보(더 좋은 조건)를 제시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만타국제공항 터미널은 지난 2016년 4월 발생한 지진으로 공항시설 일부가 파손되자 약 2500만 달러를 투입해 시설 개보수와 함께 여객터미널 신축, 활주로 정비, 진입관제 서비스 등 공항 전면 재건작업에 나섰다.

한국공항공사는 2019년 11월 만타공항 재건사업 입찰 결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에도 공사 속도를 내면서 올해 초반 개장 목표를 맞춰 사업을 진행해 왔다.

만타공항 30년 운영권 해지 가능성 소식에 한국공항공사 홍보 관계자는 9일 “정확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사실이더라도 대통령 긴급명령의 법령으로 남아 있어 새 정부가 쉽게 바꿀 수 없는 사안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지 언론의 무효 결정 보도는 실제 ‘무효’가 아니라 새 정부가 유리한 조건을 얻어내기 위한 협상을 요구하는 과정으로 이해한다”면서 “만타공항 운영권 파기 우려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외교부의 중남미협력과 관계자도 “현지 공관(대사관)에서 언론 보도 있었다는 수준의 보고가 접수된 상황”이라고 확인했다.

이 관계자는 “먼저 외교채널을 통해 사실 확인이 필요하며, 에콰도르 측의 정확한 의중이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현지 우리 기관들과 접촉해 대처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