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채권시장,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갈팡질팡

공유
1

미국 채권시장,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갈팡질팡

성장 둔화와 강한 인플레이션으로 미국 경제가 불확실해지면서 채권시장도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글로벌이코니믹 DB이미지 확대보기
성장 둔화와 강한 인플레이션으로 미국 경제가 불확실해지면서 채권시장도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글로벌이코니믹 DB
성장 둔화와 강한 인플레이션으로 미국 경제가 불확실해지면서 채권시장도 갈팡질팡하고 있다고 CNBC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올해 초 증시의 고공행진 이후, 투자자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의 급격한 성장세가 둔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초점을 전환했고 이에 따라 국채 수익률은 급격히 떨어졌다.
1970년대에는 물가 상승과 저성장이 동시에 진행되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불렀는데, 지난 수십 년 동안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개념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성장세가 저조해지면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표출되고 있다.

제퍼리스의 금융 경제학자인 아네타 마코프스카는 "시장이 스태그플레이션을 테마로 움직이고 있다“며 "가격 인상으로 인해 수요가 파괴되고, 정책 실수를 일으키며, 궁극적으로는 성장이 둔화될 것이라는 걱정들”이라고 설명했다.

마코프스카는 지난 3월 말 약 1.75%의 최고치를 기록했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이번 주 초 약 1.18%로 급락한 것을 지적했다. 수익률 하락은 투자자들이 채권을 사들여 가격을 올리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마코프스카는 중앙은행이 2022년 말부터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최근의 시장 전망에도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최소 2023년까지 현재의 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녀는 "컨센서스는 3%의 인플레이션을 예상하고 있다. 내년에는 4~5%가 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는 여전히 건강하며, 어느 시점에는 대규모 재고를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10년 만기 국채는 고정 소득의 최적 상품으로 여겨진다. 더불어 금리와 경제가 어디로 향할지를 가늠하는 바로미터로 간주된다. 그런 점에서 21일의 수익률 상승에도 불구하고 1.29%를 기록한 채권시장은 향후 성장 궤도에 자신감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PGIM 고정소득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마이클 콜린스는 "우리의 견해는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온건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성장률과 인플레이션이 어떻든 상관하지 않는다. 10년 만기 국채 전망에 중요한 것은 향후 10년 동안의 모습이다. 앞으로 다시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가 코로나19로부터 회복되면서 국내총생산(GDP)는 2009년 대공황 이후 머물렀던 2% 안팎의 추세를 크게 웃돌았다. 2020년 중반 이후 경제가 활기를 띠고 있다. 그러나 콜린스는 완만한 성장세로 돌아올 것이며 투자자들 역시 그 낮은 범위 내에서 수익률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콜린스는 "미국은 계속해서 글로벌 성장과 경제 역동성의 선두주자가 되겠지만, 생산성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 한 1.5~2%는 성장의 한계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제는 인플레이션이다. 소비자 물가는 6월에 5.4% 상승했고 생산자들이 받는 원재료 가격은 7.3% 올랐다. 두 수치 모두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및 동료들의 예상을 뛰어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정책 입안자들의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징후는 투자자들의 우려를 고조시키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나오는 것도 그 때문이다. 현재 가장 큰 우려는 코로나19와 델타 변종으로 경제가 다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위험이다. 성장이 둔화되는 반면 인플레이션이 고조되면 투자 환경에 치명적이다.

쿼드라틱 캐피탈 매니지먼트의 낸시 데이비스 펀드매니저는 "델타를 비롯해 코로나 바이러스가 다시 급속히 확산되면 경제성장 또한 위축되고, 반도체와 주택 등 많은 산업에 악영향을 미친 인플레이션과 공급망 붕괴가 장기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데이비스는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보다 투자자들에게 더 큰 위험"이라고 강조했다.

채권시장은 주식보다 더 신중하며, 현 수준에서 채권시장은 앞으로의 상황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조민성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scho@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